• 제목/요약/키워드: Mosquitoes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8초

소 모기매개 바이러스성 질병의 Vector 감염률 추정을 위한 표본추출 전략 (A Sampling Strategy for Estimating Infection Rate in Vector Mosquitoes of Mosquito-borne Bovine Viral Diseases)

  • 박선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3-67
    • /
    • 2012
  • Mosquitoes are the vectors of a number of viral diseases in cattle, such as Akabane disease, bovine ephemeral fever, Ainovirus infection, Chuzan virus infection, and Ibaraki disease. These diseases are transmitted from an infected animal to a non-infected host via the blood feeding of the vector. In Korea, the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s,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s responsible for planning, implementation, laboratory investigations and reporting the results of the national surveillance program for mosquito-borne bovine diseases (MBD). The surveillance program, which was started in 1993, focused to determine the seroprevalence of each disease in cattle herds in space and time. From the epidemiological point of view, more important component of the surveillance program is to monitor infection rates in vectors for specific pathogens because this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these diseases in a given environment and for determining risk of transmis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compare methods for estimation of vector infection rates using maximum likelihood (MLE) and minimum infection rate in pooled samples. Factors affecting MLE such as number of pools, pooling size and diagnostic test performance are also discussed, assuming some hypothetical sampling scenarios for MBD.

A New Report of Biscogniauxia petrensis Isolated from Mosquitoes in Korea

  • Das, Kallol;Kim, Joung-Ho;Choi, Kwang-Shik;Lee, Seung-Yeol;Jung, Hee-Yo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7-93
    • /
    • 2020
  • A fungal strain designated KNU-WDM2A2 was isolated from mosquitoes in Gimcheon, Korea. The pure culture was transferred to potato dextrose agar (PDA) and synthetic nutrient agar (SNA) media and attained a diameter of 90 mm after 10 days of incubation at 25℃. The colonies were whitish to light pink and cottony to wooly, with an abundant production of aerial mycelia. The strain produced hyaline to slightly yellowish conidiophores that were rough-walled and branched, with conidiogenous cells arising terminally or laterally. Conidia were unicellular, hyaline to light brown, smooth, and oval or ovoid to clavate, with a size of 4.1-6.9×2.5-3.3 ㎛ (n=65). A phyl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and 28S rDNA of large subunit (LSU) sequences, to support the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KNU-WDM2A2 strain was identified here as Biscogniauxia petrensis, new to Korea.

Modeling of transmission pathways on canine heartworm dynamics

  • Seo, Sat Byul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5-18
    • /
    • 2020
  • Canine heartworm disease is a vector-borne disease that is transmitted from dog to dog by mosquitoes. It causes epidemics that disrupt the health environments of dogs and are burdensome for many dog owners. Recent trends of changing temperatures and weather conditions in South Korea may have an impact on the population of mosquitoes, and it affects the population of dogs at risk of heartworm infection. Mathematical modeling has become an important measure for analyzing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fectious diseases. However, canine heartworm infection transmission has not been reported yet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We develop a mathematical model of canine heartworm infection to predict the population of infected dogs depending on the vector (mosquito) population using a susceptible, exposed, infected, and recovered mode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fter 1 year, 3,289 dogs out of 73,602 (about 4.5%) are exposed and 134 (about 0.2%) are infected. Only 0.2% of susceptible dogs become infected after 1 year. However, if all exposed dogs are maintained in the same circumstances without any treatment, then the number of infected subjects will increase over time. This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other dogs, especially dogs that live outside, being infected.

Clinical and Pathological Aspects of Filarial Lymphedema and Its Management

  • Shenoy, R.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119-125
    • /
    • 2008
  • Lymphatic filariasis, transmitted by mosquitoes is the commonest cause of lymphedema in endemic countries. Among 120 million infected people in 83 countries, up to 16 million have lymphedema. Microfilariae ingested by mosquitoes grow into infective larvae. These larvae entering humans after infected mosquito bites grow in the lymphatics to adult worms that cause damage to lymphatics resulting in dilatation of lymph vessels. This earliest pathology is demonstrated in adults as well as in children, by ultrasonography, lymphoscintigraphy and histopathology studies. Once established, this damage was thought to be irreversible. This lymphatic damage predisposes to bacterial infection that causes recurrent acute attacks of dermato-lymphangio-adenitis in the affected limbs. Bacteria, mainly streptococci gain entry into the lymphatics through 'entry lesions' in skin, like interdigital fungal infections, injuries, eczema or similar causes that disrupt integrity of skin. Attacks of dermato-lymphangio-adenitis aggravates lymphatic damage causing lymphedema, which gets worse with repeated acute attacks. Elephantiasis is a late manifestation of lymphatic filariasis, which apart from limbs may involve genitalia or breasts. Lymphedema management includes use of antifilarial drugs in early stage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cute attacks through 'limb-hygiene', antibiotics and antifungals where indicated, and physical measures to reduce the swelling. In selected cases surgery is helpful.

2012~2017년 강원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과 플라비바이러스 감염률 (Mosquito Prevalence and Flavivirus Infection Rates in Gangwon-do, Republic of Korea)

  • 정세진;고석현;고은미;임은주;김영수;이욱교;이동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89-99
    • /
    • 2019
  • 2012~2017년까지 강원도 3개 시 군(춘천시, 강릉시, 횡성군)에서 채집된 모기는 총 6속 13종, 654,362마리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모기는 분류하여 얼룩날개모기속을 제외하고 종별, 채집일, 채집 장소에 따라 최대 50마리를 1개 실험군으로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염기서열 분석방법으로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사하였다. 채집모기 276,224마리에 대해 7,721개 실험군을 검사한 결과 68개 실험군(0.9%)에서 플라비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플라비바이러스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4개 실험군은 일본뇌염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64개 실험군은 차오양바이러스(Chaoyang virus)로 확인되었다. 일본뇌염바이러스는 2012년 춘천시에서 채집된 2,728마리의 빨간집모기 중 1개 실험군, 2013년 횡성군에서 채집된 19마리의 동양집모기 중 1개 실험군, 2017년 춘천시에서 채집된 1,111마리의 빨간집모기 중 1개 실험군, 강릉시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 724마리 중 1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일본뇌염바이러스의 유전형은 모두 V형 바이러스였다. 차오양바이러스는 강원도 내에서 6년간 채집된 금빛숲모기 232,871마리, 5,055개 실험군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63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으며, 춘천지역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 585개 실험군 중 1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다. 채집지역별 금빛숲모기의 차오양바이러스 감염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MIR (최소감염률) 0.32, MLE (최대우도법) 0.33 (CI 0.23~0.46) 감염률을 보인 춘천시였다. 그 뒤로 횡성군 MIR 0.30, MLE 0.30 (CI 0.16~0.52)과 강릉시 MIR 0.21, MLE 0.21 (CI 0.13~0.31)순이었다. 월별 금빛숲모기의 차오양바이러스 감염률은 10월에 MIR 0.38, MLE 0.38 (CI 0.07~1.25)로 가장 높은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역과 구도심 및 신도심에 따른 모기 밀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osquito population density according to the Sejong City areas and old city and new city)

  • 나수미;도지선;양영철;유성민;이훈복
    • 환경생물
    • /
    • 제39권3호
    • /
    • pp.362-373
    • /
    • 2021
  • 본 연구는 모기 매개체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사업의 계획수립을 위하여 세종시의 모기 밀도 및 서식환경을 분석하여 방역 가이드라인 기초자료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세종시 전반적인 모기분포 현황 조사를 위해 2019년 8월~10월까지 MOSHOLE과 유문등을 사용하여 일주일에 1회 1박2일 간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으며, 구도심(조치원읍)과 신도심(보람동)의 밀도차 분석을 위해 2020년 4월~10월까지 DMS를 활용하여 매일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금남면에서 가장 많은 모기가 포집되었으며 서식하는 우점 모기 종은 큰검정들모기, 빨간집모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 유형은 산림지역과 초지지역으로 나타났다. 질병 매개 가능성이 있는 모기 종 분석 결과 연서면과 금남면에서 다수 발견되었으며, 흰줄숲모기, 얼룩날개모기류, 작은빨간집모기 순서로 확인되었다. 각각 CO2와 빛을 유인제로 사용하는 MOSHOLE과 유문등의 채집효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CO2의 유인률이 높아 모기 포집 효율성과 생태계 안정성 보존을 위해 CO2를 유인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의 모기 개체수는 구도심이 신도심보다 약 2배 정도 개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구도심과 신도심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획일적인 방식으로는 눈에 띄는 방역 효과를 보기가 어려우며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서는 방역의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세종시의 통합적인 모기 방제 가이드라인의 기초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병 확산을 제어하고, 모기로부터의 피해를 줄이는 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한국에 있어서의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역학적, 매개동물학적 조사 (Epidemio-entomological survey on malarial vector mosquitoes in Kyongbuk, Korea)

  • 우종윤;강구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329-340
    • /
    • 1992
  • 경북지역에 있어서 삼일열 말라리아 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inensis)의 계절적 출현소장과 군집변동을 규명하기 위해 1987연부터 5연간 경출군 1개소에 유준등으로 1주일에 한떤씩 성충을, 1989년부터 3 년간 경북 농촌 진흥 원부속농장에서 모기유충을 채집조사하였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 유창등에 처음으로 중 국얼룩날개모기가 채집되는 날짜는 연도별로 큰 차리를 나타내었으며, 3월 중순에서 4월 중순사이에 채집되었고 가장 높은 군집밀도를 보인 것은 7월 초순에서 중순이었으며, 그 후 점점 감소하여 lli3 초순과 중순부터는 전혀 채집되지 않았다. 채집된 모기 중 흡혈한 개체률은 채집장소별로 차리가 있었으며 그 율은 0.5∼67.9%이었다. 중국얼룩날개모기의 채집되는 수는 1987년 이후 증가하여 1989년 가장 많은 수가 채집되었으며, 그 후 급격히 감소하여 1991연에는 가장 적은 수가 채집되었다. 액간활동성은 22시에서 23시사이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그 후 점차 감소하다가 새벽 4∼5시에 다시 약간 증가하였다.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은 6월 중순에 논에서 처음 발견 되었고 그 밀도는 7월 초순 및 중순에 가장 높았으며, 9월 중구 이후부터는 그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은 각감의 유기린제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보아 경북 지역에서 중국얼룩날개모기는 매년 감소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말라리아 연구 : 보건지리학적 과제와 전망 (Remote Sensing Applications for Malaria Research : Emerging Agenda of Medical Geography)

  • 박선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3-493
    • /
    • 2012
  •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전반적인 기후변화 속에서도 지역적인 기상조건에 따라 말라리아 감염 사례의 증감이 비교적 민감하게 영향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모기의 서식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후환경적인 인자, 즉 강수, 기온, 지표수 분포, 토양수분, 토지이용에 대한 광범위한 관측과 추정에 원격탐사 자료의 적용이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다국적 원격탐사 센서의 개발이 이어지고 있고, 공간 및 분광해상도 면에서 기술적인 진화를 보이고 있으며, 자료 획득에 필요한 비용도 크게 줄어드는 등 말라리아를 비롯한 모기매개 감염병 연구에 원격탐사 기법의 적용이 크게 각광받을 전망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에 퇴치되었던 것으로 보고된 말라리아는 1990년대 중반부터 크게 증가하여 2000년 이후 증감을 거듭하고 있어 보건관리의 주요 대상으로 떠올랐다. 감염자수로 볼 때, 휴전선 인근 지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말라리아 보균 모기의 북방 유입설 등 지리적인 특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환경적인 서식조건은 모기 개체수 규모를 추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말라리아 감염과 전파는 환경조건 외에도 인간의 활동, 인구구성, 경관의 구조, 거주지와 매개모기 서식처간의 공간적 관계 등 매우 복합적인 보건지리학적 메카니즘의 산물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 PDF

중금속이 빨간집모기(Culex pipiens)의 치사율과 대사물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vy Metals on Mortality and Metabolite Changes in Mosquitoes, Culex pipiens pallens (Diptera: Culicidae))

  • 이수미;신병식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694-700
    • /
    • 2018
  • 중금속이 곤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금속용액(Cu, Cd, Hg, Pb, Zn)에서 사육한 후 50% 치사농도($LC_{50}$) 용화시기, 총 지질함량, 지질조성, 총 단백질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50% 치사농도($LC_{50}$)는 3령 유충으로 24시간 처리한 Hg 처리군에서 $0.45mg\;kg^{-1}$으로 나타나 다른 금속에 비해 독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용화 시기는 처리군이 대조군(129시간)에 비해 지연되었으며 Cd가 처리군 중 273시간으로 가장 늦게 용화되었다. 중금속에 노출된 모기시료에서 총 여섯 종류의 지질 band가 분리되었으며, 이 중 5종의 지질이 동정되었다(phospholipid, cholesterol, fatty acid, triglyceride, cholesterol ester). 모든 처리군의 총 지질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또한, 대조군의 단백질 함량($0.51mg\;ind.^{-1}$)이 처리군의 단백질 함량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군 중 Hg과 Cd을 처리한 유충의 단백질 함량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금속이 처리된 용액에서 사육된 모기유충은 오염된 환경에 의한 먹이 섭취의 장애 및 중금속의 독성으로 인해 단백질 함량과 지질의 감소가 일어나 발육이 느려지고 용화시기가 길어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중금속에 의한 체내 물질대사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중금속 오염이 모기의 생존과 성장을 억제시켜 모기 개체군 크기에 영향을 줄 것을 나타내며, 추후 연구를 통해 모기의 생육정도를 이용한 오염도 측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주요 모기에 대한 가열연막의 방제효과 (Evaluations of Thermal Fog for Domestic Mosquito Vector Control)

  • 정수율;민영환;정선호;강기석;정효빈;이동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67-274
    • /
    • 2022
  • 국내 감염병 매개 모기인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s.l.), 빨간집모기(Culex pipens), 작은빨간집모기(Cx. tritaeniorhynchus)를 대상으로 살충제 deltamethrin, etofenprox, bifenthrin를 석유, 등유, 그리고 물로 희석하여 휴대용 가열연막과 차량용 가열연막의 방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야외에서 일정한 거리에 암컷모기가 들어있는 노출장을 매단 스탠드를 세우고 실시하였다. 세 종류의 살충제를 각각 경유에 희석하여 살포한 휴대용 가열연막은 10 m 이내의 모기에 대해 평균 52.0%의 치사율을 보였고, 살충제를 물로 희석하여 사용한 휴대용 가열연막의 모기 치사율은 평균 64.0%였다. 살충제를 경유로 희석한 차량용 가열연막은 모기에 대해 살포 거리 50 m 이내에서 평균 34.8%의 치사율을 보였다. 가열연막용 살충제의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유와 등유의 모기 치사효과는 등유가 경유에 비해 1.9배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