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demio-entomological survey on malarial vector mosquitoes in Kyongbuk, Korea

한국에 있어서의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역학적, 매개동물학적 조사

  • 우종윤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강구태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1992.12.01

Abstract

In order to determine population dynamics of Anopheles sinensis, a survey based on average number of female mosquitoes per trap-night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of 5 years from 1987 to 1991, A. sinensis Birst appeared between the 2nd and 20th April, and were trapped in large number between the 5th and 12th July. The number of trapped mosquitoes began to decrease from mid-August, and a few were collected until mid-November, each year. The average number of A. sinensis in July was 542.6 per trap-night in 1987, but in 1989 increased abruptly to 1,331.4, and then decreased to considerably lower levels, 271, 9 in 1990 and 372. 1 in 1991. The nocturnal activity of A. sinensis to attack humans was found to become active in the early night, and it was gradually decreasing at mid·night, however, then slightly increasing toward dawn. The immature stage of A. sinensis in the rice paddies was Birst found in the correlation pattern with peak adult densities in early July. The highest larval density of A. sinensis in the study area was 21,226×103 in early July 1990. The larval A. sinensis showed high resistance level and resistance ratios against 3 kinds of organo- phosphorous compounds, diazinon, malathion, and fenitrothion, but low resistance against fenthion.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pulation density of A, sinensis in Kyongbuk area is decreasing over the five·year from 1987 to 1991. Key words: Anopheles sinensis, seasonal prevalence, population dynamics, Kyongbuk Province.

경북지역에 있어서 삼일열 말라리아 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inensis)의 계절적 출현소장과 군집변동을 규명하기 위해 1987연부터 5연간 경출군 1개소에 유준등으로 1주일에 한떤씩 성충을, 1989년부터 3 년간 경북 농촌 진흥 원부속농장에서 모기유충을 채집조사하였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 유창등에 처음으로 중 국얼룩날개모기가 채집되는 날짜는 연도별로 큰 차리를 나타내었으며, 3월 중순에서 4월 중순사이에 채집되었고 가장 높은 군집밀도를 보인 것은 7월 초순에서 중순이었으며, 그 후 점점 감소하여 lli3 초순과 중순부터는 전혀 채집되지 않았다. 채집된 모기 중 흡혈한 개체률은 채집장소별로 차리가 있었으며 그 율은 0.5∼67.9%이었다. 중국얼룩날개모기의 채집되는 수는 1987년 이후 증가하여 1989년 가장 많은 수가 채집되었으며, 그 후 급격히 감소하여 1991연에는 가장 적은 수가 채집되었다. 액간활동성은 22시에서 23시사이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그 후 점차 감소하다가 새벽 4∼5시에 다시 약간 증가하였다.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은 6월 중순에 논에서 처음 발견 되었고 그 밀도는 7월 초순 및 중순에 가장 높았으며, 9월 중구 이후부터는 그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은 각감의 유기린제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보아 경북 지역에서 중국얼룩날개모기는 매년 감소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