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us tiliaefoli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6초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와 몽고뽕나무(Morus mongolica C.K. Schneider)의 韓半島에서의 自然分布 (Natural Distribution of Morus tiliaefolia Makino and Morus mongolica C.K.Schneider Growing Wild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1-55
    • /
    • 2002
  • 한반도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와 몽고뽕나무(Morus mongolica)의 자연분포지는 다음과 같다. 1. 돌뽕나무는 강원도 화천읍(북위 38$^{\circ}$8')을 북한으로 하여 산간 내륙과 해안 도서지방에 많이 분포하며 동해 난류의 영향으로 함경북도 명천군 칠보산에도 분포한다. 2. 몽고뽕나무는 황해도 재령군 장수면(북위 38$^{\circ}$15')이북의 백두대간 서쪽에 분포하며 이례적으로 강원도 삼척지방(북위 37$^{\circ}$24')에도 자생한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산뽕나무(Morus bombycis Koidz.), 몽고뽕나무(Morus mongolica C.K. Schn.) 및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의 염색체수 (The Study on Chromosome Number of Morus bombycis Koidz., Morus Mongolica C.K.Schn.and Morus tiliaefolia Makino Growing Wild in the Korea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3-54
    • /
    • 2001
  • The chromosome number of Morus bombycis Koidz. and Morus monogolica C.K.Schn. growing wild in the Korea Peninsula is diploid (2n=28) and that of Morus tiliaefolia Makino is hecxaploid (2n=84). The somatic cell division of each species is nomal.

  • PDF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뽕나무 3종이 자연교잡된 때의 稔性과 오디의 과실특성 (Fertility and Mulberry Fruit Characteristics of Three Korean Indigenous Mulberry Species)

  • 박광준;이용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6-113
    • /
    • 1997
  • Three indigenous mulberry species of Morus tiliaefolia Makino, Morus mongolica C. K. Shneider and Morus bombycis Koidz. were naturally crossed and their fertilities and fruit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years of 1996 and 1997. M. tiliaefolia Makino and M. mongolica C.K. Schneider showed low fertility, but M. bombycis Koidz. was medium in fertility. The fruits of M. tiliaefolia Makino were red-purple and midium in size and high sugar content, but those of M. mongolica C.K. Schneider were light red and small but extremely high sugar content. The total acidity of fruits was 0.73, 0.50 and 0.36-0.94% in M. tiliaefolia Makino, M. mongolica C.K. Schneider and M. bombycis Koidz. respectively. Regarding ripenening stage, M. mongolica C.K. Schneider was early and M. tiliaefolia Makino was medium, while M. bombycis Koidz was early or medium.

  • PDF

터-키산 흑상(Morus nigra L.)화분과 한국 자생뽕 및 재배뽕간의 임성 (The Fertility beween Morus nigra L. from Turkey and Indigenous or Cultivated Mulberry in Kore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5
    • /
    • 1995
  • 흑상(터-키산)화분을 이용하여 한국 자생뽕 2종 및 재배뽕 3계통형 4품종과의 교잡시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오디 성숙률은 자생뽕의 돌뽕나무(북산2호), 재배 뽕의 검설뽕은 매우 높고 대륙뽕, 청일뽕은 50% 내외이며 산뽕나무(BOM5-8호)와 용천뽕은 모두 낙화하였다. 종자의 크기는 돌뽕나무는 매우 작고 점설뽕, 청일뽕 및 대륙뽕은 보통크기이다. 임실률은 32-42%로 낮았는데 그중 검설뽕과 돌뽕나무가 비교적 높았으며 종자발아율은 대륙뽕은 88%, 돌뽕나무는 23.6% 이며 청일뽕과 검설뽕은 2%이하로 극히 불량하였다. 교잡성공율은 대륙뽕은 14.2%, 북산2호는 8.0%이며 청일뽕과 검설뽕은 0.3%이하 이였다.

  • PDF

韓半島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의 稔性 및 재배학적 특성 (The Fertility and Some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Morus tiliaefolia Makino Growing Wild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12
    • /
    • 2002
  • 한반도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의 임성과 재배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종자형성률은 46∼80%이며 종자의 발아율은 19∼28%에 불과하다 2. 개화최성기(1994년)는 4월 28일∼5월 3일로서 산뽕나무보다는 늦고 개량뽕보다 빠르다 3. 춘기 동아의 탈포기는 4월 21일∼24일로서 산뽕나무와 개량뽕보다 늦다. 4. 잎은 대형으로 엽형지수 1.05의 폭광성을 나타내며 잎두께는 산뽕나무보다 두껍다. 5.성숙엽의 화학성분은 가용성 무질소물과 조회분이 많고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가 적다. 6. 낮추베기때의 자세는 대부분 전개성이며 가지는 조장형이고 절간장이 길다 7. 추위견딜성과 뽕나무 동고병에 약하다.

한국산 야생 Morus (뽕나무속) 탐견기 (Wild Morus Survey in Korea)

  • 안학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73-74
    • /
    • 1963
  • 우리나라 Morus(뽕나무속)에 대한 분류학적인 연구는 지금으로부터 약 40 여년전부터 시작되어 현재는 거의 정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우리나라에 자생되는 각종에 대하여 개별적인 분류지리학적면을 탐견 약기하여 보기로 한다. Morus alba L. 즉 재배종이며 보편적인 "뽕나무"로 알려져 있는 것이며 수많은 변, 품종들이 여기서 파생되고 있다. 한국산 야생 Morus를 크게 나누어 세가지 계통으로 구분할 수있다. 즉 I. Morus bombycis Koidzumi. 산뽕나무(Yamaguwa). II. Morus mongolica Schneider. 몽고뽕나무(Mongoguwa). III. Morus tiliaefolia Makino. 참털뽕나무(Keguwa). (중략)

  • PDF

한반도에 자생하는 야상종 상호간 및 야상 화분을 재배 3품종에 인공교배를 한때의 임성 (Interspecific crossabilities among wild mulberry species and cultivars growing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8-92
    • /
    • 2001
  • 한반도에 자생하는 뽕나무 3종 즉 돌뽕나무, 몽고뽕나무, 산통나무를 상호 인공교배 하였을 때, 그리고 한반도의 자생 뽕나무 3종을 화분친으로 하여 재배 3종의 대표적인 3품종에 인공수분 하였을 때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돌뽕나무의 화분은 산뽕나무와는 수정이 가능하고 몽고뽕나무와는 불가능하였으며, 청일뽕, 검설뽕과는 수정이 용이하였고 대륙뽕과는 약간 곤란하였다. 2. 몽고뽕나무의 화분은 산뽕나무, 돌뽕나무와는 수정이 가능하고 청일뽕, 검설뽕과는 수정이 용이하지만 대륙뽕과는 불가능하였다. 3. 산뽕나무의 화분은 돌뽕나무, 몽고뽕나무와는 수정이 불가능하고 검설뽕과는 매우 용이하고 청일뽕과는 보통으로 용이하였으며, 대륙뽕과도 수정이 가능하였다.

  • PDF

한반도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의 형태학적 특성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rus tiliaefolia Makino Growing Wild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18
    • /
    • 2002
  • 한반도에 자생하는 돌뽕나무를 수집하여 그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체세포의 염색체수는 2n=84인 6배체이다. 2.웅화수는 3.6~6.0cm의 긴 원통형이고 무화주인 자화수의 길이는 18 mm로 왜소하고 자 색 또는 자홍색의 오디는 1.39~l .65 g이다. 3. 동동아는 가지에 비하여 매우 크고 부아는 존재하지 않는다. 4. 잎은 대형의 열엽 또는 전연엽이며, 피목 밀도는 9.42$\pm$1.29개/$\textrm{cm}^2$이다. 5. 잎의 모용 길이는 236~438$\mu\textrm{m}$이고, 이면에 밀도가높은 바 16~37개/25 $\textrm{mm}^2$분포한다. 6. 잎의 표면의 모용형태는 원추형, 이면의 것은 매우 세장한 원추형이다

Cryopreservation of Mulberry Germplasm Core Collection and Assessment of Genetic Stability through ISSR Markers

  • Rao, A. Ananda;Chaudhury, Rekha;Kumar, Suseel;Velu, D.;Saraswat, R.P.;Kamble, C.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5권1호
    • /
    • pp.23-33
    • /
    • 2007
  • A simple and reliable cryo technique using desiccation and slow freezing of winter dormant buds was employed for 238 core collection of mulberry germplasm collected from diverse geographical regions and maintained under tropical conditions in the ex situ field gene bank to develop long-term biodiversity conservation for ensuring sustainable utilization of these valuable resources. Desiccation and freezing tolerance of bud grafts and excised shoot apices in the axillary buds of different Morus species under in vivo and in vitro condition indicated species-specific variation and most of the wild Morus species were found sensitive. In vitro regeneration and cryopreservation($-196^{\circ}C$) protocols using differentiated bud meristem like axillary winter dormant buds were worked out for a wide range of Morus species, land races, wild and cultivated varieties. Successful cryopreservation of mulberry winter dormant buds of different accessions belonging to M. indica, M. alba, M. latifolia, M. cathayana, M. laevigata, M. nigra, M. australis, M. bombycis, M. sinensis, M multicaulis and M. rotundiloba was achieved. Among wild species Morus tiliaefolia, and M. serrata showed moderate recovery after cryopreservation. Survival rates did not alter after three years of cryopreservation of different Morus species. ISSR markers were used to ascertain the genetic stability of cryopreserved mulberry, which showed no difference detected among the plantlets regenerated from frozen apices in comparison to the non-frozen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