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atorium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1초

인도네시아 산림 모라토리엄 분석: 산림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ndonesia Forest Moratorium: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Forest Governance)

  • 장상경;배재수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3권3호
    • /
    • pp.49-92
    • /
    • 2013
  • In May 2010, Indonesia and Norway signed a Letter of Intent on "Cooperation on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REDD)." In the LoI, Norway agreed to offer Indonesia a sum of USD 1 billion with a view to encourage Indonesia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REDD+. On 20 May 2011, correspondingly, Indonesia announced the 2011 'Forest Moratorium' (the Presidential Instruction No. 10/2011) which was valid for the following consecutive two years. By means of the 2011 'Forest Moratorium', Indonesia aimed at significant reductions in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forest degradation and peatland conversion. In so doing, it also sought to improve forest governance. Meanwhile, concerned stakeholders also raised various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Moratorium'. As an extension of the 2011 'Forest Moratorium', Indonesia announced the 2013 'Forest Moratorium'(the Presidential Instruction No. 6/2013) for another two-year period on 13 May 2013. Indonesia's 'Forest Moratorium' is concerned with stakeholders at various levels, who may play a role of significant 'agen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Forest Moratorium'. This mechanism of the 'Forest Moratorium' should be understood in the light of forest governance. Employing stakeholder approach,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Indonesia's 'Forest Moratorium' in the light of forest governance. In this regard, it analyzes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Forest Moratorium', the process of making the 'Forest Moratorium', current development of the Indicative Moratorium Map for suspension of new concessions on forest land, and contesting views of various stakeholders. At the same time, it also talks about how 'weak' forest governance had influence upon Indonesia's 'Forest Moratorium'. In so doing, this article consequently attempts to evaluate Indonesia's 'Forest Moratorium' and also put it into perspective in terms of improving forest governance. The 2013 'Forest Moratorium' fundamentally represents a radical policy that is designed to suspend new concessions on forest conversion for another two-year period and its detailed contents attempt to reflect on various stakeholders from related industries and environmental NGOs. However, there are challenging factor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Forest Moratorium', that is, 'weak' forest governance and also a discrepancy between forest planning maps designated by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The announcement of the 2013 'Forest Moratorium', as an extension of the 2011 'Forest Moratorium', may functionally strengthen and improve Indonesia's forest governance. However,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actical limit due to the fact that it is merely a Presidential Instruction that lacks legal binding.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상태에 따른 진로탐색 및 진로결정 분석 (An Analysis of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by Identity Status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박성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11-2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by identity statuses(diffusion, foreclosure, moratorium, achieve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identity statuses by level of the career exploration? (2) Is there a difference in identity statuses by level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3) How much identity statuses-identity diffusion, identity foreclosure, identity moratorium, identity achievement-effect to the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255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were sampl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by AMOS 4.0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dentity diffusion was low in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but the identity moratorium and achievement were high in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3) The identity diffusion was low i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but the identity achievement was high i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4) The identity diffusion effected to negatively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identity foreclosure effected to low positively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identity moratorium effected to positively career exploration but negatively career decision-making, identity achievement effected to positively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고래자원의 가치 논쟁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Debates of Whale Resource Values)

  • 박성쾌
    • 수산경영론집
    • /
    • 제45권3호
    • /
    • pp.111-129
    • /
    • 2014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putes concerning the 1982 moratorium on commercial whaling and the standing rights of other natural objects. Basically, the debates has arisen from the very nature of whales and other natural resources, that is to say, a mixed good of consumptive and non-use value. The debates between pro- and anti-moratorium states regarding whaling may not find out a peaceful solution without compromise or negotiation since any international institution for official settlements does not exist. If the pro-states could provide anti-states with a certain type of economic incentive which is side payments, anti-states might offer self-restraint not to whale. Here, it would be considered to apply Kaldor-Hicks compensation principles to this problem. Since 1965, som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began to recognize the standing right of natural objects. Even though rejected, the newt case in Korea was brought to the Supreme Court. If a standard of living increases significantly to a higher level(i.e. more than per capita income US$30,000), there would be a tendency of valuing natural objects and their beauty more and more highly.

Bayesian state-space 모델을 이용한 말쥐치 자원평가 및 관리효과 분석 (Assessing Stock Biomass and Analyzing Management Effects Regarding the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Using Bayesian State-space Model)

  • 최민제;김도훈;이해원;서영일;이성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2권1호
    • /
    • pp.63-76
    • /
    • 2020
  • This study sought to assess the stock status and analyze the management effects with regard to the Black scraper, which is one of the more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in Korea. The catch amounts of Black scraper have significantly decreased since 1991. In this analysis, a Bayesian state-space model was utilized to assess the biomass of the Black scraper given the limited data. Model results showed that MSY and BMSY of Black scraper were estimated to be 26,587 tons and 365,200 ton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urrent biomass level of the Black scraper was assessed to be only 2.1% (7,549 tons) of BMSY. For this reason, the effects of a moratorium policy on the Black scraper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if such a moratorium policy was implemented, it would take at least 18-40 years to restore the biomass level of the Black scraper to BMSY depending upon its growth rates.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의 무업자 생활 경험 (Life experience of NEET youth after discharge from out-of-home-care)

  • 장혜림;이정애;강지연;정익중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7호
    • /
    • pp.9-4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 유예 상태로 시설을 퇴소한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무업자 생활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중도퇴소나 진로유예인 상태로 퇴소한 청소년 5명을 심층면접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기댈 수 없는 원가족', '불안정한 삶', '방황과 편견에 흔들림', '의지할 사람이 필요함', '뒤 늦은 후회', '끊임없이 재기를 꿈꾸는 삶' 등 6가지 주제묶음과 하위범주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유예 퇴소청소년들은 불안정한 무업자 생활 속에 지난 시간에 대한 후회와 재기의 삶을 살고자 부단히 노력하는 모습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이 보다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fluence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on Ego Identity in Korean Nursing Students

  • Koo, Hyun Young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48-5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n ego identity in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17 Korean nursing students in the first and fourth year of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composed of items assessing ego identity, achievement motivati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x^2$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Ego identity was related to achievement motivation; moreov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students with moratorium and achieved identity statu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ith low-profile moratorium and diffused identity statuses. Ego identity was not related to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but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of students in foreclosu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ith diffused identity status. The factors influencing achieved identity compared to diffused identity were achievement motivation, year in school,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having religious belief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nursing students' ego identity attainment was more influenced by achievement motivation than by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t emphasizes that highly motivated students can develop their own identities regardless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북한의 미사일발사 실험 유예조치의 법적 의의 (Legal implications of missile test moratorium by the North Korea)

  • 신홍균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5-123
    • /
    • 2007
  • 북한의 유예조치가 자신들의 우주활동으로서의 자유를 포기한 것인지, 또는 그러한 발사 행위는 우주활동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국제법 규범에 어긋나는 것이고 따라서 유예조치를 하여야만 했던 것이지에 대해서 본 논문은 살펴 보고자 한다. 북한이 대포동 1호를 실험발사하자 이에 대한 주변국들의 이의제기가 이어졌고, 수년간의 협상 후에 북한은 미사일발사실험을 중단한다는 유예선언을 한 바 있다. 북한은 자신들의 발사체가 미사일이 아니라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리기 위한 운반체로서 우주활동의 자유로서 자신들이 발사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 발사체의 성격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논란이 계속되면서, 관련 국가들은 우주활동의 자유가 아니라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안정을 위해서 발사의 중단을 요구하였고, 북한이 유예선언을 하였다. 1967년 우주조약 및 관련 국제법 규범들은 무엇이 우주활동에 해당하는 것이고, 어느 공간에서의 비행은 우주비행의 자유를 향유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지 않다. 그 결과, 대포동 1호의 비행이 우주비행의 자유로서의 권리에 기초하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규범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 반면에 우주공간에서도 주권 국가들의 주권과 관할권은 완전히 배제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자신들의 안보를 위해서 우주공간에서의 활동을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는 학설도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북한의 발사실험 유예조치는 우주활동의 자유가 주권 국가들의 요구에 의해서 유보되는 특별한 관습법 형성의 과정을 의미할 수도 있다.

  • PDF

북한의 미사일발사 실험 유예조치의 법적 의의 (Legal implications of missile test moratorium by the North Korea)

  • 신홍균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spc호
    • /
    • pp.87-104
    • /
    • 2007
  • 북한의 유예조치가 자신들의 우주활동으로서의 자유를 포기한 것인지, 또는 그러한 발사 행위는 우주활동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국제법 규범에 어긋나는 것이고 따라서 유예조치를 하여야만 했던 것이지에 대해서 본 논문은 살펴 보고자 한다. 북한이 대포동 1호를 실험발사하자 이에 대한 주변국들의 이의제기가 이어졌고, 수년간의 협상 후에 북한은 미사일발사실험을 중단한다는 유예선언을 한 바 있다. 북한은 자신들의 발사체가 미사일이 아니라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리기 위한 운반체로서 우주활동의 자유로서 자신들이 발사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 발사체의 성격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논란이 계속되면서, 관련 국가들은 우주활동의 자유가 아니라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안정을 위해서 발사의 중단을 요구하였고, 북한이 유예선언을 하였다. 1967년 우주조약 및 관련 국제법 규범들은 무엇이 우주활동에 해당하는 것이고, 어느 공간에서의 비행은 우주비행의 자유를 향유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지 않다. 그 결과, 대포동 1호의 비행이 우주비행의 자유로서의 권리에 기초하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규범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 반면에 우주공간에서도 주권 국가들의 주권과 관할권은 완전히 배제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자신들의 안보를 위해서 우주공간에서의 활동을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는 학설도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북한의 발사실험 유예조치는 우주활동의 자유가 주권 국가들의 요구에 의해서 유보되는 특별한 관습법 형성의 과정을 의미할 수도 있다.

  • PDF

후기 청소년의 개체화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Individuation and Ego Identity in Late Adolescence)

  • 백지숙
    • 아동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9-277
    • /
    • 1999
  • Individuation and ego identity formation was studied in 297 university students in North Cholla Province. They completed the Korean Late Adolescent Individuation Questionnaire, and the revised version of the Objective Measure of Ego Identity Status. One-way ANOVA revealed differences in identity status as a function of individuation categories except in moratorium status. Individuated(??) students yielded the highest identity achievement scores and the lowest diffusion scores. Ambiguous students yielded the highest diffusion scores. Less individuated(??) students had the highest foreclosure scores while pseudo-autonomous students had the lowest foreclosure scores.

  • PDF

북한미사일 실험의 국제법상 위법성에 관한 연구 (The International Legality of the North Korean Missile Test)

  • 신홍균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1-234
    • /
    • 2009
  • 북한은 우주의 평화적 이용 및 개발에 관한 주권적 권리를 주장하면서 발사체 실험을 수 차례 시행하였다. 발사는 인공위성을 우주 궤도에 진입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되었고, 이에 대해서 국제사회는 인공위성의 우주궤도 진입이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라는 점과 해당 발사체 기술은 대륙간 탄도탄의 제작에 직접 사용되는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에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발사체 실험을 사실상 미사일 발사 실험으로 간주하는 결의를 채택하였고, 북한은 발사체 실험의 중지를 일방적 선언한 바 있다. 1967년 우주조약 제1조의 해석 문제에 따라서 북한의 발사체가 우주개발을 위한 것으로서 우주비행의 자유를 향유하는 지위를 가진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으나, 안보리 결의는 이에 대한 구속력있는 결의를 통해서 이를 금지하고 있다. 안보리 결의는 북한의 미사일발사 중지를 요청(demand)한 것에 그치기에 법적인 구속력을 가진 것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고, 따라서 북한의 미사일발사를 위법이라고 규정한 것으로 해석되지도 않는다. 그렇다면 그러한 내용의 안보리 결의는 우주조약에 따른 우주공간의 자유로운 탐사 및 이용에 관한 권리와 상충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북한의 발사체가 대량파괴 무기확산에 따라서 국제평화와 안전에 위협을 주는 대상에 포함된다는 안보리 결의는 구속력있는 결정에 속하는 사항이라고 보아야 한다. 안보리 결의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지 않을 것에 대해서는 요구라는 표현을 택하고 있지만, 제1718호의 제5항에서 북한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관련된 일체의 행위를 중지하고 미사일 발사에 관한 기존의 유예조치를 재이행할것에 대해서는 결정이라는 표현을 택하고 있다. 그렇다면 북한의 그러한 발사체에 관련된 행동은 구속력있는 안보리 결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다. 즉 발사체를 발사할 권리는 부인되지 않지만, 대량파괴무기 확산에 관련된 프로그램은 금지된다. 북한의 발사체 발사는 북한이 이미 선언했던 유예조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대량파괴무기 확산금지에 따른 제한에 같이 포함되는 것으로서 북한의 발사체는 미사일로서 그에 관련된 일체의 행위는 그 유예조치에 의해서 제한된다. 이것이 안보리 결의에 담긴 결정 사항이고 구속력을 갖고 있는 결정이다. 북한은 광명성 2호를 운반하려는 은하 2호는 우주개발을 위한 목적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대량파괴무기확산 금지의 목적하에 구속력있는 안보리 결의와 그에 따르는 1967년 우주조약에 따라서 그러한 발사행위는 금지 대상에 속한다. 북한의 우주개발을 위한 행위 자체가 위법한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즉, 우주조약 제1조에 따른 권리와 지위에는 영향은 없다고 보여진다. 다만, 북한이 발사체 실험을 유예한다고 선언한 사실 및 그로 인한 법적 효과, 발사체 기술이 갖는 정치적 특성 등에 따라서, 북한의 발사체 실험은 미사일 실험이고 미사일 실험은 금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