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mer

검색결과 1,642건 처리시간 0.022초

에틸 알코올/물 혼합 용매에서 아크릴아미드의 분산 중합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in Ethanol/water Media)

  • 이기창;이성은;송봉근
    • 폴리머
    • /
    • 제27권4호
    • /
    • pp.358-363
    • /
    • 2003
  •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와 암모니움 퍼설페이트를 각각 입자 안정제와 개시제로 사용하여 에틸 알코올/물 혼합 분산매에서 아크릴아미드의 분산 중합을 다양한 중합 조건하에서 수행하여 생성되는 poly(acrylamide) (PAM) 라텍스의 평균 입자경, 라텍스 고분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 수용화 정도 등을 관찰하였다. 일반적으로 PAM 라텍스의 평균 입자경은 개시제의 농도, 분산매 중의 물의 농도, 중합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단량체의 농도, 입자 안정제의 농도는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라텍스 상태로 얻어진 PAM 고분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단량체의 농도, 입자 안정제의 농도, 분산매 중 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또는 개시제의 농도, 중합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PAM 라텍스는 0.5~2.4 $\mu\textrm{m}$의 평균 입자경과 20000~335000g/㏖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은 물중에 분산하였을 때 순간적으로 수용화되었다.

EP 공중합체, EPB 및 EPDM 삼중합체의 단량체조성에 관한 $^{13}C$-NMR 분석 ($A^{13}$ CNMR Determination of Monomer Composition in EP Copolymers, EPB and EPDM Terpolymers)

  • 이강봉;안성욱;이재성;권지혜;최영상
    • 분석과학
    • /
    • 제7권1호
    • /
    • pp.91-102
    • /
    • 1994
  • 일련의 polypropylene 계통의 공중합체 및 삼중합체 중에서 단량체의 조성에 관한 조성비를 $^{13}C-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고온에서 얻어진 고분자의 $^{13}C-NMR$ 스펙트럼은 아주 높은 분해능을 보이며, 이는 모든 시그날을 명확하게 지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또한 단량체의 조성비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단량체의 조성비를 계산하는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였으며, 고분자에서 dyad, triad, tetrad 및 pentad의 조성비도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단량체 조성에 관한 NMR 분석 결과는 표준 물질을 이용하여 정량한 IR data와 잘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 PDF

The effect of denture base surface pretreatments on bond strengths of two long term resilient liners

  • Kulkarni, Rahul Shyamrao;Parkhedkar, Rambhau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3권1호
    • /
    • pp.16-19
    • /
    • 2011
  • PURPOS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 of two surface treatments, sandblasting and monomer treatment, on 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two long term resilient liners and poly (methyl methacrylate) denture base resin. MATERIALS AND METHODS. Two resilient liners Super-Soft and Molloplast-B were selected. Sixty acrylic resin (Trevalon) specimens with cross sectional area of $10{\times}10$ mm were prepar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f 30 specimens each. Each group was surface treated (n = 10) by sandblasting (250 ${\mu}$ alumina particles), monomer treatment (for 180 sec) and control (no surface treatment). Resilient liners were processed between 2 poly(methyl methacrylate) surfaces, in the dimensions of $10{\times}10{\times}3$ mm. Tensile strength was determined with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head speed of 5 mm/min; and the modes of failure (adhesive, cohesive or mixed) were record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followed by Tukey HSD test (${\alpha}$= 0.05). RESULTS. Monomer pretreatment of acrylic resin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s when compared to sandblasting and control for both resilient liners (P < .001). Sandblastin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ond strength for both the liners when compared to monomer pretreatment and control (P < .001). Mean bond strength of Super-Soft lined specime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olloplast-B in various surface treatment groups (P < .05). CONCLUSION. Surface pretreatment of the acrylic resin with monomer prior to resilient liner application is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bond strength between the base and soft liner. Sandblasting, on the contrary, is not recommended as it weakens the bond between the two.

실시간 In-situ IR을 이용한 Glycidyl Azide Monomer(GAM)의 양이온중합 반응속도 연구 (Kinetic Study on the Cationic Polymerization of Glycidyl Azide Monomer(GAM) by Real-Time In-suti IR)

  • 김형석;김관영;강신춘;노시태;김진석;유재철;최근배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28-235
    • /
    • 2009
  • We synthesized glycidyl azide monomer(GAM) as a monomer for polymerization of glycidy azide polymer(GAP) which is a promising energetic prepolymer for a plastic-bonded explosive. Using quantitative real-tim in-situ infrared(in-situ IR) spectroscopy, kinetic study on the cationic ring opening polymerization of GAM was carried out. The reaction rate was obtained from monitoring the change of ether C-O stretching band($1050cm^{-1}$) in series IR spectra. The reaction was in accordance with the first-order reaction law for each of reaction temperature at 100/1 mole ratio of [GAM]/[$BF_3*etherate$]. In the ring opening polymerization of GAM, with ratio of [GAM]/[$BF_3*etherate$] to equal 100/1 at various temperature, the activation parameters obtained from the evaluation of kinetic data were ${\Delta}H^*$=14.34kcal/mol, ${\Delta}S^*=-12.31cal/mol{\cdot}K$ and $E_a$=14.89kcal/mol.

기능성 단량체가 키랄 물질의 체류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nctional Monomer on Retention Factor of Chiral Racemate)

  • 김은철;노경호
    • KSBB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260-265
    • /
    • 2005
  • N-CBZ-L-phenylalanine를 주형분자로 하고 MAA와 4-VPY를 기능성 단량체로 하여 분자각인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N-CBZ-L-phenylalanine와 MAA, 4-VPY는 수소결합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이온결합과 소수성결합도 작용하고 있다. 혼합성분을 기능성 단량체로 사용함으로 하여 단량체의 성분들 사이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혼합 성분인 MAA와 4-VPY를 기능성 단량체로 한 분자각인 고분자에서의 체류인자가 단일성분인 MAA를 사용한 고분자에서의 체류인자보다 컸고 컬럼 효율은 낮았지만 분리도는 높았다. 산성인 MAA와 염기성인 4-VPY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인 N-CBZ-L-phenylalanine과 N-CBZ-D- phenylalanine의 분리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혼합된 성분의 기능성 단량체로하여 제조된 분자각인 고분자를 키랄 물질의 분리를 비롯한 천연물질의 분리에 더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틸리티 절감을 위한 미반응 스티렌 모노머 회수공정의 설계 (Process Design for Recovery of Unreacted Styrene Monomer for Utility Saving)

  • 봉주영;나수진;이광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1호
    • /
    • pp.54-59
    • /
    • 2017
  • ABS 중합공정 중 잔류 모노머 회수 공정의 유틸리티 사용량 절감을 위한 공정의 개선을 수행하였다. ABS 폴리머 생산 과정 중 잔류 모노머 회수 공정은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잔류 모노머의 회수를 위한 다양한 방식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것은 스팀 스트리핑 공정이다. 기존의 스팀 스트리핑은 많은 양의 스팀과 냉각수가 사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유틸리티 사용을 절감하는 새로운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스트리핑 후 모노머와 함께 배출되는 스팀의 잠열을 진공상태의 수증기로 회수하고, 압축으로 온도를 상승시켜 스트리핑 스팀으로 재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스팀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였다. 또한 모노머 최종 회수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을 모노머 응축에 냉각수로 활용함으로써 용수에 대한 사용량도 감소 시킬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Wood-Plastic Combinations(III) Preparation of Wood-Plastic Combinations by Thermal Curing Method

  • Kim, Jaerok;Lee, Kyung-Hee;Pyun, Hyung-Chic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301-305
    • /
    • 1972
  • 육송 미송 포플라 등 국산 연질 목재에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을 촉매와 함께 침투시키고 열중합함에 있어서 시간에 따르는 중합율을 구하고 이것을 방사선 중합으로 WPC를 제조할 때 얻은 간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합율로 보아서는 육송, 미송이 포플라보다 좋으며 M.M.A.가 다른 단량체보다 효과적이다. (2) 비닐아세테이트는 일반적으로 열중합에 의한 중합율이 저조한 편이며 특히 포플라에 침투된 경우 매우 낮아 W.P.C.를 만들기 곤란하다. 그러나 비닐아세테이트와 M.M.A.를 같이 침투시키면 나무종류나 중합방법에 별 관계없이 매우 빨리 중합하여 가장 효과적이다. (3) 나무에 침투된 단량체나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의 경향은 나무가 많은량의 수지를 함유하지 않는다면 중합방법에 관계없이 단량체나 단량체 혼합물 자체만일때의 중합의 경향과 같다.

  • PDF

Pseudomonas sp. RY-1에 의한 Medium-chain-length Polyhydroxyalkanoates의 생분해 (Biodegradation of Medium-chain-length Polyhydroxyalkanoates by Pseudomonas sp. RY-1)

  • 류강은;김영백;양영기;이영하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4-90
    • /
    • 2000
  • Psudomonas sp. RY-1이 생성하는 extracellular depolymerase system을 이용하여 단위체의 결가지에 서로 다른 탄소 길이와 불포와기를 함유하는 medium-chain-length polyhdroxyalkanoates (MCL-PHAs)의 생분해도를 시럼실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생분애도는 평파내지에서의 clear zone 형성, 효소 처리에 의한 고분자 현탁액의 탁도 감소 및 호흡량의 경시적 변화로 측정하였다. Pseudomonas sp. RY-1은 MCL-PHA depolymerase의 생성을 통하여 조사된 모든 종류의 MCl-PHAs를 분해할 수 있었으나, 이 효소의 생성은 쉽게 이용될수 있는 이차기질에 의해 저해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MCl-PHAs의 분해율이 단위체의 탄소수가 홀수개로 구성된 고분자에 비하여 보다 높았다. 곁가지에 분포화기를 함유한 MCl-PHAs는 불포화기를 갖지 아니하는 고분자에 비하여 분해가 빠르게 이루어졌으며, 이들의 분해는 고분자의 결정화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BA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특성 및 내구성 (Phys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Polymer Modified Mortar Using Styrene and Butyl Acrylate Latexes)

  • 형원길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342-34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스티렌(styrene; St)과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BA)를 단량체 비에 따라 합성 제조하고, 합성제조된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성질과 내구성에 대한 특성을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와 기존에 생산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St/BA계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St/BA의 단량체 비가 50:50, 60:40일 경우에는 시멘트 혼화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였으며, 강도특성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방수성능과 염화물 이온에 대한 침투 저항성, 그리고 중성화 저항성도 St/BA의 단량체 비가 증가할수록, 폴리머 시멘트 비가 증가할수록 증진효과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합성제조된 St/BA 라텍스를 시멘트 모르타르에 혼입할 경우 우수한 성능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Photo-induced Living Cationic Polymerization of Isobutyl Vinyl Ether in the Presence of Various Combinations of Halides of Diphenyliodonium and Zinc Salts in Methylene Chloride

  • Kwon Soonhon;Chun Hyunjeong;Mah Soukil
    • Fibers and Polymers
    • /
    • 제5권4호
    • /
    • pp.253-258
    • /
    • 2004
  • Living nature of photoinduced cationic polymerization of isobutyl vinyl ether (IBVE) in the presence of various combinations of diphenyliodonium halide (DPIX), a photocationic initiator and zinc halide $(ZnX_2)$ in methylene chloride has been investigated. Attainment of $100\%$ conversion and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conversion and number average molar mass of the resulting polymer, strongly suggests the living nature of this system. Livingness of the polymerization system was observed irrespective to the type of halide anion of the initiator and zinc salts unless the reaction temperature is not higher than $-30^{\circ}C$. The rate of polymerization decreases in the order of iodide > bromide > chloride when halide salt of DPIX and $ZnX_2$ are used. It is postulated that the cationic initiation is started by the insertion of weakly basic monomer in to the activated C-X terminal of the monomer adduct which is a reaction product of monomer and HX, a photolytic product of DPIX, formed in situ during the photo-irradiation process. It was concluded that polymerization is initiated by the insertion of weakly basic monomer into activated C- X terminal of monomer adduct due to the pulling action of$ZnX_2$, which successively producing a new polarized C-X terminal for the propagation in cationic nature. This led us to a conclusion that the living nature of this cationic polymerization is ascribable to the polarized C-X growing terminal, which is stable enough to depress the processes of chain transfer or termina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