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itoring categories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7초

STS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견해에 관한 평가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High School Studen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 임재항;강순민;공영태;최병순;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43-1157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STS에 대해서 우리 나라 고등학생들이 가지는 견해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 도구인 HS-VOSTS(Korean Students' Views on STS)를 개발하는 것이다. HS-VOSTS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수행하였다. 우선, 문헌과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4가지 범주의 10가지 하위 범주와 관련하여 23개의 논제를 포함하는 STS 범주 체계를 설정하였다. STS 범주 체계는 정의 과학의 외적 사회학 과학의 내적 사회학 인식론의 네 가지의 커다란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STS 범주 체계를 기초로 4단계에 걸쳐 문항을 개발하였다. 1단계에서는 각 논제에 대한 짝진술문을 기초로 학생진술 문항지를 작성하여 772명의 고등학생들(16.3세)에게 투입하였다. 2단계에서는 짝진술문 중 하나를 제거하여 문항의 진술문으로하고, 분류된 공통견해를 답지로 하여 1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구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고등학생 28명(16.5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 분석을 통해 2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구성하였다. 4단계에서는 2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고등학생 306명에게 적용하여 낮은 반응비율을 보인 답지들을 제거하여 최종 검사도구를 완성하였다. HS-VOSTS는 학생들의 STS에 대한 신념 및 견해를 알아볼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서, 그 결과는 교사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개발자, 교과서 저자, 교육정책 입안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웹검색 행태 연구 - 사용자가 스스로 쿼리를 뭉치는 방법으로 - (Web Search Behavior Analysis Based on the Self-bundling Query Method)

  • 이중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9-228
    • /
    • 2011
  • 검색이 편재화 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PC를 너머 스마트폰과 스마트TV에서도 검색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검색행태도 진화 중이다. 하지만 검색행태 연구는 서버의 트랜잭션 로그(transaction log)를 기반으로 하거나 사용자 로그(user log)를 관찰하는 경우에도 개별 쿼리(query instance)를 분석단위로 삼기에 여러 매체와 여러 시간을 가로지르는 검색 행태를 분석하기에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덩어리 지운 쿼리 뭉치(bundled query)를 살펴보아 시간과 매체를 가로지르며 궁금증을 해결해 나가는 사용자의 검색행동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사용자 PC에 웹로그 캐처를 설치하고, 취합된 웹검색 기록을 사용자들이 직접 덩어리 지워 같은 궁금증을 가진 뭉치를 만들도록 하였다. 또한 각 뭉치에 대한 설문을 통해 검색의 동기, 계기, 만족도 및 검색 후 활동을 조사하였다.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뭉치는 전화 인터뷰를 통해 검증하였고 맥락을 확인하였다. 뭉치를 통한 인터뷰는 검색 당시의 기억을 떠올리는 힌트로 작용하여 사용자의 검색 회상을 생생하게 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들은 하루에 평균 4.75개의 검색 뭉치를 발생시키고, 각각의 검색 뭉치는 평균 2.75개의 쿼리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뭉치 내 쿼리의 발전을 '쿼리의 정교화'와 '주제의 정교화'라는 상위 범주 아래 9개의 패턴으로 확인하였다.

돼지 생식기호흡기증후군바이러스의 농장단위 방역대책 수립을 위한 혈청학적 및 바이러스학적 감염유형 분석법 적용 및 비교 (Comparison of Serological and Virological Analysis for Infection Patterns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to Establish a Farm Level Control Strategy)

  • 김성희;이창희;박최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70-1176
    • /
    • 2009
  •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has plagued pig populations worldwide causing severe economical impacts.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PRRS, infection patterns on the herd level are primarily evaluated. I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serological and virological analyses were conducted in 20 pig farms suffering from PRRS. Seroprevalence levels in each farm were grouped into 3 patterns: SN (Stable sow groups/Not infected piglet groups, SI (Stable sow groups and Infected piglet groups), and UI (Unstable sow groups and Infected piglet groups). The rates of each serological pattern were 15% (n=3), 10% (n=2), and 75% (n=15),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attern analysis was extended to virological monitoring on the same farms that further included suckling pig groups. As a result, the infection pattern was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SNI (Stable sow groups/Not infected suckler groups/Infected piglet groups), SII (Stable sow groups/Infected suckler groups/Infected piglet groups), UNI (Unstable sow groups/Not infected suckler groups/Infected piglet groups), and UII (Unstable sow groups/Infected suckler groups/Infected piglet groups). The rates of each viroprevalence were estimated at 50% (n=10), 30% (n=6), 10% (n=2), and 10% (n=2), respectively. PRRSV viroprevalence results of suckling pig groups revealed that 8 farms were considered virus positive. In 2 farms among these farms, PRRSV appeared to be transmitted vertically to suckling piglets from their sows. In contrast, piglet-to-piglet horizontal transmission of PRRSV seemed to occur in sucking herds of the remaining farms. Thus, this virological analysis on suckling piglet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understand PRRSV transmission routes during the suckling period and to improve a PRRS control programs. Our seroprevalence and viroprevalence data found that infection patterns between sow and piglet groups are not always coincident in the same farm. Remarkably, 15 farms belonging to the UI seroprevalence pattern showed four distinct viroprevalence patterns (SNI; 7, SII; 4, UNI; 2 and UII; 2). Among these farms, 11 farms with unstable seroprevalence sow groups were further identified as the stable viroprevalence patter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espite the absence of typical seroconversion, PRRSV infection was detected in several farms, implying the limitation of serological analysis. Taken together, our data strongly suggests that both seroprevalence and viroprevalence should be determined in parallel so that a PRRS control strategies can be efficiently developed on a farm level.

수리시설물 누수탐지에 대한 자연전위법 적용 및 수치 해석 (Application of SP Survey and Numerical Modeling to the Leakage Problem of Irrigation facilities)

  • 송성호;권병두;양준모;정승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5권4호
    • /
    • pp.257-261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수리시설물의 누수 문제에 대한 자연전위법의 적용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장 탐사와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한 저수지들의 경우는 일반적인 흙 댐의 손상 형태 중 제체 양안 접합부를 통한 누수, 파이핑 형태의 제체를 통한 누수, 사면의 활동파괴와 다짐불량에 의한 구조물 자체 변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누수가 관찰되었다. Sill(1983)이 개발한 자연전위 모델링 코드를 이들 수리시설물에 적합하도록 변형 개선시켜 누수 모델에 적용한 결과 야외 탐사자료와 유사한 자연전위 이상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저수지의 경우 누수 유형을 구분한 후 자연전위 모델링을 수행하면 누수 구간 및 누수 유로에 대한 효과적인 규명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방조제의 경우는 해수 유입으로 발생되는 유동전위에 대한 자연전위 모니터링 결과를 조석 변화와 대비 검토한 결과, 변화양상이 서로 일치되어 나타나므로 누수 지점 탐지와 더불어 누수 추세를 밝히는데 모니터링 기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자연전위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는 해수 유입에 의한 자연전위 이상이 잘 재현됨을 확인하였다.

메탄올 작업장 노출 평가에의 EU REACH 프로토콜 적용: Targeted Risk Assessment (The Application of an EU REACH Protocol to the Occupational Exposure Assessment of Methanol: Targeted Risk Assessment)

  • 나진성;송문환;최은경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32-445
    • /
    • 2021
  • Background: The European Centre for Ecotoxicology and Toxicology of Chemicals' Targeted Risk Assessment (ECETOC TRA) tool has been recognized by EU REACH as a preferred approach for calculating worker health risks from chemicals. Objectives: The applicability of the ECETOC TRA to occupational exposure estimation from industrial uses of methanol was studied by inputting surveyed and varied parameters for TRA estimation as well as through comparison with measured data. Methods: Information on uses of methanol was collected from seven working environment monitoring reports along with the measured exposure data. Input parameters for TRA estimation such as operating conditions (OCs), risk management measures (RMMs) and process categories (PROCs) were surveyed. To compare with measured exposures, parameters from the surveyed conditions of ventilation but no use of respiratory protection were applied. Results: PROCs 4, 5, 8a, 10, and 15 were assigned to ten uses of methanol. The uses include as a solvent for manufacturing sun cream, surfactants, dyestuffs, films and adhesives. Methanol was also used as a component in a release agent, hardening media and mold wash for cast products as well as a component of hard-coating solution and a viscosity-controlling agent for manufacturing glass lenses. PROC 8a and PROC 10 of a cast product manufacturer without LEV (local exhaust ventilation) and general ventilation as well as no respiratory protection resulted in the highest exposure to methanol. Assuming the identical worst OCs and RMMs for all uses, exposures from PROC 5, 8a, and 10 were the same and the highest followed by PROC 4 and 15. The estimation resulted in higher exposures in nine uses except one use where measured exposure approximated exposures without RMMs. Conclusions: The role of ECETOC TRA as a conservative exposure assessment tool was confirmed by comparison with measured data. Moreover, it can guide which RMMs should be applied for the safe use of methanol.

Research on rapid source term estimation in nuclear accident emergency decision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based on Bayesian network

  • Wu, Guohua;Tong, Jiejuan;Zhang, Liguo;Yuan, Diping;Xiao, Yiqi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8호
    • /
    • pp.2534-2546
    • /
    • 2021
  • Nuclear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is an essential part to ensure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 (NPP). Key support technologies of nuclear emergency decision-making usually consist of accident diagnosis, source term estimation, accident consequence assessment, and protective action recommendation. Source term estimation is almost the most difficult part among them. For example, bad communication, incomplete information, as well as complicated accident scenario make it hard to determine the reactor status and estimate the source term timely in the Fukushima accident. Subsequently, it leads to the hard decision on how to take appropriate emergency response actions. Hence,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method for rapid source term estimation to support nuclear emergency decision making in pressurized water reactor NPP. The method aims to make our knowledge on NPP provide better support nuclear emergency. Firstly, this paper studies how to build a Bayesian network model for the NPP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and engineering knowledge.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ransforming the PRA model (event trees and fault trees) into a corresponding Bayesian network model. To solve the problem that some physical phenomena which are modeled as pivotal events in level 2 PRA, cannot find sensors associated directly with their occurrence, a weighted assignment approach based on expert assessment is proposed in this paper. Secondly, the monitoring data of NPP are provided to the Bayesian network model, the real-time status of pivotal events and initiating events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junction tree algorithm. Thirdly, since PRA knowledge can link the accident sequences to the possible release categories, the proposed method is capable to find the most likely release category for the candidate accidents scenarios, namely the source term. The probabilities of possible accident sequences and the source term are calculated. Finally, the prototype software is checked against several sets of accident scenario data which are generated by the simulator of AP1000-NPP, including large loss of coolant accident, loss of main feedwater, main steam line break, and steam generator tube rupt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for rapid source term estimation under nuclear emergency decision making is promising.

더러브렛 경주마에서 운동능력 평가를 위한 훈련 중 심박수 및 속도측정 수치 활용방안 연구 (The Application of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and Velocity during Training to Assess Racing Performance in Thoroughbred Horses)

  • 이영우;황혜신;송희은;심승태;고정자;서종필;이경갑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2-67
    • /
    • 201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pply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and velocity in training horses for assessing race performance. Additionally, we aimed to identify parameter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training level and exercise capacity. Eleven healthy 2- to 6-year-old Thoroughbreds were trained by the standard training program and heart rate and velocity were measured by using heart monitoring system and GPS. Regression analysis in heart rate and velocity data was performed to calculate velocity parameters. The mean maximal heart rate in gallop was $214{\pm}11bpm$. The mean $V_{140}$, $V_{180}$, $V_{200}$ and $VHR_{max}$ were $13.8{\pm}4.3km/h$, $37.5{\pm}3.8km/h$, $49.3{\pm}4.3km/h$ and $57.4{\pm}7.1km/h$ respectively. The mean $V_{140}$ of high performance raceho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ow performance racehorses (P < 0.05). Moreov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elocity parameters and racing ability-related categories showed that $V_{140}$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ating (P < 0.05), $V_{180}$ and $VHR_{max}$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ize money per race (P < 0.05). Also, $V_{140}$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1F (P <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and velocity during training could be useful methods to assess fitness for races or performance potential. Especially, $V_{140}$ is a good parameter to evaluate a performance of racehorses in Korea.

소셜미디어 사진 게시물의 딥러닝을 활용한 도시공원 이용자 활동 이미지 분류모델 개발 (Development of Image Classification Model for Urban Park User Activity Using Deep Learning of Social Media Photo Posts)

  • 이주경;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2-5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의 딥러닝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는 도시공원 이용자 활동사진을 분류하는 기초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소셜미디어 데이터는 네이버 검색을 통해 수집된 도시공원 관련 사진들을 수집하여 분류모델에 활용하였다. 도시공원 특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지표인 자연성(naturalness), 잠재적 매력성(potential attraction), 활동(activity)을 기반으로 최종 21개의 분류 항목체계를 만들고, 항목별로 네이버에서 공유되는 실제 도시공원 사진을 수집하여 주석이 달린 데이터 세트를 구축했다. 수집한 사진 데이터 세트에 대해 커스텀(cuntom) CNN 모델과 사전 훈련된 CNN의 전이학습 모델을 설계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던 Xception 전이학습 모델이 최종적으로 도시공원 이용자 활동 이미지 분류모델로 선정되었으며, 그 외 다양한 평가 지표를 통해 모델을 평가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 공유되는 이용자 사진을 활용하여 도시공원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서 AI를 구축한 것에 의의가 있다. 딥러닝을 활용한 분류모델은 수동분류에 대한 한계를 보완하고, 대량의 도시공원 사진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어서 향후 도시공원의 모니터링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 수준의 과학문화 실태 진단을 위한 지표 체제 개발 (Developing the Indicator System for Diagnosing the National Status Quo of Science Culture)

  • 송진웅;최재혁;김희경;정민경;임진영;조숙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6-330
    • /
    • 2008
  • 지난 수 십 년 동안 과학문화는 과학정책 및 과학교육의 주요 화두가 되어왔다. 그러나 과학문화의 정의나 과학문화의 측정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여러 과학문화 관련 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국가기관 및 민간기간에서 과학문화와 관련된 사업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나, 이러한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 문화의 새로운 모형과 한국의 과학문화를 진단하기 위한 과학문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문헌에서의 과학문화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국내외의 과학기술 관련 지표를 참고하여 과학문화를 '개인과 사회가 과학기술과 관련하여 공유하는 잠재적이고 실천적인 삶의 양식 및 가치의 총체'라고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과학문화를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다시 잠재와 실행적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개인적 차원은 개인의 과학문화 소양을, 사회적 차원은 과학문화 기반시설을 의미한다. 이 $2{\times}2$의 각각의 범주는 다시 여러 개의 하위범주로 나눠진다. 개인의 잠재적 영역을 의견 관심 이해로, 개인의 실행적 영역은 학습 적용 참여로, 사회의 잠재적 영역은 인적 물적 제도적 인프라로, 사회의 실행적 영역은 매체 행사 시민활동으로 나눠진다. 각각의 범주는 서로 순환적이며 복합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지표는 과학문화를 체계적이며 종합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국내외의 과학기술 관련 지표의 조사결과와 비교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표를 이용하여 국가적 수준에서 정기적으로 과학문화의 현황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경변이에 대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학적 형질과 기능적 다양성 분석: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관점에서 (Characterizing Responses of Biological Trait and Functional Divers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to Environmental Variables to Develop 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dex)

  • 문미영;지창우;이대성;이다영;황순진;노성유;곽인실;박영석
    • 생태와환경
    • /
    • 제53권1호
    • /
    • pp.31-45
    • /
    • 2020
  • 군집지수와 FD와의 상관분석 결과 FD는 군집지수 중 Shannon 다양도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조사지점은 환경 특성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고도에 따라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고도가 높은 그룹 1은 산림의 비율이 많고 좋은 수질을 보였으나 고도가 낮은 그룹 6은 수질이 양호하지 않았다. 환경 구배에 따른 조사지역 그룹과 군집지수와 FD의 연관성 분석을 위해 NMDS를 시행하였으며 그룹 1~3에서 FEve를 제외한 모든 지수가 높았다. 그룹 간의 종구성은 그룹 1~3에는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이 높았으며, 그룹 4, 5에는 잠자리목, 딱정벌레목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생물학적 형질은 그룹 1~3에서 생식기간이 길고, 이동성이 낮은 형질 특성을 보였으며 생물의 저항력 전략을 잘 보여주었다. 반대로 그룹 4~6은 생식기간이 짧고, 이동성이 높은 회복력의 전략을 뚜렷하게 반영해 주었다. 수질의 오염도가 낮은 상류는 교란의 빈도가 적고 공간적으로 높은 이질성을 가졌으며 생물이 주로 저항성 전략을 보였으며 생물이 서식지에 오래 머무를 수 있어 기능적, 구조적 생물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수질의 오염도가 높은 하류는 교란의 빈도가 높고 공간적으로 균질성이 높으며 생물은 주로 회복력의 전력을 보여 교란에 의해 이동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휴면기, 고치, 세포, 알 등의 독특한 형태를 갖는 반면 생물다양성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의 기능적 다양성은 수서 생태계 환경과의 관계를 잘 설명해 주었다. 따라서 생물의 형질을 이용한 기능적 다양성은 잠재적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