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ascus Purpureu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17초

홍국발효 황금이 Lipopolysaccharide 유발 급성 폐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Koji Fermented Scutellariae Radix Extracts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t Acute Lung Injury)

  • 김광록;권경만;윤용재;이영준;박동일;김종대;정태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74-885
    • /
    • 2012
  • In the present study, the possibility of whether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Aqueous Extracts(SR) were favorably changed by report that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rat acute lung injury was treated with Red-Koji(Monascus purpureus 12002) fermentation. Three different dosages of Red-Koji fermented SR extract(fSR), 125, 250 and 500 mg/kg were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28 days before LPS(Escherichia coli 0111:B4) treatments, and then 5 hours after LPS treatment(500 ${\mu}g$/head, intra trachea instillation), all rats were sacrificed. Changes in the body weights, lung weights, pulmonary transcapillary albumin transit, arterial gas parameters(pH, $PaO_2$ and $PaCO_2$) bronchoalveolar lavage fluid(BALF) protein, lactate dehydrogenase(LDH)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interleukin-$1{\beta}$(IL-$1{\beta}$) contents, total cell numbers, neutrophil and alveolar macrophage ratios, lung malondialdehyde(MDA), myeloperoxidase(MPO), proinflammatory cytokine TNF-${\alpha}$ and IL-$1{\beta}$ contents were observed with histopathology of the lung, changes on luminal surface of alveolus(LSA), thickness of alveolar septum, number of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PMNs). As results of LPS-injection, dramatical increases in lung weights, pulmonary transcapillary albumin transit increases in $PaCO_2$, decreases in pH of arterial blood and $PaO_2$, increases of BALF protein, LDH, TNF-${\alpha}$ and IL-$1{\beta}$ contents, total cells, neutrophil and alveolar macrophage ratios, lung MDA, MPO, TNF-${\alpha}$ and IL-$1{\beta}$ contents increases were detected with decreases in LSA and increases of alveolar septum and PMNs numbers,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intact control. Especially fSR 125 mg/kg showed quite similar favorable effects on the LPS-induced acute lung injuries as compared with 60 mg/kg of ${\alpha}$-lipoic acid and 250 mg/kg of SR. The results suggest that over 125 mg/kg of fSR extracts showed favorable effects on the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mediated by thei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Moreover, increases of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SR on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were observed by Red-Koji fermentation in this study, at least 2-fold higher.

발효 동충하초의 이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in Fermented Cordycepin-enriched Cordyceps militaris)

  • 안희영;박규림;김유라;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32-1040
    • /
    • 2013
  • 유용발효미생물에 의한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생리활성 작용 및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2 종의 유산균 Lactobacillus hilgardii (Lh), Lactobacillus acidophilus (La)와 1 종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c), 1 종의 바실러스 Bacillus subtilis (Bs), 4 종의 곰팡이 Aspergillus oryzae (Ao), Aspergillus kawachii (Ak) 및 Monascus purpureus (Mp), Rhizopus oryzae (Ro)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발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미네랄 함량, 지방산 조성, 단백질 함량, 단백질 패턴,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분말의 주요 미네랄은 미네랄 성분 조성은 K, Mg, Ca, Na, Fe, Zn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K, Mg, Ca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주요 지방산 성분으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이다. 동충하초 분말과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분말 및 발효시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 단백질을 native-PAGE로 비교분석 한 결과 발효에 의해 균주에 상관없이 특정 부분의 단백질 분해를 확인하였고, SDS-PAGE 상의 단백질 패턴 분석에서는 66 kDa 크기의 단백질 밴드가 유산균 발효에 의해 분해 되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Aspergillus oryzae에서 새로운 단백질 밴드를 확인하였다.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을 유용미생물로 발효시킨 결과 Bacillus subtilis 균주 발효에서 혈전용해 활성이 17.1 unit으로 높게 나왔으며, Lactobacillus hilgardii 균주 발효에 의해서는 7.2 unit으로 낮은 혈전용해 활성이 나왔다. 항산화 활성은 발효시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에서 균주 종류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하게 나왔지만 시판 항산화제 BHT 처리구의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보다는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유용미생물 발효에 의한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이 발효 전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보다 강화됨으로써 건강식품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발효당귀가 Orotic acid 유발 흰쥐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on Lipid Metabolism in Orotic Acid Model Rats)

  • 안희영;박규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43-749
    • /
    • 2014
  • Orotic acid 1% 수준으로 지방간을 유발시킨 흰쥐에 Monascus purpureus 균주 발효 당귀 5%를 식이 첨가하여 간 조직 및 혈중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발효 참당귀 분말을 10일간 식이 급여한 결과, orotic acid 유발 지방간 흰쥐의 간 조직 내 중성지질 농도를 낮추고, 혈청 지질 농도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간 조직 내 MTP mRNA 및 PDI mRNA 발현 정도는 정상군에 비해 발효 당귀군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거나, 유의적으로 증가된 수치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형태학적 관찰에서는 세포 간극이 좁고 잘 구성된 소엽구조를 하고 있는 정상군에 반해 OA 대조군은 orotic acid 투여로 소포성 지방 변성이 소엽 중심대에 나타나 있고,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여 전형적인 지방간 형태의 양상을 보였다. 한편, 발효 당귀군의 간장은 간세포의 소포성 지방세포들이 현저히 감소함으로써, 정상 수준의 형태학적 간 성상을 나타내어 지방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간 조직의 지질 축적 억제로 인한 지질대사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 동충하초의 유용성분 및 생리 활성 작용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rdyceps militaris Powder Fermented by Several Microscopic Organisms)

  • 안희영;박규림;윤경훈;이재윤;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7-205
    • /
    • 2015
  • 본 실험은 동충하초 분말과 8가지 균주로 각각 발효한 동충하초 분말의 혈전용해 활성,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그리고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미네랄 함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한 결과 CAo군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발효 전에 비해 가장 증가하였고, 주요 미네랄인 K, Mg, Ca, Zn 등의 함량 역시 증가하였다. 또 native-PAGE를 이용하여 발효 전과 발효 후 단백질을 비교하였을 때, CAo군에서 새로운 단백질이 관찰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는 CMp군이 다른 군에 비해 경미하게 높은 활성을 나타냈지만, 모든 군들이 합성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았을 때 CAo군이 C군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발효 후 번데기 동충하초의 항혈전을 비교한 결과, CAk군과 CBs군에서 큰 항혈전능을 나타내었다. 두 균주를 1%(v/w), 5%(v/w)로 접종하여 발효 시간과 발효 온도를 조정하면서 각각의 항혈전 최적 조건을 분석한 결과, CAk군과 CBs군 모두 5%(v/w)로 접종하여 $40^{\circ}C$에서 24시간 발효하였을 때 최대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번데기 동충하초는 발효 균주에 따라 건강 기능성식품의 원료 또는 혈전용해제의 원료로써 가능성을 보이며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홍국 유래 Monacolin K의 안정성 및 분리 (Stability and Isolation of Monacolin K from Red Yeast Rice)

  • 최무영;곽은정;임성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22-1027
    • /
    • 2004
  • 홍국을 이용한 기능성 건강식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홍국의 유효성분인 monacolin K의 안정성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열(20, 40, 60, 8$0^{\circ}C$), pH(2, 4, 8, 10), 유기산(pH 4.0으로 조정하기 위해 6% acetic acid, 0.6% citric acid, 1.5% lactic acid를 첨가) 및 수분량(0∼80%)을 조절하여 저장하면서 monacolin K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중성 aluminum oxide를 이용하여 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홍국으로부터 monacolin K를 분리하였다. 그 결과, monacolin K는 4$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상당히 불안정하여 분해되었다. pH에 대해서는 pH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 (pH 5.9) 에서 가장 안정하였고, 이어서 pH 8>4, 2>10의 순이었다. 3종의 유기산에 대한 안정성은 lactic acid>citric acid>acetic acid의 순으로 안정하였고, 산에 의한 안정성은 강산과 약산에 의한 차이보다 산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monacolin K는 수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해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Ope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monacolin K는 홍국 중의 적색 및 홍색 색소나 다른 비색소성 성분으로부터 분리 할 수 있었으며, 이의 회수율은 70%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