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ified XP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8초

Latest Transformations of XP Process Model: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Khan, Sadia;Fahiem, Muhammad Abuzar;Bakhtawar, Birra;Aftab, Shabib;Ahmad, Munir;Aziz, Nauman;Almotilag, Abdullah;Elmitwally, Nouh Sabr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6호
    • /
    • pp.143-150
    • /
    • 2021
  • Process model is an integral part of software industry. Different process models are used now a days in the industry for different software projects. Process models need to be tailored to address some specific project needs. Agile models are considered as the most widely used process models nowadays. They have distinctive features and the ability to address the dynamic needs of today's software development. Extreme programming (XP) is one of the extensively used agile process model especially for small projects.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mold XP to overcome its shortcomings and for better working in specific scenarios. Therefore, many customized versions of XP process model are available today.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analyze the latest customizations of XP. For this purpos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s conducted on studies published from 2012 till 2018 in renowned online search libraries. This comprehensive review highlights the purpose of customizations, along with the areas in which customizations are made, and phases & practices which are being customized. This work will serve the researchers to discover the modern versions of XP process model as well as will provide a baseline for future directions for customizations.

XPS를 이용한 Cu/Polyimide와 Cu/TiN 계에 대한 연구

  • 이연승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0년도 제18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69-169
    • /
    • 2000
  • 최근 반도체 소자의 초고집적화 현상에 따라 기존의 Al-base 합금에 대한 한계에 달하면서 그에 대한 대체 물질로 Cu가 관심을 모으게 되었고 그럼으로써 Cu metallization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Cu는 Al-base 합금계보다 비저항이 낮고, 녹는점이 높으며, 또한 electromigration 특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학적인 면에서 이미 이들 계에 대한 adhesion 및 전기적 특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이들 특성 변화에 대한 물리적 의미를 제공할 만한 기초 자료들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도체인 polyimide 박막과 diffusion barrier인 TiN 박막위에서의 Cu 박막성장에 따르는 interface chemical reaction의 변화를 XPS를 이용하여 관찰함으로서 이들 계에 있어서의 adhesion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XPS를 이용한 modified surface accumulation method를 적용시켜 TiN diffusion barrier를 통한 Cu의 grain boundary diffusion 상수들을 측정하였다. Cu/TiN system의 경우에는 interface chemical reaction이 일어나지 않았지만 Cu/polymide system에 있어서는 boundary diffusivity는 특히 40$0^{\circ}C$에서 $650^{\circ}C$ 영역에서, Db=60$\times$10-11exp[-0.29/(kBT)]cm2/sec 이었다.

  • PDF

Relation Between Electrical & Optical Properties of Ion Implanted MPPO(Modified-Polyphenylene Oxide)

  • 임석진;이재상;이준호;조용섭;주포국;최병호;이재형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207-207
    • /
    • 1999
  • 고분자 재료에 이온을 주입함으로서 소재 표면은 경도, 내마모, 내피로성의 기계적인 특성과 내부식성의 화학적 특성, 전기 전도도, 광학적 특성(Optical Density)의 물리적인 특성이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MPPO(Modified-Polyphenylene Oxide) 표면에 Ar, N2, He, H 이온을 50, 70, 100 KeV, Dose 1$\times$1014~1$\times$1017 ions/$ extrm{cm}^2$로 조사하였다. XPS와 RBS로 소재의 Binding Energy와 이온의 침투깊이, 분자 조성과 결합 상태 등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표면 저항값은 1$\times$1011~6.7$\times$106($\Omega$/$\square$)으로 감소함으로서 전기 전도도가 향상되었고, Optical Density는 증가하여 전기적 특성과 광학적 특성간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 PDF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 생성 모형을 이용한 도시 홍수 해석 (Application of the Poisson Cluster Rainfall Generation Model to the Urban Flood Analysis)

  • 박현진;양정석;한재문;김동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9호
    • /
    • pp.729-74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일종인 Modified Bartlett-Lewis Rectangular Pulse (MBLRP) 강우생성 모형의 도시홍수 모의에 있어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홍제천 유역의 남가좌 배수분구에 대하여 2차원 관망-지표면 홍수 모의프로그램인 XP-SWMM 모형을 구축하고, MBLRP 모형을 사용하여 생성된 200년 길이의 가상 강우 시계열을 입력 강우자료로 하여 홍수량, 침수면적을 산정하고 이를 설계 강우에 근거하여 산출된 값들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MBLRP 모형을 사용하여 산출된 홍수량 및 침수면적은 설계 강우에 근거한 값들과 비교하였을 때 다소 작은 값을 가졌고, 과소산 정의 정도는 8% (5년빈도)에서 34% (200년빈도)의 값을 가졌으며, 설계 강우의 재현기간에 따라 과소 산정의 정도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유역에서의 홍수 모의에 있어 몬테카를로 분석을 통한 침수관련 변수들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그 적용성 및 한계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SIMS, XPS, AFM을 이용한 LCD blue color filter의 고분자 표면 연구 (Characterization of polymer surface of LCD blue color filters using SIMS, XPS and AFM)

  • 김승희;김태형;이상호;이종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21-325
    • /
    • 1997
  • LCD용 칼라 필터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감광성 고분자(photosensitive polymer)에 광 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기술이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감광성 고분자 표 면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변하게 되는데, 이는 후속 공정인 플라즈마 식각이나 ITO 전극 의 증착 등에도 많은 영향을 주므로, 각 공정에 따른 이들 고분자의 표면 연구는 매우 중요 하다. 본 논문에서는 blue 칼라 필터의 고분자 표면에 대한 연구를 SIMS와 XPS를 이용하 여 수행하였으며, 표면의 거칠기 변화를 AFM을 통해 관찰하였다. SIMS와 XPS결과로부터 초기 공정인 blue 칼라 필터를 스핀 코팅하고 pre bake한 상태에서는 주로 칼라 필터의 주 성분인 단량체와 결합제의 고분자 물질이 표면에 드러나 있다가, 노광 과정을 거치고 post bake한 시료에서는 색깔을 내는 안료 성분이 표면에 드러남을 확인하였고, AFM을 통해서 는 post bake후에 표면에 더 거칠어 짐을 관찰하였다.

  • PDF

XPS를 이용한 TiN/Cu의 Grain boundary diffusion 연구 (The study of Grain boundary diffusion effect in Tin/Cu by Xps)

  • 임관용;이연승;정용덕;이경민;황정남;최범식;원정연;강희재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2-117
    • /
    • 1998
  • TiN을 Cu의 확산방지막으로 사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되어왔는데, 이 연구에서는 특히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를 이용하여 TiN박막에서의 Cu의 확산현상을 연구하였다. TiN박막은 일반적으로 columnar grain을 형성하면서 성장을 하는데, 녹는점의 1/3에 해당하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는 grain들의 경계를 따라 Cu가 확산함을 확인하였다. Atomic force microscopy(AFM)를 이용하여 grain의 모양을 관찰하였고, 이 grain boundary 를 통한 확산 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modified surface accumulation method를 이용하였 다. 연구 결과, TiN박막에서의 Cu의 grain boundary diffusion의 활성화 에너지 $Q_b$는 0.23 eV, Diffusivity $D_{bo}$$5.5\times10^{-12{\textrm{cm}^2$/sec의 값을 얻었다.

  • PDF

The effect of different drinks on the color stability of different restorative materials after one month

  • Tekce, Neslihan;Tuncer, Safa;Demirci, Mustafa;Serim, Merve Efe;Baydemir, Cana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4호
    • /
    • pp.255-261
    • /
    • 2015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drinks on the color parameters of four different restorative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different composites (Filtek Ultimate Universal Restorative, Filtek Ultimate Flowable, and Filtek Silorane, 3M ESPE) and a polyacid-modified composite resin material (Dyract XP, Dentsply DeTrey GmbH) were evaluated. Eighty-four disc-shaped specimens of 8 mm in diameter and 2 mm in thickness were prepared (n = 21 each). Color coordinates ($L^*a^*b^*$, ${\Delta}L^*$, ${\Delta}a^*$, ${\Delta}b^*$, and ${\Delta}E^*$) were measured using a $V{\dot{I}}TA$ Easyshade Compact ($V{\dot{I}}TA$ Zahnfabrik) after 24 hr of storage (baseline) and after 30 day of storage in three different beverages of black tea, Coca cola, or water (control) (n = 7). In each beverage, the specimens were stored three times a day, one hr each, for 30 day. The color changes (${\Delta}E$) were calculated and were analyzed by Kruskal-Wallis and Dunn multiple comparison test. Results: The color difference (${\Delta}E^*$) of the resin materials ranged between 1.31 and 15.28 after 30 day of immersion in the staining solutions. Dyract XP in Coca cola ($15.28{\pm}2.61$) and black tea ($12.22{\pm}2.73$) showed the highest mean ${\Delta}E^*$ value after 30 day, followed by Filtek Ultimate Universal Restorative ($5.99{\pm}1.25$) and Filtek Ultimate Flowable ($4.71{\pm}1.40$) in black tea (p < 0.05). Conclusions: The compomers displayed unacceptable color changes at the end of 30 day in all beverages. Among resin composites, the silorane based composite exhibited relatively good color stability than the others. Filtek Ultimate Universal Restorative and Filtek Flowable showed similar color changes in all beverages.

그라프트 중합에 의해 만들어진 폴리아크릴아마이드-실리카 나노 입자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oly(acrylamide)-SiOx Nanoparticles Prepared by Graft-polymerizaton)

  • 민준호;민성기
    • 공업화학
    • /
    • 제21권1호
    • /
    • pp.34-39
    • /
    • 2010
  • ${\gamma}-Methacryloxypropyl$이 가진 기능성 그룹으로 silica nanoparticle의 유기변형은 silica의 표면개질로 성공적으로 준비했다. 또한 ethanol 용매에서 AAm을 사용하는 radical 침전중합을 통해서 polyacrylamide를 MPSN nanosphere에 'raft from'방법으로 microsphere가 성공적으로 graft중합되었다. FTIR과 XPS는 ultra-fine silica particle의 표면에서 실리카개질이 공유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며 SEM분석은 ultra-fine particle과 유기변형된 입자는 각각 25, 30, 35 nm의 크기로 응집작용을 효과적으로 막아주고 나누어줌을 증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장기유출 해석을 위한 유효우량 추정 (Estiation of Effective Rainall for Daily Streamfiow)

  • 김태철;안병기;박승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6-124
    • /
    • 1989
  • Based on the theory of runoff equation proposed by SCS, the actual storage capacity(Sa) as a modified retention paramater was introduced to estimate the effective rainfall for the daily streamfiow analysis. During a storm, the actual storage capacity is limited by either soil water storage or infiltration rate as precipitation increases.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Sa is dependent on the baseflow before storm runoff(Qb) corresponding to soil water storage and the total amount of precipitation(P) corresponding to infiltration rate of a watershed. Effective rainfalls (Direct run-offs) estimate4 from SCS equation using Sa were compared with observed effective rainfalls at 10 watersheds in Geum river watershed boundary. 1. Regression equation for Sa was supposed Sa=Co+C$_1$XP+C$_2$X Qb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high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 01 and R$^2$ were 0.57 to 0.73. 2. The adjustment of coefficient of initial abstraction was made according to the storm size. It was adjusted to 025 for 30mm or less, 0.23 for 30 to 80mm, 0.20 for 80 to 200mm, and 0.1 for 200mm or more. 3.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estimated and observed effective rainfall showed that slopes were 0.857 to 1.029 and R$^2$ were 0.779 to 0.989,

  • PDF

UV 전처리 후 PET 표면의 성질과 무전해 구리 도금액 내에서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V Modified PET Surface and Effects in an Electroless Plating Solution)

  • 이건형;이홍기;허진영;임영생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6-177
    • /
    • 2015
  • 본 실험에서 PET 위 무전해 구리 도금을 위한 전처리 방법 중 하나인 UV 조사를 통해 전처리를 한 후 PET 표면의 특성과 염기성 무전해 도금액이 개질된 표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일반적으로 PET 표면을 개질시키기 위해 UVC(254nm) 파장을 이용하여 PET bond break (Chain Scission)을 이루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때 공기 중의 산소와 UV 조사를 통해 생성된 PET 내의 free radical과 산화 반응을 통해 친수성이 높은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PET 표면의 친수성을 측정하기 위해 접촉각 측정기가 사용되었으며, 표면의 거칠기 및 형상을 관찰하기 위해 AFM과 FE-SEM를 각각 이용하였다. 또한 PET 표면의 구조 변화는 XPS를 통해 분석을 진행 하였다. UV 조사 후 표면의 거칠기 및 친수성은 높아졌지만, 무전해 도금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분석 결과, 이는 표면에 형성된 Low Molecular Weight Oxidation Compound(LMWOC)가 염기성 수용액 내에서 용해되어 모두 씻겨 나가 표면에 형성된 Sn/Pd을 모두 떨어트린 것으로 판단되며, 위와같은 이유로 UV 조사 후 습식 공정에 적용하기 위해 표면개질 된 PET를 염기성 수용액을 통해 전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