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poem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고시조에서 현대시로 이동된 치유의 서정 (Healing Emotion Moved from Gosijo to Modern Poem)

  • 박인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133-138
    • /
    • 2018
  • 이 연구는 고시조의 정서가 현대시에 어떻게 흘러들어왔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하여 고시조와 현대시의 간극에 머물고 있는 치유적 장치들을 문학치료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고시조의 극심한 고독과 고요가 현대시로 침습되어 잠이 오지 않는 고독의 밤을 연출하고 있다. 고시조의 감정을 지닌 문장들이 현대시에서는 달라져 있지만, 고시조와 현대시는 같은 감정을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문학적 장치는 현대인들에게 치유의 정서를 제공해준다. 이러한 연구는 이후의 문학치료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황무지』와 「게론티온」-왜 엘리엇이 「게론티온」을 『황무지』 서시로 사용하려 했었나? ("Gerontion" and The Waste Land: Why Did Eliot Intend to Make "Gerontion" a Preface to The Waste Land?)

  • 이철희
    • 영어영문학
    • /
    • 제55권2호
    • /
    • pp.359-382
    • /
    • 2009
  • Eliot's The Waste Land represents the last century in many respects. While working on the poem in cooperation with Pound, Eliot intended to make "Gerontion" a prelude in The Waste Land. But, as we read in his letter to Eliot, Pound advised him against it. As a result, Eliot had excluded it from The Waste Land. "Gerontion" was published separately, as an independent poem. Between "Gerontion" and The Waste Land, we find that the theme and the techniques are very much alike. However, for this very reason Eliot and Pound must have had thought differently. Eliot must have thought that "Gerontion" would serve well as a preface to the long poem, The Waste Land. It will provide a good introduction to the long poem, he may have thought. In the meantime, Pound must have thought that such similarities in theme and techniques would weaken both works, which would be redundant. To Pound, it would be too much to have the summary of everything that is to be repeated in The Waste Land. Eliot intuitively followed Pound's judgment. Both "Gerontion" and The Waste Land have similarities in theme and techniques. The theme of both works is "aimlessness, spiritual sterility, barrenness" in modern man living in the waste land. For example, in "Gerontion," there appear an old man Gerontion, Mr. Silvero, Hakagawa, Madame de Tornquist, Fraulein von Kulp, who are representative of spiritual barrenness of modern world; in the same context, in The Waste Land those who are most representative of modern world are the Typist, clerk, Thames's daughters, Madamn Sosostris, Tiresias, Phelabas. And in terms of techniques, "Gerontion" and The Waste Land both use dramatic monologues, allusions, and the techniques of modern art, such as montage and mosaic. Here in these works Eliot in fact practises his theory of the "Objective Correlative" that he has invented.

석곡(石谷) 이규준(李圭晙)의 한시 연구 (Research of Seokgok(石谷), Lee Gyu Jun(李圭晙)'s Chinese Poem)

  • 이준규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7-24
    • /
    • 2012
  • Research on Seokgok(石谷), Lee Gyu Jun(李圭晙, 1855~1923)'s thought and medicine was progressed from various angles. There is no research on Chinese poem(漢詩) accounting for the half of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Seokgoksango(石谷散稿)" yet. Hence, the article reviewed concerns on his life and what life he lived as a Confusion(儒家) writer through his Chinese poem. Should read "Seokgoksango", Seokgok's spiritual orientation and attitude to life were found to have its core in the Confusion(儒家的), especially ethical(道學的) aspect. Seokgok's Chinese poem materialized his spiritual composition more, able to access up to general emotional state, representing concerns and frustration of intellectuals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Anxiety consciousness(憂患) of patriotism and love of the people which traditional intellectuals implicated enough at the turbulent era of early modern time appeared strongly in his works. Also works seeking for devotion(歸依) toward the clean world(淸明世界) staring at the corrupt world losing the national sovereignty at the same time and the expansion(擴散) was able to be found many.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when Seokgok lived was the period of changeover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called intersection between traditional era and modern times. His Chinese poem showed traditional intellectuals' anxiety, frustration, conflict, and hope based on such times. Along with the status of an Oriental, medical doctor and thinker, up to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a writer, the intensified research on him is expected.

T. S. Eliot의 "The Waste Land"에 나타난 주제와 형식 (Theme and Form in T. S. Elopt's "The Waste Land")

  • 양현철
    • 영어어문교육
    • /
    • 제4호
    • /
    • pp.249-267
    • /
    • 1998
  • "The Waste Land" is Eliot's best known poem. It was first published in 1922 and became a famous poem in modem poetry by the 1940's. The poem is a statement of his personal experience with spiritual crisis, this simple outline is complicated and universalized by being set within the structure of 'the Fisher King legend'. The fisher King legend was studied by Miss Weston in From Ritual to Romance and Sir James Frazer in The Goldon Bough which traced the vegetation myths. It explained the cycle of the seasons in relation to the death and rebirth of a god. The god died in the winter with the death of the vegetation and was reborn in the spring with the rebirth of the vegetation. Sir James Frazer reaced these ancient rituals within the Christian world. He indicated that the death and rebirth of Christ falls within the pattern of this ancient ritual. Also Miss Weston transformed that ancient ritual into Christian terms, and connected it with the Quest for the Holy Grail. Eliot used not only the title, but the plan and a good of the important symbolism of the poem from these two books. "The Waste Land" is a difficult one because of the numerous interruptions in the narrative. On the superficial level, the story covers a 12-hour period in a day. It is also i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It might be called the internal monologue; that is, "the free association of ideas in the mind of the narrator," Eliot experiments with both the idea of time and with the stream of consciousness, He employs a number of quotations and allusion from the Classic literature. So, his technique in "The Waste Land" consists of the juxtaposition of the present with mythcism and religious symbolism derived from the past. The structure of the poem is built out of the contrasts in time. The poem illustrates his conception of the past as an active part of the present. "The Waste Land" has "a symphonic structure" composed of five parts, which are linked by the repeated themes. The theme is the death and salvation of the Waste Land. It is drawn from the Fisher King myths. Moreover, he has absorbed into the structure of this poem the language, phrases, and associations of other writers. It gave the poem the universality both of theme and of pattern. Also, his intricate and fine techniques added the universality to the poet's personal material. At last, the verse pattern of the poem follow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e thematic patterns. Again in symphonic style, the verse varies from section to section. The interruption of real time is associated with the flow of consciousness. Though the poem is a complex structure, there are the interweavings of a great deal of ideas into a simple, brief statement. By these poetic techniques the poem manages to have good harmony and unity between the thematic pattern and narrative structure. "The Waste Land" therefore, became the greatest poem in the 20th century modern world.

  • PDF

근대 시조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곤충 (Insects in Modern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Sijo)

  • 염철;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21-127
    • /
    • 2019
  • 인간의 심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활동 중에서 곤충의 역할을 다루는 학문 분야를 문화곤충학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근대 시조문학작품 속에 등장하는 곤충의 종류를 문화곤충학적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문학작품은 6,604편의 근대 시조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곤충 관련 어휘들을 조사하였다. 조사 시조들 중 곤충 관련 어휘가 등장하는 시조는 215편이었으며 제목에 곤충 관련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시조 작품들은 26편이었다. 곤충관련 어휘들은 모두 257번 등장하였는데 30종류의 곤충으로 구별할 수 있었다. 가장 많이 사용된 곤충류 어휘는 나비로 57회 등장하였으며 귀뚜라미가 45회, 벌레가 44회였다. 다양한 예술작품들을 통해 문화곤충학 분야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재(木齋) 이삼환(李森煥)의 「맹호음(猛?吟)」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aengHoEum」 of Mokjae Lee Samhwan)

  • 윤재환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157-183
    • /
    • 2018
  • 목재(木齋) 이삼환(李森煥)의 "맹호음(猛?吟)"은 목재가 선대(先代)에서 창작했던 시의 운자(韻字)를 따라 지은 5언절구 7수 연작시 3편을 말한다. 이 시는 제목과 내용으로 보아 "맹호행(猛虎行)" 계열 한시의 창작 전통을 이은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5언이나 7언, 혹은 장단구의 장편 고시가 아니라 근체 연작시 형식으로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맹호행(猛虎行)" 계열의 시와 구분된다. 목재의 "맹호음(猛?吟)"은 그의 나이 73세가 되던 1801년 일어난 신유박해(辛酉迫害) 이후 어느 시점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의 "맹호음(猛?吟)"은 노론 계열을 중심으로 하는 당대 사회의 부패한 정치권력을 비판하는 우언시(寓言詩), 사회시(社會詩)라고 할 수 있고, 그의 시에 등장하는 '맹호(猛虎)'는 당시 집권 세력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목재의 "맹호음(猛?吟)"을 살펴보면 현실의 질곡에 대한 비판의식이 드러나기는 하지만, 그 감정이 격절하거나 묘사가 구체적이지 않다. 그의 시에는 적극적인 현실 비판이나 강한 저항 의식이 보이지 않는다. "맹호음(猛?吟)"이 보여주는 이런 특성은 그가 평생 추구했던 학문과 그의 정서에 삶의 경험과 현실의 무게가 더해진 결과라 생각된다. 목재가 겪었던 당대의 모순은 그를 침묵하고만 있을 수 없게 했지만 그 자신의 울분을 시의 표면에 격절하게 드러낼 수도 없게 하였다. 자신의 행동에 영향 받는 후예들과 그를 지켜보는 반대 세력의 따가운 시선 사이에서 그는 자신의 감정을 내적으로 갈무리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목재의 "맹호음(猛?吟)"에서 살펴볼 수 있는 정서의 구체적인 양상과 의미를 보다 선명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목재의 시에 대한 깊이 있는 천착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다차원 범주형 자료의 변환과 그의 응용 (The Transform of Multidimensional Categorical Data and its Applications)

  • 안주선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3호
    • /
    • pp.585-595
    • /
    • 2007
  • Ahn등 (2003)의 P-행렬을 사용한 두 $c^d$-분할표의 변환자료들의 유클리드 거리제곱은 두 분할표의 셀 (cell) 상대도수벡터들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 제곱에 비례함을 보이고, PP-자료의 플롯을 현대시분석과 설문자료의 탐색에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Homeward returning": A Plebeian Romance and Naturalization of Vagrancy in John Milton's Paradise Lost

  • Cho, Hyunyoung
    • 영어영문학
    • /
    • 제64권1호
    • /
    • pp.135-150
    • /
    • 2018
  • Focusing on the hermeneutic instability of a key word of Paradise Lost, "wander," this study attempts to situate John Milton's early modern epic in the longue $dur{\acute{e}}e$ historical transition from seignorial to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especially the displacement and reorganization of producer population, a corollary of early phase of modernization. The historic experience of vagrancy and its normalization, and the concomitant shift of the primary human sociability from given to voluntary bonds, I suggest, shape and inform Milton's early modern rewriting of the Biblical story of the fall and his revising of the heroic epic romance into a plebeian romance of a wandering, companionate couple. While building on the critical consensus on this poem's deliberate distancing from the tradition of classical epic and chivalric romance, this essay argues that Milton re-appropriates and re-channels the aspirational aspect of chivalric wandering, or mobility, for his plebeian heroes, a companionate conjugal couple. The hermeneutic instability of the word wander, this essay suggests, captures the duality of the historic experience of vagrancy, both the tragic experience of displacement and the liberational and uplifting dimension of that experience.

시조의 텍스트성(textuality) 연구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Sijo Poetry)

  • 임종찬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1집
    • /
    • pp.5-22
    • /
    • 2004
  • 시조를 문으로 짜여진 text라고 보고, 그 짜임 (textuality)을 1) 각 장의 수사적 표현 2) 각 장끼리의 연결성 3) 각 장의 통사적 짜임의 측면에서 고시조와 현대시조를 살펴보았다. 고시조에 있어서 1)은 논리 정연한 문장으로 되어 있고 논리를 방해할 수 있는 수식어를 극도로 배제하고 있음을 알았다. 2)는 각 장끼리의 응집성 혹은 응결성을 확보하여 확실한 연결을 이루고 있음을 알았다. 3)은 통사적으로 안정된 짜임을 갖고 있어 3장 6구의 형식을 취하고 있음을 알았다. 현대시조에 있어서 1)은 수식어를 남용하여 정연한 논리로서의 시조가되지 못 할 뿐더러 3장 구성까지도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2)는 각 장끼리의 연결성이 애매하여 장과 장끼리의 유기적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3)은 3장 6구를 이루는 통사적 짜임을 몰각하여 시조형식을 파괴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현대시조의 경향은 현대시조의 존립근거를 위태롭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 PDF

타이포그래피적 관점에서 본 한글구체시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고원의 한글구체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Hangul Concrete Poetry in the typographic point of view)

  • 이민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259-270
    • /
    • 2002
  • 한 편의 시를 대하는 마음은 읽는 이의 감정상태에 따라서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심상이 각각 다른 빛깔의 색으로 나타난다. 시는 세상과 작가의 세계를 이어주는 텍스트이자 하나의 다리이며 그 관계 속에서 활자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난다. 현대의 타이포그래피는 인터넷과 영상매체의 발달에 따라 그 응용 범위가 매우 방대하여지고 있으며, 표현방법 또한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지원으로 타이포그래피는 이미 움직이고 변화하여 마치 살아 숨쉬는 듯한 유기적 언어로 거듭나고 있다. 움직임과 시간, 공간을 연출하는 하나의 영상언어로서의 타이포그래피와 유사한 구조적 특성과 한글 글자체 고유의 조형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기존의 시들이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나 서술적 구조를 지니고 있음에 반해, 한글구체시에 나타난 활자는 한글의 고유의 조형성에서 빚어지는 다른 영역의 시이자 하나의 비선형구조의 타이포그래피적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글구체시를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조형성과 함께 비선형구조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타이포그래피의 연구 영역을 넓히고, 문학의 시각화의 시도로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