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Park

검색결과 1,589건 처리시간 0.032초

근대 유학 지평에서 박은식의 진아론(眞我論) 읽기 (Definition of Real Me(眞我論) through the philosophy of Yang-Ming Studies(陽明學) - Formation of Modern Korean Principal)

  • 박정심
    • 한국철학논집
    • /
    • 제52호
    • /
    • pp.157-183
    • /
    • 2017
  • 근대는 서구 문명이 보편으로 자리잡은 시기였지만, 유학적 자산에 대한 근대적 성찰은 한국적 근대, 주체적 주체를 물을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박은식은 양명학적 사상 전환과 진아론을 통해 근대적 맥락에서 유학문명을 재건하였다. 특히 진아론은 주체의 역사성을 강조했던 신채호의 '아(我)'와 함께 이성적 주체란 보편타자에 매몰되지 않은 한국 근대 주체를 정립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철학적 진전이었다. 타자화된 주체성으로는 보편타자의 폭력성을 넘어서 제국주의침략을 극복하고 새로운 삶을 전망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자강기에는 서구 근대문명 수용이 불가피하다고 인식되었고 박은식 역시 신학(新學) 및 그 정수인 물질학(物質學[과학(科學)])의 필요성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박은식은 신학 수용이 곧 유학의 전면적 부정으로 귀결되어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그는 유학을 기존의 성리학적 메커니즘에서 벗어나, 양지(良知)를 사상적 기축으로 근대사회에서 유학본지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는 유학이 평등시대를 구현해야 한다고 전제하고, 유학이념을 실현할 주체로서 민중 혹은 무문자(無文者)를 제시하였다. 무문자는 성리학적 구습에 얽매이지 않고 양지를 그대로 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아(眞我)이기도 하였다. 진아는 개인적 영욕화복을 계교하지 않고 시비판단과 실천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근대주체였으며, 한국 독립은 물론 세계 평화를 구현할 주축이기도 하였다. 지금 우리는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전근대 및 근대적 유산을 새롭게 성찰할 필요가 있는데, 박은식의 진아론을 통해 이 두 가지 문제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진아는 서구적 보편성에 대응할 유학적 보편성[인(仁), 양지(良知)]과 함께 민족적 주체성[자가정신(自家精神)] 및 문화적 정체성[국혼(國魂)]을 담지한 근대적 주체였다. 그러나 진아는 이성적 주체와 달리 타자에 대한 배제와 차별의 원리는 아니었다는 점에서 근대적 경계를 향유하면서도 근대 너머를 지향했다고 하겠다. 또 하나는 유럽중심주의적 근대 인식의 '밖'을 사유하는 전략 중의 하나로써 유학적 자산을 재음미하는 것이다. 특히 박은식이 유학을 민중 중심의 평등시대 평화이념으로 체계화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근·현대 시대 오지호와 구본웅 유화작품에 사용된 백색계 안료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White Pigments Used in Jiho Oh and Bonung Gu's Paintings Produc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 김정흠;김환주;박혜선;임성진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1-380
    • /
    • 2017
  • 근 현대 유화작품에 사용된 안료 연구를 위해 오지호와 구본웅 작품 32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바탕칠층과 물감층에 사용된 백색안료 특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작품에 사용된 백색 안료는 lead white(염기성탄산납), zinc white(산화아연), titanium white(아나타제 또는 루틸형의 이산화티탄), calcite(탄산칼슘), barite(황산바륨)로 확인되었으며, 작품에 사용된 안료의 종류는 작가 및 제작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zinc white가 모든 작품에 사용되고 lead white가 titanium white, barite 및 calcite로 대체되는 점은 두 작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문헌자료로 알려진 국외 안료 및 유화물감 연구와 비교했을 때 안료의 변화 양상은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부분적으로 사용시기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유화의 도입기부터 서구권과의 직접적인 교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일본을 거쳐 재료와 기법이 유입되었던 시대적 배경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국내 유화에 사용된 백색안료의 종류는 세계적인 변화 양상과 시기적인 차이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양한 작품분석이 진행된다면 시기에 따른 유화물감의 재료적 특성과 작가의 표현기법 및 편년 연구 등 향후 보존과학과 미술사 연구에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근대 서화가 6인 합작 '산수' 병풍의 재질분석 및 보존처리 (The Material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Six Modern Korean Calligraphic Painters' Collaborated Works of Folding Screen: Focused on 'Sansu')

  • 박소현;최혜송;김정흠;최점복;이나라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19-331
    • /
    • 2018
  •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인 '산수'는 1940년에 제작된 6폭 구성의 병풍이다. 10대가로 불리던 서화가 6명이 제작에 참여한 합작품으로 소석 강진구 선생의 회갑을 축하하기 위한 축수의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과거 수리된 부분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병풍틀의 뒤틀림, 습기얼룩 및 오염 등 보존상태가 양호하지 않아 장기적 보존 및 전시활용을 위해 보존처리가 진행되었다. 또한 재질특성을 확인하고자 제작에 사용된 직물섬유, 종이섬유, 안료에 대한 과학적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화본 및 회장비단에 사용된 직물섬유는 면, 견 등의 천연섬유와 함께 합성섬유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풍 속틀에 사용된 종이의 경우 닥나무 인피섬유, 초본류, 침엽수 섬유 등 다양한 수종이 관찰되었다. 안료분석 결과, 모든 작품의 바탕층에서 Calcite가 확인되었고, 색상별 일부 착색안료는 작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한 측우기자료 및 현대자료의 비교 (Comparison of Chukwooki and Modern data Using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 Series)

  • 박민규;유철상;김현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B호
    • /
    • pp.137-14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하여 측우기자료와 현대자료를 비교하였다. 측우기 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현대 빈도해석에서 필요한 특정지속기간의 연최대치 계열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두 관측기간의 비교를 위해 독립호우사상 개념을 이용해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작성하였다. 연최대호우사상은 이변량지수분포를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모수 추정을 위해 연도별 모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보다 적절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는 연도별 모수를 이용할 경우의 결과가 모수의 경년별 변동성이 연강수량의 변동성과 비교해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전체적인 독립호우사상을 비교한다면 현대기록이든 측우기기록이든 강우지속기간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현대보다는 측우기 관측기록의 경우가 총강우량과 강우강도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최대 호우사상의 비교에서는 측우기에 비해 현대의 경우가 강우지속기간이 현격하게 길어지면서 강우강도는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나 총강우량에서 상당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연최대호우사상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현대관측기간 동안에는 강우지속기간과 총강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측우기 관측기록과 비교시에는 일정한 주기성의 한 부분으로 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Effect of Glycolic Acid on Human Dermal Fibroblasts: Increased Collagen Synthesis and Inhibition of MMP-2/9

  • Park, Ki-Sook;Kim, Soo-Kyoum;Lim, Sae-Hwan;Kim, Yun-Young;Park, Young-Ju;Lee, Seung-Soo;Lee, Su-Hvun;Chang, Tae-Hyun;Son, Youna-Sook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519-523
    • /
    • 2003
  • Alpha hydroxy acid (AHA) includes a group of organic acids found in natural foods such as sugarcane (glycolic acid), milk (lactic acid), apples (malic acid) and oranges (citric acid). Earlier studies demonstrated the effect of AHAs on the skin by diminish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rneal layer and increasing the viable epidermal thickness. Recent data suggest that AHAs have some effects on the dermal component of skin and even affect the aging process of the skin. A previous study revealed increased collagen production by treatment with glycolic acid among AHAs in vitro. However, the mechanism of the regulation of collagen production by glycolic acid was unclear. In present study, we tri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glycolic acid on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to unveil the mechanism of regulation of collagen production by glycolic acid in human dermal fibroblasts: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nd collagen synthesis and degradation by collagenases in fibroblasts. Our results suggested that glycolic acid had no effect on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of adult human dermal fibroblasts. However, glycolic acid not only induced the increase of the collagen synthesi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at lower concentration than 0.1 % but also inhibited MMP-2 activity of human dermal fibroblast in the range between 0.01 and 0.4% and MMP-9 activity of human dermal fibroblast in the range between 0.06 and 0.09%. In summary, our results suggest that glycolic acid may increase wrinkle reduction partially by both increase in collagen synthesis and decrease in collagen degradation.

  • PDF

건축가 이훈우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Architect Yi Hunwoo)

  • 김현경;유대혁;황두진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3호
    • /
    • pp.37-50
    • /
    • 2020
  •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life and works of architect Yi Hunwoo, who was active in early 20th century. Yi has been previously mentioned in a few research documents, but not as a main subject of interest. Thanks to digitalized historic databases, the authors of this research were able to access more information about Yi. It was discovered that he was born in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n attended the Nagoya Higher Technical School in Japan. After repatriation, he participated in a few public projects in Korea as an in-house architect at the Governor-General's office, then started his own practice and produced his individual projects. He also contributed articles on innovations in residential design to newspapers. Chronologically, his activities as an architect preceeded those of Park Gilyong, who has been conventionally regarded as the first Korean modern architect so far. This research would like to establish Yi Hunwoo as a historic figure whose professional career spanned the earlier stage of the Korean modern architecture, based on the records of his life and professional activities. The authors do not wish to present the architectural analysis nor evaluation of his works, which will be subject to future researches.

음허증(陰虛證)의 임상적 질환 범위에 대한 고찰 (Study on Clinical Diseases of Yin Deficiency Pattern)

  • 박미선;김영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9-298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yin deficiency interpreted with a perspectiv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a modern perspective a study and assigning modern diseases to yin deficiency pattern types. Clinical papers were searched in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 from 1995 to 2013.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in deficiency written in the "Neijing" has been understood in many ways. It is translated such as deficiency of yin qi, inner qi, essence, cubit pulse, yin meridians qi, viscera yin and kidney. Second, yin deficiency pattern are related with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immunity, energy metabolism, blood circulation, cytokine, microelements, lipid metabolism and capability of getting rid of oxygen free radicals. Third, from pattern types, diverse diseases classified in types involving the heat from yin deficiency, which reflects pathologic conditions of deficiency heat which i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yin deficiency pattern. Various diseases classified in types related with liver or kidney are reported, which reflects two viscera are more related with yin deficiency than other viscera. Fourth, levels of pattern types surveyed are more specific than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KCD) and specific enough to be applied clinically. This article surveyed the categories of modern diseases yin deficiency pattern types is assigned to but the detailed relation between them will be necessary to be studied in the future.

혈허증(血虛證)의 임상 질환 범위에 대한 고찰 (Study on Clinical Diseases of Blood Deficiency Pattern)

  • 박미선;김영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3-349
    • /
    • 2013
  • This article is a study on to which categories of modern diseases blood deficiency pattern types are assigned by reference to modern clinical papers. Clinical papers were searched in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 from 1994 to 2013.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verse diseases classified in qi-blood depletion pattern and pattern of blood deficiency and wind-dryness are reported and pattern types designated by the name of viscera are the minority. Second, among pattern types in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KCD), diseases classified in heart blood deficiency pattern, liver blood deficiency pattern and heart-liver blood deficiency pattern are a few. Third, the level of designation by the combined patterns such as qi deficiency, fluid deficiency, yin deficiency, kidney deficiency, essence deficiency, wind-cold, cold-dampness, dampness-heat, liver hyperactivity, liver depression and static blood is more specific than KCD, which makes pattern types more useful to clinical application. The detailed relation between modern diseases and pattern types can be an another top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