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Landscape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7초

경관정체성 향상을 위한 전주팔경의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interpretation of ChonJu Palkyong for Improvement of Landscape Identity)

  • 신상섭;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5-35
    • /
    • 1999
  • This thesis is to newly understand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Chonju Palkyong(全州八景) by the specific gravity in making a counter-proposal in other to improve the landscape identity of modern city and at the same time. I intended to group the grafting device for the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of modern history cul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landscape construction. The meaning system of Chonju Palkyong showed the symbolic system which a landscape construction, four directions and two places has and exhibited the landscape shape possessing a luxuriant local feature peculiar to Chonju, preserving visual bound language of a classical Palkyong. Especially, it implies the use of the substantial landscape experienced factor, the expressions about natural phenomena and the matter which has melted human living circumstances. The landscape construction and it's form show the system which forms the different time field, a far landscape and a mid distance landscape and a near landscape, etc., under the visual, psychological, scenic influenced area, preserving the feature of the similar and typical type of Sosang Palkyoung(瀟湘八景) which intended to seek the local reappearance of the famous site experienced type and natural matter which famous place and local conduct were combined. The object space of Chonju Palkyong area representing the nature of historical landscape cultural assets, pushed by the greater part of the development based theory, shows injured aspects, but needs to play a part to seek such a up-to-date successive plan as the reconstruction of the destroyed historical landscape area which motivated Palkyong, the establishment of useful area, the embodiment of the cultural identity of Palkyong area and the becoming of the educational cultural life space. The analysis of the landscape construction of Chonju Palkyong and the grouping of the modern successive plan which I considered in this thesis, will be able to become a fundamental data to carry out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landscape and the landscape plan in the city.

  • PDF

근현대 조경유산 보존을 위한 등록문화재 제도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for the Preserv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 권예지;김민선;김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2호
    • /
    • pp.282-294
    • /
    • 2023
  • 국제적으로 근현대 유산의 조경적 가치에도 주목하고 이를 전승하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근현대 조경유산의 등록문화재 등록이 미미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한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근현대 조경유산도 법제도권 내에서 보호받고 그 가치가 조명될 수 있도록 등록문화재 제도의 등록기준과 분류체계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등록문화재의 등록기준은 유산의 유형별로 규정되어 있지 않고 포괄적인 단일 기준으로 규정되어 있다. 유산의 조경적 가치가 검토될 수 있도록 등록기준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영국과 일본의 유사 제도를 참조하여 등록기준은 첫째, 조경문화의 발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둘째 시대를 반영하거나 특징짓는 조경이 잘 남아있는 것, 마지막으로 주요 작가의 작품, 중요한 인물 또는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것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분류체계는 기연구된 대분류-중분류-소분류의 건조물 문화재 분류체계와 정합성을 이루면서 근현대 조경유산의 세부 유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한다. 대분류는 건조물 분류체계를 따르되 중분류에 단일 조경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공원 및 녹지, 광장, 정원이 추가되어야 한다. 건조물 유산과 결합된 정원 등의 조경유산은 건조물의 중분류를 토대로하여 소분류에 세부 유형이 명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향후 전수 조사되어야 할 등록 가능성이 있는 근현대조경유산의 분류 근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풍경식 정원에 나타난 근대적 공간인식 (The Modern Spatial Cognition of the Landscape Garden)

  • 김형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846-851
    • /
    • 2009
  • 근대사회의 형성은 과거의 공간을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내용과 형식의 공간도 등장시켰다. 근대 사회를 통해 등장한 새로운 공간들은 건축과 도시 속으로 흡수되면서 공간에 대한 과거의 전통적인 인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근대 형성기의 건축과 공간은 근대건축의 원형으로서 20세기의 근대건축과 공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근대적 공간과 그 인식의 형성을 풍경식 정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풍경식 정원을 주목하는 이유는 풍경식 정원이 18세기말부터 사회의 주도적인 과제가 되었던 몇 개의 주제들 중 하나로서 유럽 전체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따라서 풍경식 정원을 분석함으로써 유럽 전체에 나타나는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근대적 공간인식을 파악할 수 있다.

박정희의 조경관 (Park Chung-Hee's Thoughts on Landscape Architecture)

  • 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3-24
    • /
    • 2003
  • The modern landscape architectural profession and education of Korea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970s. The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was a main axis in this process of establishment.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Park Chung-Hee's thoughts on landscape architecture. It can show us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his thoughts and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modem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ark Chung-Hee and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can be interpreted as double sides. First, landscape architecture was a matter of great interest for Park Chung-Hee. His involve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went well beyond that of an amateur. Second, landscape architecture was a strategic instrument for practicing his political polic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ism. There are three remarkable tendencies in his thoughts on landscape architecture. First, he regarded that the main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was to cover and to decorate damaged sites. Second, he had a contradictory notion of tradition and history. Last, the European pastoral ideal was his criterion for the beauty of landscape. His thoughts on landscape architecture were an amalgamation of these three contradictory ideas, and it has left some controversial inheritances for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근대적 도시 공원으로서 창경원 (Changgyeongwon as a Modern Urban Park)

  • 우연주;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4-21
    • /
    • 2016
  • 이 논문은 창경원을 근대적 도시 공원으로 보고, 창경원의 공간적 성격과 그곳에서 창출된 공원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먼저 창경원 성립의 배경을 파악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근대 도시 공원으로서 창경원의 성격을 제시했다. 첫째, 대외적 선전과 과시의 장으로서 창경원의 성격, 특히 개원 초기 해외 사절과 고위 인사들의 방문에 주목했다. 특히 애초에 이곳을 근대적 공원으로 만들고자 계획했던 내용에 바탕을 두고, 근대 도시 공원으로서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둘째, 계몽과 교화의 장으로서 1920년대 창경원 이용이 보다 대중화 경향을 띠기 시작했다는 점을 파악하고, 여성과 아동을 위한 행사와 새로운 시설의 등장에 주목했다. 셋째, 창경원을 공원으로 인식하고 이용했던 당대의 기록을 조사하여 그 문화적 특징을 파악했다.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난 랜드스케이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andscaping in Contemporary Interior Space)

  • 방선희;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2-65
    • /
    • 2006
  • Various kinds discussion are brought up to the table about modern social phenomenons that are practically difficult sometimes even impossible to predict in field of architecture. At the very moment, 'landscape' emerged as an important concept defining contemporary architecture a very different way. Architects have and still are processing various experiments with the changed concept of 'landscape' as it became new means to construct reality. In modern cities that have possibility and potential energy, many architects have proposed 'Landscape architecture' as an architecture mode that have indeterminacy and open to all possibilities.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ing that appear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interior space in recent years, and present landscape as a new possibility in interior space.

  • PDF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 - 구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 (Conflicts between the Conservation and Removal of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s - A Case of the Demolition Controversy of th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in Seoul -)

  • 손은신;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1-35
    • /
    • 2018
  • 최근 산업유산, 근대 문화 유산,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 등 기억의 경관들이 공공 공간으로 새롭게 활용되고 있다. 여러 유형의 기억의 경관 중 19~20세기에 주로 형성된 근대 역사 경관(modern historic landscape)은 근대사에 대한 평가 및 인식 변화에 따라 보존과 철거 간 논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관이다. 본 연구는 1995년 철거된 서울의 구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근대 역사 경관을 둘러싼 보존과 철거 사이의 쟁점을 검토하고, 보존 및 철거를 결정하는 가치 판단 기준과 근대 역사 경관의 형성 방식을 탐구한다. 먼저 1980~1999년 사이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다룬 신문기사, 뉴스, 토론 프로그램 자료와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철거 논쟁의 주요 쟁점으로 다음의 여섯 가지 항목을 도출한다: 상징적 위치, 새로운 역사적 사실의 발견과 대응, 관련 국가의 반응과 개입, 재정적 여건, 경관의 기능과 이용 방식, 도시 역사 건축 정책 변화. 이를 기반으로 근대 역사 경관을 형성하고 보존 혹은 철거를 결정하는 중요한 가치로서 상징적 가치 간 대립 양상과, 근대 역사 경관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비판에 대응하는 기능적 가치의 역할을 고찰한다. 특히 본 연구는 근대사에 대한 인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면서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의 향방 또한 변화하지만, 오늘날에도 결정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여전히 상징적 가치라는 점에 주목했다. 근대 역사 경관은 오늘날 중요한 설계 대상지 중 하나로서 여전히 합의되고 해결되어야 할 역사적 쟁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근대 역사 경관의 가치를 상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로 나누어 평가하고, 그 배경에 자리한 사회적 맥락을 재검토했다는 점에서 동시대적 의의를 갖는다.

갑곶돈 일대 문화재 지역의 경관특징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Area at the Gapgot Fortification in Ganghwa island)

  • 현상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8-96
    • /
    • 2015
  • 본 연구는 해안에 분포한 갑곶돈 일대 문화재 지역의 경관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로 고문헌, 고지도, 근대의 사진자료를 분석하고 항공사진 촬영을 통해 현재 갑곶돈 일대의 경관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갑곶돈은 강화도를 진입하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 강화도의 상징적 또는 실제적 관문요소로써의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일대의 역사문화자원 또한 통과교통으로서의 장치 및 군사시설 등이 분포하였다. 둘째, 문헌 및 도상자료에 나타나는 갑곶돈 일대는 고려시대부터 군사시설 및 마을이 형성되어왔으며, 조선시대 강화외성의 축성 이후 갑곶돈의 진해루를 중심으로 마을이 확장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현재 갑곶돈 일대는 강화대교 진입에 따라 연속되는 해안경관이 조망되나 강화대교 인근의 경관저해요소는 개선사항으로 제시되었다.

지방도시 환경색채현황에 대한 기초조사 - 군산시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Landscape Colors in Gunsan City)

  • 이지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29-36
    • /
    • 2011
  • The inconsistent city planning damaged the city's landscape & identity, the old days. Nowaday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interested in the city's landscape design for residents, economic reason, etc. Color is most efficient one of design elements to improve a city landscape. So to establish the uniqueness and beauty of Gunsan city landscap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Gunsan landscape colors to survey the landscape color, by priority. There are nature environment of sea, river, reservoir, mountains and plain and artificial environment of buildings used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m in early modern era and modern things. It found out the color palette has extracted from the present colors in the city landscape. There were mostly colors with low chroma, middle value and the next thing was them with high value. The blue among hue was strong. The Chroma was very low to be concentrated in $L^*$ axis. So achromatic color or blue/green of middle value and low chroma were recommended for dominant color and the similar color of former color was good for assort color in Gunsan city landscape.

의령 입산마을의 중층적 경관 특성 (A Study on the Over-layere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Ipsan Village, Uiryeong Area)

  • 임의제;소현수;배수현
    • 농촌계획
    • /
    • 제24권1호
    • /
    • pp.113-127
    • /
    • 2018
  • This study comprehends that the landscape of Ipsan Village is the accumulated output of the landscape management and social behavior by the historic personages through the reference research and field surveys. And the study sorted out the over-layere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Ipsan Village by analyzing the dispersed landscape elements as follows. First, right before the start of Japanese invasions to Korea(1592-98), Tamjin(耽津) An(安) Family moved into Ipsan and started establishing the a single clan village. At a site with mountain background and facing the water(背山臨水), the village used to be a typical farming one with an organically planned road-system and housing area following the traditional order. However, the landscape has changed drastically since the 20th century with the construction of banks, roads and readjustment of arable land etc. Second, the original landscape, which can be figured out through the 'Gosanjaesibyukgyeong(高山齋十六景)' in the 18th century, shows its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 mountain & valley, stream & field, traditional trees, etc, cultural landscape: village, well, spring, etc, and momentary landscape: seasons, time, weather phenomena, sound, behavior, etc. Third, based on the second, 16 natural landscape elements: mountain & stream, planting, etc. and 25 cultural landscape elements: housing spaces, self-cultivation & ceremony spaces, community spaces and modern education & enlightenment spaces were selected and interpreted as landscaping meanings. Fourth, the over-layered landscape which stems from the compositive functions and inter-connectivity of landscape elements which consists Ipsan Village is regarded as 'Natural geographical and Fungsu landscape', 'Rural production and livelihood landscape', 'Confucian ceremony and symbolic landscape' and 'Modern education and enlightenment land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