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Dance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5초

남자 대학생의 착용 패션스타일과 음악·여가·라이프스타일·가치관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Style and Music, Recreation, Lifestyle and Value of Male College Students)

  • 유혜경;백두진;고선영
    • 복식
    • /
    • 제63권4호
    • /
    • pp.44-55
    • /
    • 2013
  •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fashion styles of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individual taste in other areas including music styles and recreation types. Life style and values were also examined for their relationship with the fashion style preference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during May and June of 2011, and a total of 256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segments according to the fashion styles - 'modern-dandy', 'resistance style', 'no-individuality' groups -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erms of their preferred music styles and choice of recreational activities. Modern-dandy group preferred R&B, dance music and ballad, while resistance style group preferred hiphop, dance and reggae music. No-individuality group did not show any preference for a particular type of music. Both modern-dandy and resistance style groups liked sports, while resistance style group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for hobby and cultur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s and values according to the fashion styles of the three groups.

무용공연작품 의상을 위한 디지털 뮤지엄 아카이빙 구축 (A Study on Construction of Digital Museum Archiving Regarding Dance Costume)

  • 정유진;유지영;백현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81-88
    • /
    • 2019
  • 본 연구는 무용공연의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뮤지엄 형식의 아카이빙을 구축함으로써 무용공연의상에 대한 인물이나 작품주제를 파악하고, 또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디지털 뮤지엄 아카이빙이 무엇인지를 서술하고, 연구내용으로 디지털 뮤지엄을 어떻게 만들 수 있는 지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계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아카이빙의 역할이나 효용성에 대해 가치를 논한 뒤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아카이브란 텍스트 문서로 국한되어 있던 자료의 전반, 또는 자료의 저장 공간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로 컴퓨터라는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전시통합모델을 말한다. 따라서 무용공연작품의상을 디지털 뮤지엄으로 만든다면 무용공연작품의상이라는 웹상의 가상공간에 하우스를 만들고, 그 뮤지엄으로 들어가면 다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카테고리 창을 구분하였다. 대분류에서는 무용공연작품의 장르를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로 구분하고, 중분류에서는 안무가, 의상디자이너를 구분하여 들어갈 수 있게 하였으며, 소분류에서는 안무가나 의상디자이너의 기타자료인 신문, 방송 인터뷰, 공연사진, 프로그램 등을 보는 것으로 아카이빙 해 보았다. 이러한 디지털 뮤지엄의 가치로는 공간활용의 가치, 창작의 가치, 역사 문화적 가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 가치, 디지털 뮤지엄 콘텐츠의 제공 및 이해의 가치, 쌍방 소통의 가치, 그리고 새로운 전시형태 프로그램 개발의 가치를 지닌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3호 경기검무의 고유성 : 검무의 구성과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Uniqueness of Geyonggi-geommu :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Gyeonggi-do)

  • 강연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243-253
    • /
    • 2019
  • 경기검무는 한국 검무의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민속 고유의 전통춤의 뿌리를 담고 있다. 일제강점기 근대가무악의 거장 한성준은 조선 음악 무용연구회를 중심으로 일본의 민족문화 말살 정책으로 사라지거나 명맥이 끊긴 우리의 민속춤들을 모아 재구성하였고, 무대 양식화 작업을 통해 검무의 명맥을 이어 올 수 있었다. 이후 강선영, 김근희로 전해져 2011년에는 경기도 지방 무형문화재 제53호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경기검무의 올바른 전형과 전승을 위한 경기검무만의 고유성을 부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경기검무의 정체성과 춤의 구성 및 특징을 바탕으로 무형문화재 춤이 지닌 역사성과 예술적, 문화적 가치를 살펴봄으로써 경기검무의 올바른 전승을 위한 이해와 보존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경기검무의 시원인 경기 류, 류 파의 대부 고(故)한성준을 시초로 고(故)강선영, 김근희로 이어오는 경기검무의 전승체계를 인물 중심에서 살펴보고, 경기도 지방 무형문화재 지정 당시 보유자 김근희에 의해 정립된 순수한 우리말 춤사위 용어를 중심으로 경기검무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경기검무의 고유한 특징은 현재 다른 지역의 검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무대 형식인 대무-군무(群舞)와 홀춤-독무(獨舞) 두 가지 형식으로 공연, 전수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검무의 원형을 따라 그대로 전수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특히 홀 춤 검무는 예술적 춤의 형식으로 조선 시대 여기(女妓)검무의 곡선미와 교태미를 엿볼 수 있다. 그 외 전반적인 춤의 구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볼 때, 경기검무는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기질의 예술적 춤으로 평할 수 있다

상지이용유무에 따른 현대무용 아라베스크 턴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The Kinetic Analysis of Arabesque Turn Motion in Modern Dance by Upper Extremity Usage)

  • 박양선;김지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57-466
    • /
    • 2009
  • 본 연구는 현대무용 아라베스크 동작 시 팔의 사용 유.무에 따라 아라베스크 동작 바로직후의 턴으로 이어지는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역학적 변인을 분석하여 무용 동작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상지를 이용하지 않은 아라베스크 턴 동작이 상지를 이용한 아라베스크 턴 동작 보다 머리의 회전력과 몸통의 회전력을 더 사용 하였고, 오른쪽 어깨를 이용한 회전력을 얻었다. 상지를 이용한 아라베스크 턴 동작은 왼쪽의 고관절 범위와 왼쪽 발끝의 위치변화가 수직축으로 크게 상승되어 있고, 상지를 이용하지 않는 아라베스크 턴 동작은 발끝의 위치가 이벤트별 아래로 떨어졌다. 신체중심 변위에서는 상지를 이용한 아라베스크 턴 동작이 회전하는 축으로 더 크게 이동하였고, 상지를 이용하지 않은 아라베스크 턴 동작의 신체중심이 낮게 위치하였다. 또한 최대 수직지면반력의 결과 상지를 이용한 아라베스크 턴 동작이 상지를 이용하지 않은 동작보다 낮은 값으로 나타나, 상지를 이용하지 않은 아라베스크 턴 동작이 상지를 이용한 동작보다 하지의 체중부하를 더 사용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동지역 축제의상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 Costumes in Andong)

  • 김희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dustrialize and to localize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of Andong by developing festival costumes related to 'Andong Mask Dance Festival'. We tried several methods to deliver meanings and images of festival costumes, as followings. Frist, from April, 2009 to October, 2012, we created the new design of the festival costumes after consulting with 7 festival experts about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ndong Mask Dance Festival'. The festival costume design is characterized by the detachable parts of clothing based on Han-bok style, the front and back of bodice, right and left side of both sleeves, and pockets, which can be tied up with strings. Therefore the consumers can choose and attach the part they want. Secondly, the newly created festival costumes were evaluated appropriately to the consumer's satisfaction, implementation, practicality, and long-term development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survey of 85 participants who were, in fact, wearing the festival costumes in the festiv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ist, festival costumes ar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and it appears wearing object as festival costumes. Secondly,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beauty are well matched up, so men and women of all ages are possible to wear. Thirdly, size of costume can be controlled, so it's easy to wear. Finally, construction method is very simple. The possibility of long-term development by various material development is needed.

황진이 시조 분석을 통한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 연구 (A study on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s design through analysis of Jin-Yi Hwang's Sijos)

  • 김윤지;김혜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4호
    • /
    • pp.353-367
    • /
    • 2019
  • These days, costumes of Korean creative dancing performances have been changed to be modernized and to be out of traditional regulation,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styles were replaced by other props and art devices. In this article, we have applied the emotions expressed in Jin-Yi Hwang's sijos (Korean traditional poems), to Korean creative dancing costumes in modern style. chose three typical sijos from her six pieces, titled "Green mountain is like what I've meant", "To Byeokgyesoo in Cheongsan-ri" and "Dongjibam ginaginbam". In brief, Jin-Yi Hwang expressed her "everlasting love and emptiness", "temptative conciliation" and "eager waiting" these three sijos, respectively. The character of Jin-Yi Hwang was shown in many TV soap operas and films, and the costumes were either much modernized, and not accurately based on the sijos she had written. Thus, we designed, made flat sketched, and fabricated three Korean creative dancing costumes from the three sijos, listed. We tried to highlight the aesthetic impression and the activeness of the dancing costumes, using both traditional and modern Korean fabrics. Since Korean dance costumes had not yet been inspired from Jin-Yi Hwang's sijo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fabric items, as well as th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and dancers to emphasize Jin-Yi Hwang's expressed emotions.

뉴미디어 환경에서 무용예술의 크로스오버 실현과 전파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Cross-border Practice and Communication of Dance Art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 장몽니;장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7-57
    • /
    • 2019
  • 20세기 말, 뉴미디어 기술의 보급과 뉴미디어 예술이 대두됨에 따라, 무용은 시각예술과 신체언어예술로써 점점 더 풍부하고, 많은 변화의 특징을 갖게 되었다. 인터넷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오늘날의 뉴미디어 환경에서 수많은 서로 다른 분야(예로 들면, 영화 연극, 컴퓨터 기술, 디지털 예술 등)들이 그 공통성과 특징을 빌려 다양한 교호 창작을 함으로써 새로운 학문적 연구와 이론 모델이 생겨나고 있다. 각 분야의 크로스오버가 화제가 되면서 전통적인 댄스 퍼포먼스 형식도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있다. 이 글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첫 번째 부분은 영상 장치의 춤 공연예술에 대한 연구이며, 두번째 부분은 무용예술의 전파 가능성과 영향을 연구하는 것으로, 이 두 부분의 연구를 통해 뉴미디어 환경에서 무용예술의 크로스오버 실현과 전파에 본 연구의 내용이 활용되길 기대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무용학과 커리큘럼의 방향모색 (Seeking for a Curriculum of Dance Department in the Universit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백현순;유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93-202
    • /
    • 2019
  • 4차 산업시대에 대학무용학과의 커리큘럼은 무엇을 변화시켜야 하는가에 초점을 둔 연구이다. 이는 무용학과의 교육과정이 미래 직업 창출과 무관하지 않음으로 4차 산업과 연관 지어 무용전공자의 미래 직업을 전망해 본다면 지금 대학 무용학과 커리큘럼으로는 미래 직업을 창출하기 힘들다는 생각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5개 대학의 무용학과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해 보았으며 그 후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응하고 새로운 기술의 개념이 포함된 무용교육을 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할 것인가 하는 무용학과 커리큘럼에 대해 5개의 교과목을 제시하였다. 첫째, 무용과 통합교육이다. 이는 창의성과 과학교육을 통합한 교육으로 STEAM(Science-Technology-Engineering-Art-Methematics)이라는 대 주제를 중심으로 아이디어와 창의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예술적 감수성 등을 키울 수 있는 교과이다. 둘째, 빅데이터 분석 및 빅데이터로 미래를 전망해 보는 교과로 이는 무용의 전반적인 것에 대한 대중들의 의견이나 평가, 감정 등을 분석함으로써 무용공연이나 무용전공자의 진로방향, 직업창출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학문이다. 셋째, 영상교육으로 영상은 현 시대의 대표적 표현매체로 오늘날 대부분의 예술표현영역을 영상이 차지함을 볼 때 영상을 통한 무용은 기존의 무용작품을 새로운 형태의 작품으로 창조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으며 학문적으로나 공연예술로서 무용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 넷째, VR과 AR은 스마트 미디어시대의 중요한 기술로 미래 무용학이 공연이든 교육이든 산업이든 간에 시대의 흐름에 맞춰 디지털식 방법을 갖춰야 한다면 VR이나 AR에 대한 학습을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과 무용예술교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변화를 미리 예견하고 무용교과의 변화, 발전 모색 등을 교육하는 교과로 필요하다.

강강술래 공연 복식 실태 연구 (Various Types of Costumes for Ganggangsullae)

  • 조두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551-560
    • /
    • 2014
  • In this study, we have focused on various types of costumes for traditional Ganggangsullae and daily dance Ganggangsullae. To analyze their costumes, spot photographs of Ganggangsullae contests from 2011 and 2013 were collected from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Tourism, Jindo County Office and the Jeonnam Information &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Costumes were analyzed by categorising them as type, shape and color. Traditional Ganggangsullae costumes are two types: traditional hanbok and saenghwal hanbok. Traditional hanbok design dates back to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aenghwal hanbok design to the middle Joseon Dynasty. They reflects confucianism, a male-dominated society, totemism, shamanism and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in agrarian society and community life. Daily dance Ganggangsullae has various types of costumes such as the fusion hanbok, saenghwal hanbok, cheering uniform and casual wear. They show modern color schemes. There is not any magical meaning from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Instead, they have individualism, liberty, equality and welfare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o its costumes are easy and comfortable clothes. But traditional hanbok, fusion hanbok and saenghwal hanbok are inspired from Korean identiry. Even though traditional Ganggangsullae and daily dance Ganggangsullae have different costumes and ideology, they have a common denominator 'playfulness.' It will function as a key for Ganggangsullae to be performed continuously over the period.

무용전공 여고생에서 섭식장애 인지와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 태도 및 식이 자기효능감, 섭식행동 (The Weight Control-Related Attitudes,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Eating Disorder and Obesity Index in Dancing Major High School Girls)

  • 석혜경;허은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3-391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weight control attitudes according to eating disorder perception and obesity index for high school girls majoring in dance. Almost half (45.5%) of the subjects perceived eating disorders, and the rate of underweight group was 45.7%. Forty-four percent of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were in modern dance, while 55.0% of the group that did not perceived eating disorders were in Korean dance (p < 0.05). For the obesity index, a similar rate was shown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dance for the underweight group, but in the normal group, 54.5% were in Korean dance (p < 0.05). Most (82.0%) of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had fears on obesity, while only 53.3% of the non-perceiving group had fears on obesity (p < 0.01). Over half (58.3%) of the underweight group had fears on obesity, while 77.2% of the normal group showed fear in that (p < 0.05). For necessity of weight loss to do dance performances, 25.0% of the underweight group and 57.9% of the normal group need that (p < 0.05). Most of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92.0%)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 in very low calorie diets, while only 40.0% of the non-perceiving group had experience (p < 0.001). For necessity of calorie education, 42.0% of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and only 20.0% of the non-perceiving group answered is needed (p < 0.05). For eating behavior,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had lower total scores compared to the non-perceiving group (p < 0.001),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showed lower scores for restraint eating (p < 0.01) and emotional factors (p < 0.001) except by external eating. This study showed that high school girls majoring in dance have high interest in weight control and problems with wrongful body images and eating behaviors, as well as need for calorie education were suggeste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execute a proper weight control education program for the subjec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4) : 383${\sim}$391,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