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무용학과 커리큘럼의 방향모색

Seeking for a Curriculum of Dance Department in the Universit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백현순 (한국체육대학교 생활무용학과) ;
  • 유지영 (한국체육대학교)
  • Baek, Hyun-Soon (Department of Dance,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 Yoo, Ji-Young (Department of Dance,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투고 : 2019.01.22
  • 심사 : 2019.04.29
  • 발행 : 2019.04.30

초록

4차 산업시대에 대학무용학과의 커리큘럼은 무엇을 변화시켜야 하는가에 초점을 둔 연구이다. 이는 무용학과의 교육과정이 미래 직업 창출과 무관하지 않음으로 4차 산업과 연관 지어 무용전공자의 미래 직업을 전망해 본다면 지금 대학 무용학과 커리큘럼으로는 미래 직업을 창출하기 힘들다는 생각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5개 대학의 무용학과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해 보았으며 그 후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응하고 새로운 기술의 개념이 포함된 무용교육을 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할 것인가 하는 무용학과 커리큘럼에 대해 5개의 교과목을 제시하였다. 첫째, 무용과 통합교육이다. 이는 창의성과 과학교육을 통합한 교육으로 STEAM(Science-Technology-Engineering-Art-Methematics)이라는 대 주제를 중심으로 아이디어와 창의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예술적 감수성 등을 키울 수 있는 교과이다. 둘째, 빅데이터 분석 및 빅데이터로 미래를 전망해 보는 교과로 이는 무용의 전반적인 것에 대한 대중들의 의견이나 평가, 감정 등을 분석함으로써 무용공연이나 무용전공자의 진로방향, 직업창출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학문이다. 셋째, 영상교육으로 영상은 현 시대의 대표적 표현매체로 오늘날 대부분의 예술표현영역을 영상이 차지함을 볼 때 영상을 통한 무용은 기존의 무용작품을 새로운 형태의 작품으로 창조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으며 학문적으로나 공연예술로서 무용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 넷째, VR과 AR은 스마트 미디어시대의 중요한 기술로 미래 무용학이 공연이든 교육이든 산업이든 간에 시대의 흐름에 맞춰 디지털식 방법을 갖춰야 한다면 VR이나 AR에 대한 학습을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과 무용예술교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변화를 미리 예견하고 무용교과의 변화, 발전 모색 등을 교육하는 교과로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what changes are required as to a curriculum of dance department in the universit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a of dance department in the five universities in Seoul, five academic subjects as to curricula of dance department, which covers what to learn for dance education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presented. First, dance integrative education, the integration of creativity and science education, can be referred to as a subject that stimulates ideas and creativity and raises artistic sensitivity based on STEAM. Second, the curriculum characterized by prediction of the future prospect through Big Data can be utilized well in dealing with dance performance, career path of dance-majoring people, and job creation by analyzing public opinion, evaluation, and feelings. Third, video education. Seeing the images as modern major media tends to occupy most of the expressive area of art, dance by dint of video enables existing dance work to be created as new form of art, expanding dance boundaries in academic and performing art viewpoint. Fourth, VR and AR are essential techniques in the era of smart media. Whether upcoming dance studies are in the form of performance or education or industry, for VR and AR to be digitally applied into every relevant field, keeping with the time, learning about VR and AR is indispensable. Las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urriculum of dance art are needed to foresee the chang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educate changes, development and seeking in dance curriculu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