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ck-up test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26초

거푸집 패널이 부착된 중공슬래브의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Void Plywood Slab System with form Work Panel)

  • 허무원;채경훈;박태원;강현욱;박현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85-19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거푸집 패널이 부착된 실물 스케일의 중공슬래브 Mock-up을 제작하여 즉시 처짐 및 장기 처짐에 대한 플랫 플레이트 중공 슬래브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중공재가 적용된 Mock-up 실험체의 중공률은 24%로 설계하였다. 콘크리트 블록 하중 재하 시 슬래브의 가장 중앙부의 처짐인 No2의 경우 재하 시 처짐이 8.88mm 발생하였으며 이는 즉시 처짐에 대한 기준 값(ln/240=17.93mm)에 비하여 안전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3개월간 처짐 량 계측 결과, 중앙부 처짐 량은 초기 처짐에서 6.792mm 더 추가되어 처짐이 발생하였지만, 이는 국내 구조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용하중에 의한 기준 값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하절기 적용을 위한 실물모형시험 (The Mock-up Test for the Hot Weathered High Strength Concrete)

  • 손명수;김태준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16권1호
    • /
    • pp.442-445
    • /
    • 2004
  • The mock-up test was carried out to solve several problems of the hot weathered high strength concrete. The workability of concrete could be guaranteed by using high range water reducer containing polycarboxylic acid. The compressive strength calculation by rebound value of Schumidt hammer underestimated the actual strength of concrete structure. The temperature of concrete should be lowered by control of raw material temperature and transportation.

  • PDF

목업 시험을 통한 5~13mm 순환 굵은골재 치환 사용이 콘크리트의 현장적용성에 미치는 영향 고찰 (Effect of Replacement of 5~13mm Recycled Coarse Aggregates on Field Applicability of the Concrete through Mock-up Test)

  • 한민철;송영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59-6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5~13mm 순환골재를 치환한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목업 시험체를 제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이들이 콘크리트의 제반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기둥 및 벽체를 모사한 $1200{\times}800{\times}800mm$ 목업 시험체를 호칭강도 및 5~13mm 순환골재 치환율별로 7개 제작하였고, 24, 27 및 40MPa 급 호칭강도의 콘크리트에 5~13mm 순환골재 30%와 70%(24MPa만 해당)를 치환한 배합과 무치환배합을 선정하여 제조하였다. 실험항목으로 굳지않은 상태에서 슬럼프, 슬럼프플로, 블리딩을 측정하였고, 경화상태에서는 압축강도, 반발도, 코어강도 및 건조수축 길이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5~13mm 순환골재가 30% 치환된 경우 슬럼프, 슬럼프플로, 블리딩량은 플레인에 비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압축강도의 경우도 최밀 충전 효과에 기인하여 플레인보다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업 시험체의 높이별 반발도의 경우도 5~13mm 순환골재가 30%치환된 경우 상하간의 반발도차이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량성토 모형시험을 통한 연약지반상의 성토제체의 거동 (Behavior of Soft Ground Throughout Mock-up Test Using Low Self Weight Banking Method)

  • 김상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85-91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지반공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성토제체의 자중을 가볍게 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다공성의 바텀애시를 골재로 활용한 모르타르 슬러리 내부에 기포를 혼합한 경량성토공법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개발한 경량성토층을 연약지반의 상부에 적용하였을 때 지반거동을 관측하기 위하여 모형시험기를 제작하였으며, 단계적으로 하중을 증가시켜 지반의 거동과 변형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연약지반 현장에서 실용화되고 있는 표층고화공법과 침하량, 지반융기량, 한계 하중값을 비교함으로써 개발한 기술의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모형시험을 통한 관측결과, 타 연약지반처리공법과 달리 본 성토는 강도가 높아 지반변형 크기는 작은 반면 지반변형의 영역은 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중-침하량과 융기량이 기존 표층고화공법에 비해 작게 나타나고 있어 연약지반 활용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단면 터널 라이닝 적용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화열 특성 (Heat of hydration characteristics on high-performance concrete for large dimensional tunnel linings)

  • 민경환;정형철;양준모;윤영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37-45
    • /
    • 2009
  • 본 연구는 대형 대단면 터널 라이닝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 50 MPa급 고성능 콘크리트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미분말을 1종 시멘트 단위량의 50%까지 치환한 8종의 배합을 선정하여, 8종의 배합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과 간이 단열온도 상승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8종의 배합 중 1종 시멘트만을 사용한 배합(OPC) 및 2성분계 배합과 3성분계 배합중 각각 1종(BS30, F15S35)을 재선정하여 단열온도 상승실험과 Mock-up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물 부재 크기의 시험체의 수화열 측정결과는 유한요소해석과 비교하여 해석루틴의 신뢰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기계화시공에 의한 보수재료의 현장품질관리확립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Establishment of On-Site Quality Control of Repair Material by the mechanized construction)

  • 조봉석;장재봉;김용로;강석표;홍성윤;김무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16권1호
    • /
    • pp.160-163
    • /
    • 2004
  • In domestic, various repair materials and method systems to keep up with these reinforced concrete deteriorated due to salt damage, carbonation, chemical decay et. developed and applied. However, on-site quality control of various repair materials and method systems isn't achieved desirably because it is depend completely on a men of experience' opinions above all else regardless of various on-site environments. In this background, mock up test with due regard to real on-site environments was performed to secure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ment of desirable on-site quality control. Mock up test using repair mortar analyzed from angles of construction methods, mechanical spraying pressures, W/M. Construction methods were designed manpower method and spraying method, spraying pressures were designed 32, 42, 52 psi, W/M were designed 14.4, 15.4, $16.4\%$. And compressive strength, Chloride ion diffusion coefficient, bond strength, SEM. of mock up test specimens were evaluated. In conclusion, we confirmed excellency of mechanical spraying pressures, fined extremely excellency of condition of spraying pressure 42 ps, W/M $14.4\%$ within this stud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ment of desirable on-site quality control.

  • PDF

첨단채광시스템 실험용 Mock-Up 모형의 형상 및 모니터링 프로토콜 시스템에 관한 비교분석 - IEA SHC Task21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ock-ups' Configuration and Monitoring Protocol System of Advanced Daylighting Systems for Daylighting Experiment - Focused on IEA SHC Task21-)

  • 정인영;최상현;김정태
    • KIEAE Journal
    • /
    • 제4권1호
    • /
    • pp.11-20
    • /
    • 2004
  • Innovative daylighting systems in buildings in various climatic zon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developed under the IEA SHC Task21. The performance assessment were obtained by monitoring the most systems using full-scale test model rooms or actual buildings under real sky condi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figuration and monitoring system of the nine Mock-up models of the IEA SHC Task21 comparatively. For the purpose, the geometry of the test rooms (length, width, height, window area, glazed area and occupied), reflectance of walls, floor and ceiling, transmittance of glazing (transmittance for hemispherical irradiation, normal irradiation and U-value) were compared. And equipment for measurement (manufacturer, range, calibration, maximum calibration error, cosine response error, fatigue error), and data acquisition system (manufacturer, type, number of differential analogue input channels, A/D converter resolution in bits, data acquisition software) were also analyzed comparatively. Some findings of these experimental methodology of standard monitoring have been proven to be a valuable one for future assessment of advanced daylighting systems in our country.

광기여 필름 LED 팬던트 작업조명시스템 주관평가와 성능검증 (Study of Efficiency Test and Subjective Responses about Pendent Task Lighting System Using Phosphor Luminescent Film LED)

  • 차광석;김회서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88-193
    • /
    • 2011
  • For a long time work or study, pendent task lighting system prepared with phosphor luminescent film LED was developed for eye protection and working efficiency improvement. Developed lighting system was used together with pendent and ambient lighting. Such as, we made comfortable lighting environment system. Evaluation for developed lighting system, that had proceeded to Mock-up test and subjective evaluation. Also It had proceeded that lighting environment analyzed and compatibility valuation of installation. In subjective evaluation, the students have expressed themselves satisfied to phosphor luminescent film LED lighting system. In Mock-up test, It is not problem to intensity of illumination, 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Therefore, developed LED lighting system was installed at the Daegu apartment. It is having a P.O.E study progress to phosphor luminescent film LED lighting system.

실물대시험에서의 양생방법 차이에 따른 한중콘크리트의 온도이력 및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and the Temperature Hysteresis of Winter Concret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uring Method in Mock-up Test)

  • 원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87-94
    • /
    • 2003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 hysteresis and development of compressive strength due to the curing conditions and to evaluate the optimum curing condition of test specimens showing the same development of strength to that of real structures in cold weather. The results of temperature curve with curing conditions in mock-up tests showed the trend of decrease plain concrete with insulation form, plain concrete with heating, concrete with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and control concrete in turn. The strength development of plain concrete of inside and outside of shelter showed the very slow strength gains due to early freezing, but that of concrete with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showed the gradual increase of strength with time. From this, it is clear that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has the effects of refusing the freezing temperature and accelerating the hardening under low temperature. Strength test results of small specimens embedded in members and located in insulation boxes at the site are similar to that of cores drilled from the members at the same ages, thus it is clear that these curing methods are effective for evaluating in-place concrete strength

벽체 실물대부재실험을 통한 초 저수축 콘크리트의 균열제어 효과 분석 (Analysis of Crack Control Effect of Ultra-low Shrinkage Concrete through Wall Mock-up Test)

  • 서태석;이현승;김강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5-55
    • /
    • 2022
  • 초 저수축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수축 균열을 극한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 및 외관 확보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 저수축 콘크리트의 상용화를 목적으로 실내실험을 통해 최적의 팽창재 및 수축저감제 투입량을 정하였고, 콘크리트 벽체 실물대부재실험을 실시하여 초 저수축 콘크리트의 수축 특성 및 균열제어 효과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벽체 시험체에는 건조수축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균열도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