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ity Support Center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이동지원센터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bility Support Center Servi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김성회;김경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43-353
    • /
    • 2018
  •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다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동지원센터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하여 다양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부족한 차량대수, 차량대수 대비 높은 수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해결하고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단순 특별교통수단 증차는 예산상의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지원센터 이용 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용자 의견을 반영한 서비스 개선을 통해 이용자에게 쾌적한 이용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의 서비스 중요도를 파악하였으며, 중요도와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IPA분석으로 동시에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 개선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천안시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실제 이용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자료의 요인과 신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요금체계의 경우 일반 대중교통 대비 저렴한 요금으로 만족도가 매우 높아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량이용의 경우 편의 서비스 보다 중요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IPA 분석 결과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항목은 정시성, 친절도, 대기시간, 콜센터 응대로 분석되었다.

충남지역 지체장애인의 이동권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The Status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Suggested Improvements in Chungnam)

  • 최윤영;양정빈;김자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30-136
    • /
    • 2021
  • 본 연구는 충남에 거주하는 지체장애인의 이동권 현황을 파악하여, 이들의 이동권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단계에 걸쳐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외출 및 이동현황, 저상버스 및 장애인 콜택시 사용현황, 서비스 개선사항, 광역이동지원센터 관련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충남에 거주하는 지체장애인으로 총 219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자 중 54.6%는 매일 외출하였으며, 17.0%는 거의 외출을 하지 않았다. 53.4%의 응답자만 홀로 외출이 가능했으며, 외출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계단과 대중교통의 불편함을 꼽았다. 응답자 중 26.9%는 저상버스를, 71.1%는 장애인 콜택시를 이용했으며, 이를 위해 각각 66.57분, 42.65분 동안 기다린 것으로 나타났다. 78.7%는 광역지원센터가 필요하다고 한 반면, 49.8%만이 센터를 인지하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동권 향상 방안으로 특별교통수단의 확대, 지체장애인의 보행환경 개선, 광역이동지원센터 기능 활성화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Organic TFT fabricated on ultra-thin flexible plastic with a rigid glass support

  • Son, Young-Rae;Han, Seung-Hoon;Lee, Sun-Hee;Lee, Ki-Jung;Choi, Min-Hee;Choo, Dong-Joon;Jang, Ji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7년도 7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제7권1호
    • /
    • pp.756-759
    • /
    • 2007
  • We have fabricated pentacene OTFT on ultra-thin flexible polyimide film with a rigid glass support. Polyimide film of the thickness of $10{\mu}m$ has formed on glass by spin coating from the solution. After the entire OTFT process, the OTFT exhibited a fieldeffect mobility of $0.4\;cm^2/Vs$, an $I_{on}/I_{off}$ ratio of $10^7$ and a subthreshold swing of 0.7 V/dec. The OTFT on polyimide film has been detached from the glass support and laminated on a plastic support of $130\;{\mu}m-thick$ PET film. After the detach process, in spite of the degrading of its field-effect mobility, the OTFT showed high $I_{on}/I_{off}$ as high $as{\sim}10^6$.

  • PDF

A Lightweight NEMO Protocol to Support 6LoWPAN

  • Kim, Jin-Ho;Hong, Choong-Seon;Shon, Tae-Shik
    • ETRI Journal
    • /
    • 제30권5호
    • /
    • pp.685-695
    • /
    • 2008
  • The Network Mobility (NEMO) and IPv6 over Low power WPAN (6LoWPAN) protocols are the two most important technologies in current networking research and are vital for the future ubiquitous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pressed packet header format to support the mobility of 6LoWPAN. Also, a Lightweight NEMO protocol is proposed to minimize the signaling overhead between 6LoWPAN mobile routers and 6LoWPAN gateways by using a compressed mobility header. Performance results show that our Lightweight NEMO protocol can minimize total signaling costs and handoff signaling delay.

  • PDF

Analysis of Golf Ball Mobility and Balancing based on IoT Sports Environments

  • Lee, Tae-G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78-86
    • /
    • 2019
  • Recently, IoT researches using sensor data based on embedded network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healthcare and sports have been continuously attempted. This study analyzes golf ball mobility to support IoT application in golf sports field. Generally, since the difference in density occurs due to the condition of the inner material and the abnormal state at the time of the outer skin joining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golf ball, the weight of each subset is equal for any two points with the same radius in the sphere cannot be guaranteed. For this reason, the deflected weight of the sphere has the undesirable effect of hitting the bal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eight of the ball is heavy.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unique center of gravity of the ball, and even if the golf ball cannot be manufactured perfectly, it wants to establish the basic principle to accurately recognize or mark the putting line based on the center of gravity. In addition, it is evaluated how the mobility of the golf ball with a deviation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golf ball affects the progress path (or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r carry distance) after the golfer hits. The basic model of the mobility of the golf ball can help the golfer exercise model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basic model of the mobility of the golf ball can help the golfer exercise model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V2X 보안통신의 신뢰성 검증 (Reliability Verification of Secured V2X Communication for Cooperative Automated Driving)

  • 정한균;임기택;신대교;윤상훈;진성근;장수현;곽재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91-399
    • /
    • 2018
  • V2X 통신이란 차량이 유무선망을 통해 다른 차량, 인프라, 네트워크, 보행자 등과 같은 객체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이다. V2X 통신 기술은 최근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자율주행 차량 기술과 결합된 자율협력주행 기술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자율주행 차량은 V2X 통신을 통해 외부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차량 센서의 인식범위를 확장시키고 보다 안전하고 자연스런 자율주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율협력주행 차량을 공공도로에서 운행하기 위해서는 V2X 보안통신의 신뢰성이 사전에 검증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V2X 보안통신에 대한 테스트 시나리오와 테스트 절차를 제안하고 검증 결과를 제시한다.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Selection of Low-Floor Bus Stop using the Use Information of the Mobility Support Center)

  • 박재국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25-33
    • /
    • 2020
  • 우리나라는 2017년 노인비중이 14% 이상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앞으로는 장애인이나 고령자와 같은 교통약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의 수요는 더욱 증대될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이유로 국가는 지자체마다 저상버스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저상버스의 정류장 위치와 노선 등이 교통약자의 정보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아 이용률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특별교통수단의 이용정보를 활용하여 교통약자의 승하차 위치, 출발시간, 도착시간, 이용목적, 요일별 이용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오코딩, 중첩분석, 버퍼분석, 공간분할 등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교통약자의 승하차 분포와 수요를 반영한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선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천안시의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를 선정한 결과 228개소가 선정되었으며, 기존의 정류장과 입지가 중복되는 정류장을 제외하면 신규로 35개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out the Necessity for Development of Autonomous Mobility Device for Children with Severe Developmental Retardation

  • Matsuo, Kiyomi;Murata, Tomoyuki;Koga, Takanori;Kubo, Atsuko;Yoshida, Yuichi;Karakawa, Yosuke;Kawaguchi, Hiroshi;Tanaka, Toru;Masaki, Jun;Taketomi, Toshikatsu;Kitajima, Takeo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4
    • /
    • 2009
  • In this paper, I will report the cases of children who are able to study at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y learned how to move by themselves using a moving aid before school age, and I will also discuss the development of a mobility device which allows severely disabled preschoolers to practice moving around by themselves safely and easily at home and institutions.

  • PDF

차세대 네트워크 표준화 방안에서의 이동성 기술 비교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Mobility Support Schemes for NGN standardization plan)

  • 유명주;이종민;김현종;정태수;최성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5호
    • /
    • pp.659-668
    • /
    • 2006
  •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이동성 지원을 위해 다양한 방식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들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비교된 바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IPv6, IP2, QMMF, IMS 방식의 위치 등록 과정과 핸드오버 절차를 분석하고, 성능 분석을 위한 파라미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절차에 대한 등록 및 핸드오버 지연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위치관리자(Location Manager)가 코어 네트워크 상의 중심에 위치한 IP2가 다른 메커니즘들에 비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부산지역 보육시설의 실내환경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The Interior Planning Guidelines of Child Care Center in Pusan)

  • 황연숙;최경순;정지영
    • 교육시설
    • /
    • 제5권4호
    • /
    • pp.28-3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interior conditions of Child Care Center and to suggest the interior planning guidelines of Child Care Cent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he sample consisted of 84 Child Care Cent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PC.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Most of Child Care Centers are not in the desirable Interior environ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Child Care Center, the physical interior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 should b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hild. (2) Functional spaces should be organized to support the child' behavior. Multi-purposed room should be provide to encourage and adapt to variety of large-muscle activities. (3) The design of Child Care Center should be emphasized to satisfy teachers and children who are directed users. (4) Interior finishings looks too monotonous and do not have characteristics. Natural materials, various colors and patterns are recommendable. Furniture should be designed to meet the functions of flexibility, mobility, and secur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