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ity Management

검색결과 976건 처리시간 0.034초

Analysis of a NEMO enabled PMIPv6 based Mobility Support for an Efficient Information Transmission

  • Caytiles, Ronnie D.;Park, Byung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4호
    • /
    • pp.197-205
    • /
    • 2018
  • Nowadays,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have been widely adopted i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systems for social overhead capital (SOC) public infrastructures. Structural health information, environmental disturbances and sudden changes of weather conditions, damage detections, and external load quantizing are among the capabilities required of SHM systems. These information requires an efficient transmission with which an efficient mobility management support for wireless networks can provide. This paper deals with the analysis of mobility management schemes in order to address the real-time requirement of data traffic delivery for critical SHM information. The host-based and network-based mobility management protocols have been identified and the advantages of network mobility (NEMO) enabled Proxy 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PMIPv6) have been leveraged in order to address the SHM information transmission needs. The scheme allows an efficient information transmission as it improves the handover performance due to shortened handover latency as well as reduced signaling overhead.

Proxy Mobile IPv6 환경에서 동적 페이징 지원을 위한 이동성 관리기법 (A New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Proxy Mobile IPv6 Networks with Dynamic Paging Support)

  • 이명규;김철중;박석천;양영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999-2007
    • /
    • 2010
  • Proxy Mobile IPv6(PMIPv6)는 이동 노드에게 이동성 관리 기능을 요구하지 않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이다. PMIPv6에서 Mobile Access Gateway(MAG)는 이동노드가 이동 할 때마다 원거리에 위치한 Local Mobility Anchor(LMA)에 위치등록을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위치등록은 네트워크의 과도한 트래픽과 LMA 부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MIPv6 환경에서 동적 페이징 지원을 위한 이동성 관리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기법에서는 위치등록비용을 감소하기 위해서 페이징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페이징 영역의 크기는 이동노드의 이동 및 통신 패턴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된다. 제안기법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체유동(fluid flow) 모델을 이용한 비용 계산식을 구하였으며, 수학적인 비용 분석 결과를 통하여 제안기법이 PMIPv6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프록시 모바일 IPv6 네트워크에서 저비용의 글로벌 이동성관리 기법 (LC-GM2: Low-Cost Global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Proxy Mobile IPv6 Networks)

  • 김종연;박종선;정종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권3호
    • /
    • pp.193-20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PMIPv6를 기반으로 하는 LC-$GM^2$라는 저비용의 글로벌 이동성관리 아키텍처와 프로토콜 절차를 제안한다. LC-$GM^2$의 구성은 여러PMIPv6 의 로컬 도메인과 계층적 구조로 코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LC-$GM^2$에서 이동성 관리는 도메인 내에서의 모바일 노드(MN)의 이동은 PMIPv6의 이동성관리 방법으로 수행되며 도메인간으로 이동할 때는 홈 네트워크 모바일 액세스 게이트웨이(MAG)가 이동 네트워크의 지역 모바일 앵커(LMA)에 직접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PBU)를 수행하여 코어 네트워크(CN)의 게이트웨이를 통한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관점으로 수행된다. 분석 모델로 유체 흐름 이동성 모델을 기반으로 위치 업데이트 비용, 패킷 전달 및 총 비용 함수의 다양한 시스템 매개변수의 영향 이용하여 계층적 모바일 IPv6(HMIPv6) 이동성관리 프로토콜과 GPMIP 아키텍처와 비교 분석한다. 수학적 분석의 결과는 다른 글로벌 이동성관리 기법들 간의 비용 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글로벌 이동성관리 기법(LC-$GM^2$)이 전체적인 비용측면에서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첩 융합 네트워크에서 효과적 연동을 위한 위치정보 관리방법 (User Mobility Management Scheme for Effective Inter-working with Overlay Convergent Networks)

  • 최유미;김정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6호
    • /
    • pp.83-89
    • /
    • 2012
  • 중첩 융합 네트워크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와 네트워크의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이종 네트워크별 효과적 이동성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종 네트워크 중 이동 IP 네트워크의 구조에 적합한 이동성 모델을 제안하고 주어진 환경 하에서 사용자 이동에 따른 다양한 성능평가와 관련된 지수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미래의 스마트 인지 네트워킹 환경 하에서는 개별 사용자의 이동성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무선 접속을 위한 주파수 스펙트럼의 효과적 활용에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이동성 모델은 개별 네트워크 측면에서 다루어지면서 새로운 융합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하는데 적합성이 낮으므로 새로운 이동성 모델을 고려하여 융합 네트워크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페이징 서비스를 위한 HMIPv6의 확장: P-HMIPv6 (Paging extensions for HMIPv6: P-HMIPv6)

  • 이준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22-225
    • /
    • 2003
  • 최근 공중 무선랜 서비스와 같이 IP 기반의 액세스 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환경이 증가하고, IT를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이 대두됨에 따라 IP 기반의 이동성 관리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IP 기반의 이동성 지원을 위해 MIPv6 프로토콜이 제시되었으며, 위치관리를 위한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 지역 내에서의 이동성을 따로 관리하는 HMIPv6 프로토콜이 제시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망에서 사용하는 페이징 기술을 IP 망에서 사용함으로써 망이 단말의 개략적인 위치만 관리하도록 하여 위치 등을 위한 트래픽을 줄이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IP 페이징 기술이 소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페이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내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P-HMIPv6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PDF

LBS 성능 보장을 위한 모듈형 관리기 구현 (A Modular Type Manager Implementation for LBS Performance Guarantee)

  • 이종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275-28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LBS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모듈형 관리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시나리오 관리 모듈, 이동성 관리 모듈, 그리고 통계 관리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모듈은 시나리오 리스트에 따라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동성을 제어한다. 그리고 통계 관리 모듈은 이동성 정보, 오류 해결, 그리고 여러 문제들을 기록하고 저장한다. 따라서 제안된 구현 시스템은 수작업을 통하여 시스템 성능을 체크하는 것에 비해서 관리 비용을 감소시키고, 관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에드-혹 망에서 퍼지로직 기반 GQS를 이용한 이동성 관리방법 (A Mobility Management Scheme Using GQS based on the Fuzzy-logic in Wireless Mobile Ad-Hoc Networks)

  • 윤일;오선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31-435
    • /
    • 2005
  •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는 이동성이 부여된 모바일 노드들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고정된 인프라 구조를 갖지 않는 모바일 노드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최근 이 분야에서는 모바일 노드들의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MANET 내의 본질적인 문제인 이동성 관리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MANET 내의 모바일 모드들의 위치는 빈번하게 변하므로 위치 정보관리는MANET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MANET 내의 모든 모바일 노드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모바일 노드들의 상태를 퍼지논리를 이용하여 모바일 지역 중요도를 고려한 퍼지로직 기반 GQS를 이용한 적응적 이동성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모바일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 데이터베이스들이 그 모바일의 지역 중요도를 고려하여 퍼지로직에 기반한 GQS로부터 적응적으로 선택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이동성 관리 방법의 성능을 분석적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성능을 기존의 UQS 기반 이동성 관리 방법과 비교한다.

  • PDF

차세대 이동통신망을 위한 사용자 이동패턴에 근거한 페이징 기법의 설계 (Design of a Paging Scheme based on user Mobility Classes for Advanced Cellular Mobile Networks)

  • 전화숙;정동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3호
    • /
    • pp.216-22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셀룰라 이동통신망을 위한 효율적인 위치관리기법을 설계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사용자를 이동성 특성에 따라 HMU(high mobility user)와 LMU(low mobility user) 두 가지 클래스(class)로 분류하고, 각 사용자 클래스에 따라 각각 적합한 서로 다른 기법으로 위치를 관리한다. 제안된 기법과 순수 지능 페이징 기법의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비교하여, 제안된 기법이 순수한 지능 페이징 기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제공함을 보인다.

프록시 모바일 IPv6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스마트 이동성에 기반한 빠른 핸드오버 기법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Fast Handover Scheme Based on Secure Smart Mobility in PMIPv6 Networks)

  • 윤경원;정종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21-133
    • /
    • 2013
  •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결점 전송 서비스는 이동단말(MN, Mobile Node)에게 광범위한 로밍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이동성관리가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MIPv6(Mobility IPv6)는 IETF(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해 제안된 이동성관리 기법들 중 하나이고, IPv6기반에서 이동성관리 기법들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왔다. F-PMIPv6(Fast Handover for Proxy MIPv6)는 PMIPv6(Proxy MIPv6)의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그러나 F-PMIPv6은 항상 PMIPv6보다 더 뛰어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동성 관리 기법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용량과 확장성 향상의 가능성을 위해 PMIPv6과 F-PMIPv6중에 알맞은 프로토콜을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 PMIPv6과 F-PMIPv6의 적용범위를 분석하는 분석적인 모델을 개발한다. 이 모델을 기반으로 변화하는 이동성과 서비스 특성에 따른 사용자를 위해 PMIPv6과 F-PMIPv6 사이에서 더 좋은 대안을 선택하는 안전한 스마트 이동성 지원(SSM) 기법을 설계 한다. F-PMIPv6을 적용했을 때, SSM는 가장 좋은 이동성 앵커 포인트와 시스템 성능의 최적화를 위한 지역적인 크기 선택을 한다. 수치화한 결과는 PMIPv6와 F-PMIPv6에 적용 가능한 몇 가지 키 파라미터의 영향을 설명한다. SSM는 PMIPv6와 F-PMIPv6보다 더 나은 결과를 입증시켰다.

분산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이동성 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Energy Management using Mobility Management in Distribute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s)

  • 김태경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57-63
    • /
    • 2007
  • 분산 무선 네트워크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에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작업을 수행하기에 제한적인 조건인 전원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모바일 단말기들의 이동성 관리를 통한 분산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에너지 사용량은 통계모델을 통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성 관리를 통해서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분산작업 수행시에 필요한 에너지 필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을 통하여 정규적인 이동성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들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분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 및 그 유효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