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Phone Use

검색결과 645건 처리시간 0.03초

모바일폰 사용 영역과 상황 기반의 컨텍스트 정의 및 사용 행위의 구조 분석을 통한 테스크 모델 제안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Mobile-phone Tasks on the 'Situational Context' : Focused on the ESR(Extend, Synchronize, Replace) Model)

  • 조윤진;이은종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58-164
    • /
    • 2008
  • 본 논문은 모바일폰의 사용성 연구에 있어서 모바일폰의 사용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추후 연구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모바일폰의 사용 특성은 무엇보다 컨텍스의 영향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과, 1인 1디바이스로서 개인적인 라이프 패턴을 많은 부분 수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로부터 모바일폰이 사용되는 컨텍스트를 정의하였다. 특별히 컨텍스트의 정의에 있어서 상황적 컨텍스트(situational context)라는 정의를 도입하였으며, 모바일폰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task 중 특별히 situational context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task를 contextual task로 이름하였다. 연구 결과물로써 contextual task의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는 디자인 종사자들과 타 업계의 종사자들이 모두 사용자의 실제적 행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컨셉을 가지고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사용 행태에 대한 통일한 컨셉은 디자인을 위한 서로의 의사전당에도 효과적일 젓이다. 수집된 사용자 task 들은 3가지 모델로 그 패턴을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의 공간 확장과 관련되어 다양한 패턴을 구조화한 Extend Model, 기능의 컨버전스로 인해서 각 기능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task 들의 패턴을 구조화한 Synchronize Model,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반영하여 기존의 object를 대체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task들의 패턴을 구조화한 Replace Model 로 Contextual Task를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모델의 구체적 용도를 보이기 위해 Context 를 반영한 Interview 를 시행할 수 있는 질문지 제작을 진행하였다.

  • PDF

모바일 뱅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초기신뢰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실증적 연구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Initial Trust and Intention to Use Mobile Banking Services)

  • 김기문;김원우;이호근
    • 경영과학
    • /
    • 제22권2호
    • /
    • pp.13-34
    • /
    • 2005
  • Mobile banking servic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rofit source for both banks and mobile phone service companies. However, the growth of the mobile banking service is behind the expectation of banks and mobile phone companies. One plausible explanation for this laggard diffusion of mobile banking may be the lack of consumers' initial trust on the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ritical factors in building trust and intention to use mobile banking services. Our research results show that propensity-to-trust, structural assurance, and relative advantages of service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consumers' initial trust in mobile banking service Furthermore, initial trust in mobile banking service is a critical factor for adopting mobile banking services Contrary to our expectation, however, reputation of banks and mobile phone companies are not significant in attracting consumers to mobile banking services.

스마트폰 이용 환경에서 국가기관 정보보호 관리방안 (National Institution's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on the Smart phone use environment)

  • 김지숙;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83-96
    • /
    • 2010
  • 우리사회는 급격한 스마트폰 확산은 개인생활 뿐만 아니라 조직의 업무 환경을 바꾸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애플리케이션을 누구나 개발하고 사용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타산업과의 융합이 촉진되는 등 사회의 디지털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정부도 스마트폰 환경에 맞는 대국민서비스 향상과 국민과의 소통을 위해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에 대한 보안위협이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모바일 전자정부 활성화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기관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모바일 환경 구축을 위해 필요한 정보보호 방안과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전자정부 정보보호관리체계(ISMS)를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이동전화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Mobile Phone Services)

  • 서보밀;위경우;유진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7-63
    • /
    • 2007
  • A lot of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mobile phone servic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verified only the research models developed by the authors. They did not consider which model agrees better with the real situation. This study presents six alternative models based on various previous studies, and compares the data fitness of the models. A Web survey of mobile phone users collected 2,217 cases. Statistical analyses, using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 that the fitness of the simplest alternative model is better than that of any other model. The simplest model has no causal relationship among exogenous factors, and proposes that all of exogenous factors have direct impact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analyses say that corporate and brand image and additional service ar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exogenous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quality.

휴대전화 설계를 위한 연령대별 사용자 특성 (The User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ge Groups to Design Mobile Phone)

  • 김정룡;김성훈;조영진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7-31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r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age groups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design and function of mobile phone. 16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Subjects with different age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young age group (20 to less than 45), $1^{st}$ middle age group (45 to less than 55), $2^{nd}$ middle age group(55 to less than 65), and elderly group(over 65).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design guideline, and additional questions were made to test newly developed function and design of the mobile phone. In particular,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have a proper response from old subjects who have difficulties in completing written questionnaire. In result, it was found that except for price the major criterion to purchase mobile phone was the design, and the function of phone was the next except for elderly group. In the case of elderly group, the screen size is the first. Statistical results indicated that 37.5% of the young age group, 22.5% of $1^{st}$ middle age group, 22.5% of $2^{nd}$ middle age group and 10.0% of the elderly group preferred the design to function when they purchase mobile phones. Most elderly people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upplementary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The $1^{st}$ middle age group did not know exactly how to use the supplementary service although they were willing to use it. Regarding the emotional preference on the type of phone, the sliding type was preferred most. Current results can be used to anticipate the future trend of mobile phone and design a user-friendly product for the aged population.

플로우 경험이 휴대폰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low on the Utilization of Mobile Phone Service)

  • 박윤서;이승인;이효선
    • 경영과학
    • /
    • 제27권3호
    • /
    • pp.117-13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gment the mobile phone users based on the flow types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mobile phone usage behavior between the segmented groups. The 'flow' construct, which was introduced first in marketing by Hoffman and Novak[44],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keyword for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 on the World Wide Web. In this paper, we will try to use the flow aspect for the mobile market segment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tools for developing a successful marketing strategy on the mobile phone service market. We collected survey data from consumers and analyzed the data with the SPSS 12.0 package where we did ${\chi}^2$-test,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and cluster analysis.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flow types of the mobile phone user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which are named as the 'Flow' type, 'Apathy' type, 'Anxiety' type, 'Boredom' type, 'Control' type. Second, most of the results related to the usage of mobile phone serv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low typ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bile phone service marketers should consider the various flow types of users and work out effective market segmentation strategies based on these consumer flow types.

스마트폰 뱅킹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국 사례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of Smart-Phone Banking Service: A Case of Chinese Users)

  • 김수현;이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03-31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모바일뱅킹 서비스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기존 연구에 비해 스마트폰 특성이라는 독립변수와 사용만족도라는 매개변수를 추가하여 확장하였다. 이동성, 다양성, 보안성 등의 스마트폰 특성, 즉시접속성, 보안성, 시험가능성, 정보풍부성, 이용편의성 등의 모바일뱅킹 서비스 특성, 사용자 친숙도, 사용자 혁신성 등의 사용자 개인특성 등의 독립변수와 사용자 만족도라는 매개변수가 스마트폰 모바일뱅킹서비스의 수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경로를 통해 중국 소비자들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지와 관련해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설문을 통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스마트폰 특성 중 이동성이, 모바일뱅킹 서비스 특성 중 즉시 접속성과 이용편의성이, 사용자 개인 특성 중 사용자 친숙도가 사용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만족도는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동 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고 사용이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스마트폰 뱅킹서비스의 수용의도를 높인다는 것을 암시한다.

공리적 접근을 이용한 모듈러 모바일 폰의 개념 설계 (Concept Design of Modular Mobile Phone using Axiomatic Approach)

  • 차성운;이경수;김민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19-127
    • /
    • 2006
  • Design structure of a mobile phone has been changed to a converged style, which has so many functions. However, the converged mobile phone could not satisfy the users who want to use only specific functions, so with Axiomatic Design, we have studied for making a proposal to set up the new concep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general solution with Axiomatic Design to verify the Independence. By enhancing the existing design model and differentiating the function of mobile phone, user will be able to choose desirable products, which have only specific functions and/or specific parts. First of all, we checked the Independence about the existing design model. Then, we developed the new design model with the idea that base mobile phone should have basic functions and additional functions can be separated, surely be connected when users want.

사이버불링 발생과 정보매체활용 간의 상관분석 - 인터넷과 휴대전화 사용을 중심으로 (The Corelation Research between Cyberbullying and Information Media Use - With Focus on Internet and Mobile Phone Use)

  • 김봉섭;박종선;감동은;진상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7-29
    • /
    • 2013
  • 청소년들에게 사이버불링은 심각한 위해 요소로 작용하고 있지만 사안의 심각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접근과 시도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국 초 중 고등학생 1,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청소년들 사이에 인터넷 불링 가해경험은 유형별로 20.3%에서 39.0%, 피해경험은 11.0%에서 23.4%, 휴대전화 불링 가해경험은 15.9%에서 44.1%, 피해경험은 5.5%에서 21.8%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불링 가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터넷의 경우 성별, 학업스트레스, 인터넷 접근성, 익명성, 인터넷 이용시간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휴대전화의 경우에는 학교급별, 학업스트레스, 휴대이동성, 익명적 이용가능성, 휴대전화 이용시간 등이 휴대전화 불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불링과 휴대전화 불링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터넷 불링 가 피해 경험과 휴대전화 불링 가 피해 경험은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터넷 불링 가해경험과 휴대전화 불링 가해경험, 인터넷 불링 피해경험과 휴대전화 불링 피해경험은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Design of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ing Mobile Phone with WPAN Platform

  • Lee, Tae-Yang;Kim, In-Hwan;Lee, Yang-Sun;Song, Young-Ho;Jeong, Gu-M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884-889
    • /
    • 2010
  • In this paper, we design a mobile phone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PC using SKT WPAN platform and compare the presented platform with that of Windows Mobile. The usability of WPAN is one of the main issu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ubiquitous services. For easy development and easy use of the WPAN applications, SKT WPAN platform provides abstract WPAN APIs and WPAN Application Manager for ubiquitous services.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ing the WPAN platform and show the validity of the platform comparing with other platforms. In the implemented application, we use WPAN abstract APIs on the mobile phone side and a general Bluetooth APIs on the PC for a connection between phone and PC. Through the implementation and comparison, we show that the WPAN application can be easily developed with WPAN 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