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Learning

검색결과 1,116건 처리시간 0.025초

사용자 맞춤형 외국어학습 콘텐츠 구성을 위한 연구 (A study on Customized Foreign Language Learning Contents Construction)

  • 김귀정;이재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89-194
    • /
    • 2019
  • 본 논문은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외국어 학습자들의 학습환경에서 IT기술과 학습콘텐츠의 개발을 통해 사용자 성향별 맞춤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이다. 전 세계의 다양한 외국어 학습자들이 모바일기기와 모바일학습콘텐츠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학습활동을 하고 있으며 외국어학습이 대표적인 모바일 학습분야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제시된 외국어학습콘텐츠 구성은 학습자의 모국어 음성 문자 텍스트를 기반으로 정보수집 및 콘텐츠 제작의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성향별 학습콘텐츠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활동이 실제사용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만들어서 학습과 실제사용에 차이점이 없도록 콘텐츠를 구성하여 학습 후 시행착오를 거쳐 올바른 사용 순서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학습방법과 차이를 보여준다. 또한 학습자 개인의 선호 어휘 문맥을 콘텐츠화하여 학습에 사용하므로 학습콘텐츠와 개인성향의 일치를 이루어 학습의 이질감을 최대한 줄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 내용을 토대로 학습자의 모국어 어휘 문맥 분석 및 텍스트화 과정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3D모델링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튜토리얼 방식의 치아카빙 실습지원도구 개발 (Developing a Mobile Tutorial Tools Using 3D Modeling Technology on Tooth Carving for Dentistry)

  • 박종태;박사범;이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546-557
    • /
    • 2016
  • 치의학 분야에 입문한 학습자가 치아 형태를 이해하고 임상의 기반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치아카빙 실습이 필요하다. 치아카빙 실습은 단계별 모델을 필요할 때마다 관찰할 수 있을 때 더 효과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카빙 실습모형을 제안하고, 카빙 단계에 대한 3D모델링 정보를 제공하는 튜토리얼 방식의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치아카빙 실습 모형은 치아형태학 강의 및 실습을 포함하는 강의실 활동과 학습자의 실습과 일상적 학습을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로 연계하는 모바일 심리스 러닝 형태로 도출하였다.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는 치아형태학 사전, 치아카빙 실습 튜토리얼, 3D 치아 모델링으로 구현되었다.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전문가 평가 결과 내용 및 기능이 타당하게 설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내용 타당도: 5.0, 인터페이스 타당도: 4.53). 따라서 개발된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도구는 치아카빙 실습의 모바일 심리스 러닝을 지원하는 데 적합한 학습도구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치의학 분야에 ICT를 활용하는 수업모형과 지원도구인 모바일 콘텐츠 개발 연구가 촉진되기를 기대한다.

모바일 탐구학습 지원도구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of the Mobile Learning Support Device for the Inquiry Learning)

  • 유상미;신승용;김미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5-47
    • /
    • 2009
  • 유비쿼터스(Uniquitous)기술 기반의 U-learning 학습과 관련한 몇몇 연구에서 지적하는 것처럼 학습자의 상황성과 맥락성은 반드시 반영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탐구학습 방법과 모바일 탐구학습 지원도구를 제안했다. 탐구학습은 학습자가 스스로 실제 현장에서 경험한 내용을 기초로 운영되므로 학습자를 자연스럽게 학습 상황과 맥락속에 위치하게 해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의 일부를 탐구학습의 형태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했으며, 또한 연구에서 개발한 모바일 탐구학습 지원도구는 학습자가 탐구학습의 과정을 자연스럽게 밟아 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기능과, 모바일 기술을 바탕으로 습득한 자료를 원격지 학습서버에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이 수행하는 탐구학습을 지원하였다. 이들은 학교현장에 적용되었고,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학습 흥미와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범위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 PDF

HTML5_기반 모바일 웹 캡쳐 동영상 학습 시스템 (HTML5_-based Mobile Web Capture Video Learning System)

  • 이연란;임영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8-18
    • /
    • 2013
  • 본 논문은 Html5 모바일 웹상에서 학습 동영상을 수강하면서 재학습이 필요한 영역을 타임라인의 비디오 프레임 형태로 재생 시간과 함께 캡쳐하여 저장한다. Html5의 Video 태그를 활용하여 최대 9개까지 캡쳐 프레임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고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면 저장한 재생 시간 위치부터 실행하는 방식으로 구현한다. 캡쳐 프레임 실행은 전체 학습에 비해 재학습 프레임만 부분적인 학습이며 집중 학습의 효과로 학습자 맞춤형 스토리텔링을 구현할 수 있다. 무작위 순서에 따라 구간 반복 학습 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 수준별 맞춤 반복 학습에 따른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대학에서의 모바일 러닝을 위한 전자교재 개발 사례 연구 (A Study on eTextbook Development for Mobile Learning in a University)

  • 정효정;전은화;서응교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7-25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Textbook and to explore the usability of the eTextbook for accelerating mobile learning in university. This study was primarily based on needs analysis of students, and eTextbook was created based on digital publishing through Adobe DPS. The major design principles of the eTextbook based on previous studies were as follow. First, eTextbook should deliver learning contents in a simple and systematic way. Second, eTextbook should induce student's flows by providing segmented learning contents and various learning resources. Third, eTextbook should exp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by providing a wide variety of multimedia functions. The development principles of eTextbook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Location and function of the link or icon used for eTextbook have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s of cognitive psychology. The main development principles were Coherence, Signaling, Redundancy, Segmentation, Multimedia principle, and so on. In order to examine usability of the developed eTextbook, experts' and learners' reactions were evaluated. The primary responses of learners are that the eTextbook increased the learning accessibility and provided various multimedia factors, and thus increased the learning flows in the class.

가상 환경에서의 강화학습을 활용한 모바일 로봇의 장애물 회피 (Obstacle Avoidance of Mobile Robot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in Virtual Environment)

  • 이종락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9-34
    • /
    • 2021
  • 실 환경에서 로봇에 강화학습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반복 학습이 필요하므로 가상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또한 실제 사용하는 로봇이 저사양의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는 경우 계산량이 많은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사양의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는 모바일 로봇의 장애물 충돌 회피 문제에 강화학습을 적용하기 위하여 가상의 시뮬레이션 환경으로서 Unity에서 제공하는 강화학습 프레임인 ML-Agent를 활용하였다. 강화학습 알고리즘으로서 ML-Agent에서 제공하는 DQN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학습한 결과를 실제 로봇에 적용해 본 결과 1분간 충돌 횟수가 2회 이하로 발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동 로봇 행위의 진화 (Evolutionary Learning of Mobile Robot Behaviors)

  • 이재구;심인보;윤중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05-1108
    • /
    • 2003
  • Adaptation in dynamic environments gains a significant advantage by combining evolution and learning. We propose an on-line, realtime evolutionary learning mechanism to determine the structure and the synaptic weights of a neural network controller for mobile robot navigations. We support our method, based on (1+1) evolutionary strategy, which produces changes during the lifetime of an individual to increase the adaptability of the individual itself, with a set of experiments on evolutionary neural controller for physical robots behaviors.

  • PDF

성공적인 m-Learning 구현을 위한 핵심 요인에 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Critical Factors for Successful m-Learning Implementation)

  • 황재훈;김동현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2권3호
    • /
    • pp.57-80
    • /
    • 2005
  • This study defined the notion of general idea on m-learning as based upon e-Learning and mobile internet 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identified the m-Learning distinctive features. Also, this study has searched for factors that are expected to influence the use intended for m-Learning from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is acknowledged to be a useful method for learning accomplishment in education field, in order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motivation and use intention. Then it has empirically validated the conceptual model based on Davis'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s a result,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interest, contents quality, time management, help seeking, and Peer study ar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usefulness. Also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interest, contents qualify, time management, and peer study ar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ease of use. Finally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use intention.

  • PDF

On Mobile 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on English Grammar

  • Sung, Tae-S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65-71
    • /
    • 2018
  • Using mobile technology in educational and learning environments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in recent years. In this mobile environment, mobile phones have been us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the field, which has been recognized through numerous experimental studies so far. The study was proposed and conducted to find out how much the use of mobile phones can have to improve the grammatical knowledge of EFL students. Introduction of 95 intermediate courses to Chungnam area The second grade students of 4-year colle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veryone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review and recur to use the six grammar formats, including the current complete tense, simple past tense, direct and indirect question sentences, and comparative and superative-based methods. During the class discussion, the participants of the group record their voice on their cell phones, analyze the mistakes in the expressions recorded as a task after the class, and explain the results in the next session. However, in the class of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this recording process is omitted. Participants benefited from mobile learning were much more positive in multidimensional grammar tests than those in control groups.

물체 특징과 실시간 학습 기반의 파티클 필터를 이용한 이동 로봇에서의 강인한 물체 추적 (Robust Object Tracking in Mobile Robots using Object Features and On-line Learning based Particle Filter)

  • 이형호;최학남;김형래;마승완;이재홍;김학일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62-570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robust object tracking algorithm using object features and on-line learning based particle filter for mobile robots. Mobile robots with a side-view camera have problems as camera jitter, illumination change, object shape variation and occlusion in variety environmen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color histogram and HOG descriptor are fused for efficient representation of an object. Particle filter is used for robust object tracking with on-line learning method IPCA in non-linear environment.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revealed via experiments with DBs acquired in variety environment.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accuracy performance of particle filter using combined color and shap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online learning (92.4 %) is more robust than that of particle filter using only color information (71.1 %) or particle filter using shape and color information without on-line learning (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