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Cosmetic Applic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피부관리 애플리케이션 수용에 대한 설문조사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Skin Care Application Adoption)

  • 정은영;노주영;박동균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1-60
    • /
    • 2016
  • Consumers who use mobile applications for their skin care are increasing due to increasing interest in skin care and smart phone use. A survey was conducted to select popular skin care mobile applications to be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targeting 1,000 men and women in South Korea who are interested in their skin care. Questioned items included skin care awareness and recognition, skin care type, and the intention of using skin health care mobile services. The respondents thought the best skin as 'Flawless skin (52.3%)'. Also, 'Skin trouble' and 'Skin aging' were their major concerns. 47.1% of the respondents used mobile skin care applications, and 56.6% intended to try new mobile skin care services. The results on interesting field of skin ca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marital status, and annual average household income. Moreover, the results on effort made for skin ca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y wanted the functions such as 'Review on cosmetic products by brand (23.8%)', 'Self skincare method (16.8%)', 'Continuous monitoring service (16.2%)', 'Information on cosmetic products (13.4%)'.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reliable as basic material for skincare mobile service area. Further studies could be focused on developing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needs and how it should be applied.

화장품 앱에서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과 메이크업 룩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on Virtual Makeup of Instant Beautifying Application - Focus on Color and Shape)

  • 오승현;전창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53-1662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앱이 제공하는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과 메이크업 룩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20대 및 30대 여성 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9개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중 'Bella', 'Hilary', 'Cara' 등 3개를 가장 선호하며, 이에 상응하는 메이크업 룩은 각각 '섹시', '클래식', '내추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문가의 정성적 평가와 통계적 분석에 의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이들은 메이크업 템플릿과 유사한 메이크업 룩을 선호하고, 전반적으로 고명도의 연한 피부색과 중명도의 밝은 입술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크림 제형 화장품용 스마트 패키징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Smart Packaging for Cream Type Cosmetic)

  • 전수연;문병근;오재영;강호상;장건;이기성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9-87
    • /
    • 2019
  • 화장품 내용물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화장품 스마트 패키징을 제작하기 위하여 화장품 업계 실무자를 대상으로 경험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설문자가 화장품 사용 시 유통기한 준수를 위해 기한을 확인하며, 보관환경에 의한 화장품 내용물의 변질이 빈번한 것을 확인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관환경의 온·습도, 사용빈도, 유통기한, 내용물 제조성분 표시기능을 추가하여 센서·PCB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였으며, 기능의 작동성을 확인하였다. 제작한 센서의 고온, 상온, 저온의 3가지 환경조건에서의 작동성능을 확인한 결과, 온도 및 습도가 (±3)℃, (±5)%R.H. 이내로 작동하였고, pH는 (±1) 이내로 측정되어각 환경조건에서 설정한 기준치 이내로 정상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작한 센서 및 PCB를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화장품 용기를 설계, 디자인하였고, 제작한 스마트 화장품 용기의 내구성을 확인하였다. 비교적 부피가 큰 센서를 적용하기 위하여 크래들 형태를 적용하였으며, 내용물 용기에 회전토출방식을 적용하여 밀폐성을 높였다. 제작한 화장품 용기의 감압누설, 내열성, 내한성, 낙하, 크로스컷트 시험 결과, 각 시험 후 용기의 변형, creep 현상, 분리, 균열, 파열, 변색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누설 및 작동불량이 발생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화장품 스마트 패키징 용기, 센서 및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장품의 보관환경, 사용빈도 등을 측정할 수 있었고, 측정 정보를 용기의 색변화 및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효율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비자 UI/UX 디자인 개발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및 용기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상용화를 통한 다양한 화장품 제품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ect of Cosmetics Curation Service Quality Attributes 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 Heo, Sungmin;Choi, Woosuk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6호
    • /
    • pp.70-82
    • /
    • 2018
  • In modern society, the means of sharing information has expanded from existing personal computers and mobile devices to a variety of smart devices rapidly increasing information production. Recently, curations have extended to online businesses. There has been wide use of curation services in the cosmetics curation market. In this study, focuses on factors which cosmetics curators have in mind.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cosmetics curation quality properties on usability, the effects of the medium of satisfaction and confidence are to be verified. For this study, a survey of 378 women in their 20s and 40s who had experience with curations was don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s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personalization quality of cosmetics curation service we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Personalization qualit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System qua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rust and further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This indicates that the trust on the curation service depends on the stability of system. However, design quality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trust. In future, the research related to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big data-based cosmetic curation will be further expa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