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bile Browsing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Evaluation of User Satisfaction for the Full-Browsing Mobile Web Services (풀 브라우징 방식의 모바일 웹 사용자 만족도 평가)

  • Cho, Ok-Hyun;Park, Sei-Kwon;Ryu, Seong-Wan;Myung, Kwang-Si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296-305
    • /
    • 2009
  • 최근 휴대폰을 이용해 URL을 입력하여 PC와 동일한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는 '풀 브라우징(Full Browsing) 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으며 급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시장 성장 수준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에 대한 평가기준이나 평가척도의 개발은 느리게 진행되고 있어,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평가기준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풀 브라우징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하여 풀 브라우징 서비스에 대한 고객 만족도 평가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풀 브라우징 서비스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향후 고객 유지 및 신규 고객 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obile News Engagement in a South Asian Context: Roles of Demographics, Motivations, and News Type Preferences in News Exposure and Participation in Bangladesh

  • Alam, Md. Asraful;Kim, Kyun 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v.17 no.2
    • /
    • pp.48-64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mobile news engagement-conceptualized as news exposure and participation-in the context of South Asia which has experienced tremendous growth in mobile-Internet users without receiving much attention from communication scholars. Along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incorporates motivational factors (grounded on uses and gratifications-U&G-approach) and news type preferences to explore their roles in mobile news engagement among urban citizens in Bangladesh. Results of a self-administered survey (N = 504) revealed that participants' mobile news engagement partially varied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differences, particularly gender, age, and education. Our study also unveiled that individuals' motivation for sharing information seemed to be a strong predictor of mobile news exposure and participation. In addition, Bangladeshi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terested in the hard news in terms of expressing views on news comments and sharing news via mobile platform. Conversely, preference for soft type new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news exposure through mobile browsing.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understanding of global phenomena of mobile news engagement by unpacking the case of Bangladesh where mobile news usage seems to be an evolving state.

Study of Reading Aids for Improve Text Readability on a Small Screen Mobile Device (Small Screen Mobile 환경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Reading Aids의 연구)

  • Kim, Jong-Gon;Choi, Sun-Hyang;Min, Young-Sa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147-151
    • /
    • 2008
  • There are many attempts to transfer many applications from PC to mobile which has small screen, cause of a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To display the whole information of the PC on the tiny screen, it makes many Horizontal Scroll, Horizontal Scroll in mobile screen makes people to miss where they are reading easily and such a frequent error makes readability of the information in mobile screen low. We suggest a Line Marker to help readability of the mobile screen high. This stud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itions of Line Marker such as fixed or moved or not exists and the factors of the reading time and satisfaction.

  • PDF

Implementation of Interface to Support Mobile Accessibility Using Speech I/O APIs (음성 입출력 API를 이용한 모바일 접근성 지원 인터페이스 구현)

  • Oh, Seungchur;Yun, Young-Su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1
    • /
    • pp.71-80
    • /
    • 2013
  • Due to the increased use of mobile devices, there is a lot of discussion on mobile accessibility. Mobile accessibility means that everyone, who includes the disabled, the elderly people, can easily use the functions of mobile devices. In this paper, we presented and implemented a mobile interface using a speech I/O API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he proposed interfaces are implemented on Android platforms and they used speech recognition and text-to-speech APIs supported as built-in services. In addition, to facilitate the internet access for visually impaired or blind people, we also implemented the web browsing application (web reader).

A study on comparison of Usability of Mobile Fullbrowsing Browser (모바일 풀브라우징 브라우저 사용성 비교 연구)

  • Jung, Ja-Young;Lee, Ja-Young;Lee, Jae-Se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15-1019
    • /
    • 2009
  • 무선인터넷 기술발달로 대용량의 웹사이트를 휴대전화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디스플레이도 3 인치 이상의 WVGA 고해상도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망개방 이라는 시대적 요구와 맞물리면서 모바일 풀브라우저가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유선 인터넷 환경의 웹사이트를 좁은 휴대전화 화면에 그대로 구현하여 사용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풀브라우저의 현황을 살펴보고 사용성 검증을 통해 현재 서비스 환경에 최적화된 모바일 풀브라우저 UI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주요 이동통신사의 풀브라우저에 적용된 공통적인 기본 UI 요소를 검토하여 추출하였다. 그 후 사용자 조사를 통해 추출된 기본 UI 요소들을 비교해 보고 각 기능의 중요도 및 기능 별 최적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조사를 통해 검증된 이슈를 기반으로 향후 모바일 풀브라우저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여러 모바일 풀브라우저의 기능별 방식에 대하여 사용자의 실제 경험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향후 모바일 풀브라우저 개발에 있어 사용성을 향상 시키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sign of Enhanced Architecture Based Efficient Personalized Web Browser for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의 향상된 아키텍처 기반의 효율적인 개인화 웹 브라우징의 설계)

  • 한승현;백주호;황민구;성경상;오해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03-405
    • /
    • 2002
  •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Mobile 이동통신기기를 사용한 인터넷 쇼핑은 향후 E-Commerce 시장에서 가장 크게 확산되어질 한 분야로 부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인터넷상에 혼재 되어있는 수많은 정보에 대하여 Mobile Environment상의 제한된 Screen Size와 더불어 느린 통신 속도, 무선 인터넷 접속시의 높은 비용 등의 문제로 다량의 정보에 대한 확인과 검색이 어렵고, 고객이 원하지 않는 정보 또한 산재되어 있어 개인화(Personalization)된 검색 서비스의 요구가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PDA 및 Handhold PC를 이용하는 User의 취향 정보와 만족도 등을 기준으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개인화 Interface의 제공 및 이를 이용한 손쉬운 검색 방식을 제시한다. 또한 User 인터랙션 정보를 통해 Feedback함으로써 보다 완벽하게 User 개인별 취향에 접근할 수 있는 Browsing기법을 제시한다.

  • PDF

Mobile Internet Korean User Research (모바일 인터넷 국내 사용자 조사 - 스마트폰, PDA, PMP 사용자의 풀브라우징 및 인터넷 연결 기능 사용 행태를 중심으로 -)

  • Yi, Sun-Young;Kim, Jeong-Sun;Hwang, Byeong-Cheo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170-172
    • /
    • 2008
  • 모바일 환경에서 풀브라우징과 접속/비접속의 seamless 한 인터넷 기능의 사용을 바라는 것은 사용자들의 오래되었으나 채워지지 않는 니즈였으며, 이제 사회적, 환경적 기반이 구축되고 있는 시점에서 실사용자들의 행태에 대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인터넷 풀브라우징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가 갖추어야할 사용성의 요소를 미리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여 모바일 인터넷 이라는 주제로 이루어진 리서치의 일부로서 국내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였다. 국내 사용자 조사는 휴대기기로 실제 모바일 인터넷 관련 기능을 자주 사용하는 실사용자 대상으로 FGD 와 Shadowing 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PUI/UI/GUI 관점에서 향후 모바일 인터넷 휴대단말기가 갖추어야할 요소를 추출하였다.

  • PDF

An Effective Pre-refresh Mechanism for Mobile Handhold Device′s Embedded Web Browser

  • Li, Hua-Qiang;Kim, Young-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151-153
    • /
    • 2002
  • Mobile handhold devices such a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Cellular Phone are more and more popular for personal web surfing. But today, most mobile handheld devices have relatively poor web browsing capability because of the small bandwidth of wireless connection, the small speed of CPU, the small capacity of RAM and Flash ROM, the small display size of LCD and the short lifecycle of battery. Users have to endure bigger communication latency than Desk PC's one because of these fact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pre-refresh mechanism for handheld device's embedded web browser so as to make user's web surfing faster. The experiment was done using the simulator designed by ourselves and the experiment result demonstrates the proposed mechanism has a good performance to make web surfing faster.

  • PDF

A Design of Intermediary based Framework for Improving Mobile Web-Service Performance (모바일 웹서비스의 성능 향상을 위한 인터미디어리 기반의 프레임워크 설계)

  • Kim, Yong-Tae;Jeong, Yoon-Su;Park, Gil-Ch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12
    • /
    • pp.2277-2285
    • /
    • 2008
  • Nowadays, in many mobile device environment, while the demand for using web service is increasing, there are many limitations on web-browsing in wireless network because of various restrictions and problems in reality. We need improvement in function of mobile web service engine because we can't be satisfied with the multiple demands by using previous capacity of web server in rapidly changing web environment. Therefore, this paper improves the service environment for web service users by introducing intermediary technology to web service. This paper embodies intermediary based web service framework for improvement of the function of mobile web service and for the interoperability of mobile device and web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