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컴퓨팅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1]. 이를 위해 mobile-IP 표준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는 광범위하게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함께 mobile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간의 통신도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컴퓨팅의 한 분야인 Ad-hoc 네트워크와 mobile 네트워크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이를 위해 ad-hoc 이동 호스트 중 mobile-IP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agent advertisement message)를 받는 ad-hoc 이동 호스트에 게이트웨이를 두어 패킷을 만들고 경로 정보를 유지하는 등의 기능으로 이 ad-hoc 이동 호스트의 중계에 의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PMIPv6(Proxy Mobile IPv6)는 이동 노드(Mobile Node: MN)을 대신하여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써 네트워크-기반 이동성 지원 기법이다. PMIPv6에서는 비록 MN에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가 장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단지 하나의 인터페이스만 이용하여 MN이 PMIPv6 도메언에 정속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중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이동 노드가 PMIPv6 도메인에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자의 의도를 고려한 플로우 기반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된 기법은 PMIPv6 도메인에서 라우터광고 (Router Advertisement: RA) 메시지를 이용하여 MN이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동일한 PMIPv6 도메인에 동시에 접속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IPv6 프로토콜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그널링 비용과 핸드오버 지연을 이용하여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MN의 속도와 우선 링크의 실패 확률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one of the most powerful services in the mobile area.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es information service for moving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using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which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and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for location-based service. For this service system, we consider mobile clients that have a limited resource and low bandwidth.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put the words at mobile device, we must deliberate it when we design the interface of system. We design and implement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for location-based services(advertisement, discount news, and event information) that support user's needs and location information. As a result, it can be used to design the other location-based service systems related to user's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environment. In this case, we need to establish formal definition of moving objects and their temporal patter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RM service model for analyzing and managing location based data collected by Wi-Fi and BLE. As mobile devices became personalized, enterprises became interested in individual location, and location based mobile marketing started to stand on spotlight. Location based proximity marketing is developing along with contactless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and payment system that uses NFC, Beacon that utilizes BLE, as well as advertisement via Wi-Fi are being serviced. We suggest the model that mobile devices can be detected and identified by MAC address with the need of being connected to Wi-FI or Bluetooth interface. MAC addresses are not associated with any specific user account or mobile phone number. The idea is to be able to measure the amount of people which are present in a certain point at a specific time, allowing the study of the evolution of data analysis and offers effective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s.
본 논문은 실시간 파노라마를 위한 영상의 특징점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파노라마 연구는 최근 실시간 지역탐색이나 DVR 등에 적용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특징 점 검출은 파노라마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특징 점 검출을 위해서는 어떠한 명암 변화에도 특징점은 불변이어야 하며 이미지의 크기와 회전이 변화하더라도 불변의 점을 찾아야 한다. 기존 연구방법은 고차원적인 벡터와 많은 후보 점을 선점하기 때문에 연산량이 많고 수행시간이 길어 실시간에 활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보다 빠른 실시간 특징 점 검출을 위해 LoG 방법을 비트단위로 분할 후 결합하는 BLoG 방법을 제안하고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속도와 연산량 그리고 검출 성능에 대하여 비교한다.
스마트 폰 보급률의 확산과 다양한 기능의 발달로 모바일 광고라는 새로운 광고매체가 대두되었고, 일과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지는 청소년들을 타겟으로 한 다양한 모바일 광고가 활성화 되었다. Z세대로 불리우는 현대사회의 청소년은 연령대 중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시간이 가장 길고, 경기침체기에도 청소년 소비자는 경기불황을 이겨낼 수 있는 중요한 소비층이기 때문에 이들의 구매력을 목표로 하는 모바일 광고가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모바일 광고특성과 개인특성이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는 다시 구매행동으로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고등학생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광고특성과 브랜드 선호도에서 편의성의 인식이 높을수록 브랜드 선호도가 높았고, 둘째, 모바일 광고특성과 브랜드 신뢰도는 편의성, 정보성, 오락성의 인식이 높아질수록 수용도에 긍정적인 영향 미쳤다. 셋째, 청소년의 개인특성이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유행추구, 개성추구, 실용추구가 브랜드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구매태도와 구매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구매태도 중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신뢰도가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소비자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광고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Construal level theory (CLT) have been researched in wide range of disciplines such as marketing, organizational study, psychology, or education. Current study asserts that CLT would explain the effect of different devices of PC and smartphone on interaction between human-computer interfaces and information systems use. In CLT, those who are far from an object in terms of physical, temporal, social or psychological distance, they construe their understanding as abstract (high level) and vice versa. We hypothesized different size of digital device will increase psychological distance and result in behaviors that correspond to present construal level.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users of PC recognized that they are socially distant from the device and those of smartphone felt that they are socially close to the device. However, the devic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attention to essential information, advertisement preference, and immediacy. The implication to academia,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모바일 광고는 무선 디바이스의 발달로 인해 새로운 광고 수단 및 마케팅 수단이 되었다. 많은 이용자들이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사용자는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무선 서비스는 단순한 SMS 형태의 서비스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SMS를 수신하는 이용자들은 자신이 원하지 않는 광고성 메시지의 수신 대해 상당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광고 중계 모델 "ATPA" (Advertisement Transport Processing Architecture)을 제안한다. "ATPA"는 필터링 기법을 응용하여 고객 지향적인 모바일 광고 시스템으로서 이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광고의 수신하게 하고, 광고주는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the customer's acceptance intuition for the ads on cellular phone.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set up a model with such variables as entertainment information irritation, credibility, flow experience, attitudes and acceptance intention based on TAM and Flow theory. For the more reasonable and generalizable results, this study targets two different customer groups in Korea and Japan and compare the responses from these two groups using AMO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 second-generation multi - variant techniques.
In general, service failure occurs inevitably and the customers who experienced the greater dissatisfaction have the higher expectations of service recovery.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valuation and risk factors of pre-service quality. Thus, this study is contrary to the numerous previous studies and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mobile application advertisement users' perceived perception on service recovery after service fails. A research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Equity Theory and deepl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Distributive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and Authenticity Relevance on Service Recovery.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286 users who have experienced a services recovery of mobile application advertising. As a result, among all the factors of users of mobile application advertising, Distributive Justice, Interactive Justice, and Relevance have a positive impact to Satisfaction. In addition, Distributive Justice, Authenticity and Satisfaction also have a positive impact to Trust. Ultimately, Satisfaction and Trust have a positive impact to Service Recove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as a reference for presenting a new business model for mobile application advertising industry, reducing business risk and enriching the related researche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