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seeding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5초

사초용 호맥 (Secale cereale L.) 과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의 혼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ixed Cropping with Forage Rye (Secale cereale L.) and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 전병태;이상무;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9-207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ing method and seeding ratio in mixed cropping of forage rye and red clover on dry matter yield, nutritional yield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The main treatment was two seeding methods(drilling and broadcasting) and the sub treatment was six seeding ratios between rye and red clover(T1; 150kg : 0 kg/ha, T2; 120 : 3, T3; 90 : 6, T4; 60 : 9, T5; 30 : 12, T6; 0 : 15).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 of Kon-Kuk University in Chungju in 1992.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eeding ratio of red clover, but content of NDF and ADF were decreased. 2. The seeding method did not affects significantly the dry matter yield, but broadcasting showed higher dry matter yield than drilling in the same seeding ratio. Especially, T3 of broadcasting was the highest yield of 13, 172 kg/ha The T3 of broadcasting and T4 of drilling showed hlghly crude protein yield of 1, 268 kgha and 1, 252 kg/ha, respectively. 3. Comparing the each seeding ratio of two seeding method, total nitrogen yield of shoot and root of drilling were higher than broadcasting. Especially, T2 and T4 of drilling were the highest in total nitrogen yield. 4. There were more increase in organic matter and nitrogen contents but decrease in K, Ca of soil by increasing the seeding ratio of red clover than soil before experiment. In the seeding methods, broadcasting was an effect of soil improvement.

  • PDF

녹화용(綠化用) 자생(自生) 목본식물(木本植物)과 초본식물종자(草本植物種子)의 혼파처리(混播處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Mixed-Seeding of Native Woody and Herb Species)

  • 전기성;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71-279
    • /
    • 1996
  • 이 연구는 비탈면 녹화용(綠化用) 자생목본(自生木本)과 초본종자(草本種子) 적정혼파비(適定混播比)를 결정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실내온실에서 목본(木本) 초본종자(草本種子)의 파종실험(播種實驗)을 실시하였으며, 파종(播種)은 목본(木本)의 경우 초기발아기대본수 60립(粒)/$m^2$을 기준으로 초본종자(草本種子)와 혼합하여 복토량(覆土量), 시비처리(施肥處理), 파종량별(播種量別)로 실험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1994년 6월 파종후(播種後) 목본(木本)과 초본(草本)의 개체수(個體數), 생중량(生重量), 수고(樹高)와 초고변화(草高變化), 분얼수(分蘖數)를 조사한 결과, 목본(木本)의 개체수(個體數)는 1995년에 싸리가 파종구(播種區)($m^2$)별(別)로 평균 1.14본(本), 족제비싸리 0.496본(本)이였으며, 조팝나무와 물오리나무는 파종 발아후 당해년도(1994)에 고사하였다. 초본(草本)의 경우는 1995년에 달맞이꽃이 5.06본(本), 솔새 1,072본(本), 개솔새는 0본(本)이였으며, 억새는 412.53본(本), 쑥 88.6본(本), 비수리 8.9본(本), 새 57.46본(本)으로 조사되었다. 지상부생장(地上部生長)에 있어서, 목본(木本)의 싸리와 족제비싸리는 급격한 지상부생장(地上部生長)과 생중량(生重量)의 증가를 보이고, 초본(草本)의 경우에는 파종 당해년도에 솔새, 개솔새, 억새, 달맞이꽃, 새 등은 생장(生長)이 빠르나 파종 이듬해에는 솔새와 억새가 지상부(地上部) 및 생중량(生重量)의 증가가 높았다. 파종량(播種量)에 따른 목본(木本)의 변화를 보면, 파종 당해년도에는 수종(樹種)간에 유의성(有意性)이 없었으나, 파종 이듬해에는 파종량(播種量)에 따라 유의(有意)하였고, 초본(草本)의 경우는 파종량(播種量)과 개체수(個體數)의 변화는 파종당해년도와 이듬해 모두 유의(有意)하였다. 분얼(分蘖)이 가장 우수한 것은 억새(21개)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솔새, 새 순으로 나타났다. 녹화용(綠化用) 자생목본종자(自生木本種子)와 초본종자(草本種子)의 혼파(混播)에서, 초본(草本)의 종자량(種子量)이 많을수록 목본(木本)의 개체수(個體數), 지상부(地上部) 생장량(生長量), 생중량(生重量), 초본분얼수(草本分蘖數) 등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탈면의 녹화식생(綠化植生)으로, 목본(木本)은 싸리와 족제비싸리, 초본(草本)으로는 분얼(分蘖)이 우수한 새류(類)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분석되며, 목본(木本)의 성립(成立)을 위해서는 파종량(播種量)에 대한 연구가 더욱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양질 조사료 생산을 위한 청보리와 콩과 작물의 작부체계 및 질소 시비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Cropping System and Nitrogen Fertilizers of Whole Crop Barley and Leguminous Crop for Production of Good Quality Forage)

  • 김대호;강달순;문진영;신현열;손길만;노치웅;김정곤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7-210
    • /
    • 2009
  • 친환경적인 조사료 생산과 사료가치 향상을 위해 콩과 작물과 청보리 혼파에 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최근 보리 재배시 심하게 발생하여 감수를 초래하는 토양 전염성 병인 호위축 바이러스(BaYMV) 발생은 간작에서 3정도 발생하였으나, 혼파했을때는 발생이 1 정도로 경감되었다.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또는 자운영을 혼파했을 때, 혼파에서 출수 및 성숙기가 간작보다 다소 빨랐으며, 질소 시비량이 늘어날수록 생육이 지연되었다. 청보리의 단위면적당 수수는 간작에서 혼파보다 많았으며, 질소 시비량이 많을 수록 증가하였고 간장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예취시기별 청예수량은 혼파에서 다소 많았는데, 헤어리베치와 혼파하였을 때가 자운영과 혼파하였을 경우보다 많아 혼파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질소 시용량이 많아질수록 청예 및 건물수량이 증가했으나 경제성 및 친환경 농업을 위한 견지에서 질소를 표준시비량의 1/2 정도로 줄여도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청보리와 콩과 목초를 혼파 또는 간작했을 때, 토양 EC가 수확 후 다소 낮아졌으며, 유기물 함량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ADF(acid detergent fiber)와 NDF(neutral detergent fiber) 함량은 파종방법 및 작부조합 간에는 뚜렷한 경향을 볼 수 없었으나,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함량은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청보리 단작에 비해서는 청보리와 콩과작물과의 혼파 및 간작이 대체적으로 사료가치가 높은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청보리와 두과 작물과의 혼파는 사료가치의 향상효과 및 지력유지, 화학비료 절감 등 친환경 지속적농업을 위한 유망한 재배기술이라고 판단되었다.

혼파초지에서 모형의 단계적 적용을 통한 수량예측 연구 (A Research on Yield Prediction of Mixed Pastures in Korea via Model Construction in Stages)

  • 오승민;김문주;팽경룬;이배훈;김지융;김병완;조무환;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0-91
    • /
    • 2017
  • 본 연구는 기후요인을 이용한 혼파초지 수량예측모형을 기초로 하여 시비, 파종 및 조성연차 요인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해석력이 높은 모형을 선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혼파초지 수량예측모형 구축 과정은 자료(풀사료 및 기상자료)수집, 가공, 분석 및 모형 구축의 순이었다. 여기서 수량예측모형은 기후, 시비, 파종 및 조성연차 요인을 고려하여 6가지를 구축하였으며, 해석력 및 풀사료 생산 이론 측면의 검토를 통해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였다. 그 결과 기후, 시비 및 파종과 조성연차(조성연차의 그룹화) 요인을 고려한 Model VI이 선택되었다(해석력=53.8%). Model VI의 요인 별 해석력은 기후요인이 가장 크고(24.5%) 시비(17.8%), 파종(10.7%) 및 조성연차(0.8%) 요인의 순이었다. 그러나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에 나타난 정(+)의 상관관계는 지역별 및 적산변수 등의 관점에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시비량 및 파종량은 특정값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이차항(Quadratic term)을 이용하여 적정 수준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침출수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ctivation of Microbial Products by Using the Leachate)

  • 이장훈;정준오;남명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0-76
    • /
    • 1998
  • Activation bacteria, identified from commercial microbial products, were applied to leachate treatment. Total seven strains of bacteria Enterobacteriaceae spp. (5), Bacillus sp. (1), Aeromonas sp. (1) were seeded in the leachate and cultured in the shaking incubator at 25$^{\circ}$C and 250 rpm. While cultured, they were sampled in given time intervals and the removal rates of SS, COD, BOD, T-N.and T-P were measured an indicators of leachate treatment. Through the screening test, four of 7 strains of bacteria were considered to be effective and they were named as "effective group". The capability of leachate treatment was observed on three different groups of bacteria single, effctive, and total mix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moval rates of COD and SS for the total mixed group were 64 and 71% respectively. BOD removal rate was reached nearly 99% by seeding of effective griup and removal rates of T-P and T-N were 83 and 82% respectively. However seeding of single strain was less effective than that of any mixed group in leachate treatment.

  • PDF

백두대간에 인접한 석회석 광산의 식생복구 연구 (2) - 묘목식재 방법에 의한 옥계 광산복구 시험시공 사례 - (A Study of Rehabilitation for Limestone Quarry near the Baekdudaegan Mountains (2) - In Case Study for Planting Seedlings Experiment on Okke Quarry -)

  • 김경훈;김학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7-125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lanting seedlings for quarry rehabilita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for rehabilitation of quarry with planting seedlings and seeding types. Planting seedlings were categorized as target species, accompanied species and pioneer spec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limestone quarry (Lafarge Halla Cement Inc.) near the Baekdudaegan Mountains at Okke, Kangwon-do. The experimental planting bed was set in 2007 and field monitoring was carried out from 2007 to 2011. As the result of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early-phase pattern for surveyed species to establish was affected by the planting and seeding types. As years after planting and seeding, the percent of plant coverage also increased up to 90%. The methods of mixed planting and seeding were good for species diversity, but the growing of seedlings were affected by seeding plants. Accompanied species and pioneer species were superior to target species during first 2 years, but target species has gained predominance during last 2 years. The quality maintenance should be carried out annually to attain the goal of rehabilitation.

종균 첨가가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on the Microbial Changes During Thermophilic Composting of Food Waste)

  • 최민호;정윤진;박연희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1호
    • /
    • pp.1-11
    • /
    • 1996
  •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퇴비화 과정에서 종균 첨가가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실용 소형 퇴비화 장치에 선발한 고온성 세균, 효모 및 고온성 세균, 효모 복합종균을 첨가하여 $50^{\circ}C$에서 분해시키면서 고온성 세균과 효모의 생육 및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 효모가 우선적으로 생육하였으며 고온성 세균은 그보다 1일 또는 2일 후에 생육하였다. 종균으로 고온성 세균만 사용한 경우는 효과가 거의 없었으나 고온성 세균과 효모의 복합 종균을 첨가한 경우에는 고온성 세균의 생육이 현저히 촉진되었다. 특히 효모 종균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에도 고온성 세균의 수가 반응 시작부터 급속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시 고온성 세균의 증식에는 효모의 역할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효모가 세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유기산을 제거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 PDF

사면 녹화 공사용 자생목본식생의 파종 적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eding Timing of Native Woody Plants for the Slope Revegetation Works)

  • 김남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3-81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hydroseeding timing of woody plants. Five native plants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and were seeded on the cut slopes by hands in April, May, June, September and October. In order to identify the best seeding time, germination percentage, ground cover rate and plant height were investigated. There was a difference in germination percentage and ground cover rate depending on the seeding time.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 Seeding was best carried out in spring(May, June) or autumn(September). In spring, Lespedeza cyrtobotrya shows quick germination and rapid growing which can be compared with herbaceous plants using in the hydroseeding. As for Pinus thunbergii,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germinatin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timing. But Evodia daniellii, Parthenocis년 tricuspidata and Alnus hirsuta seem to need seed treatments to improve the seed germination. 2. Ground cover rate : The most rapid growing plant is Lespedeza cyrtobotrya and the next is Amorpha fruticosa. The other plants show extreamly low ground cover rate, so they seem to be surpressed by herbaceous plants which will be mixed for erosion control. 3. Plant height : On 8 weeks later after seeding, the Lespedeza cyrtobotrya which was seeded in June recorded 17.1cm plant height. It will be enouch height to compete with herbaceous plants. As the Parthenocissus tricuspjdata seeded in May shows 27cm plant length, it can be used more frequently on seeding works if the seed germination were improved. In sum, seeding is best carried out in May. When deciding seeding rate for the purpose of hydroseeding, it will be necessary to adjust the woody plants germination percentage according to seeding timing.

  • PDF

고랭지에서 녹비 생산성 증진을 위한 헤어리베치와 호밀 혼파 재배 효과 (Effect of Mixed Sowing of Hairy Vetch and Rye on Green Manure Yield in Mountainous Highland)

  • 김세원;서영호;최용범;안문섭;강안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42-447
    • /
    • 2011
  • Co-incorporation of Leguminosae with Gramineae could reduce the risk of nitrogen starvation phenomena caused by appling green manure of Gramineae alon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ixed sowing of hairy vetch and rye seeds on soil quality in mountainous highland. Mixed sowing of hairy vetch and rye increased the yield of green manure and nutrients compared with those for sowing of hairy vetch or rye alone. The yield of green manure from row seeding was $5.3Mg\;ha^{-1}$ compared with $4.8Mg\;ha^{-1}$ for broadcast seeding. Incorporation of the two green manure crops increased yield of red-bean by 58~92% as compared with yield for incorporation of rye alone. 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imply that mixed sowing of hairy vetch and rye can solve the problem of low emergence of hairy vetch in spring and high C/N ratio and rough incorporation of rye, in addition to increase in yield of green man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