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Rehabilitation for Limestone Quarry near the Baekdudaegan Mountains (2) - In Case Study for Planting Seedlings Experiment on Okke Quarry -

백두대간에 인접한 석회석 광산의 식생복구 연구 (2) - 묘목식재 방법에 의한 옥계 광산복구 시험시공 사례 -

  • Received : 2012.03.01
  • Accepted : 2012.04.10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lanting seedlings for quarry rehabilita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for rehabilitation of quarry with planting seedlings and seeding types. Planting seedlings were categorized as target species, accompanied species and pioneer spec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limestone quarry (Lafarge Halla Cement Inc.) near the Baekdudaegan Mountains at Okke, Kangwon-do. The experimental planting bed was set in 2007 and field monitoring was carried out from 2007 to 2011. As the result of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early-phase pattern for surveyed species to establish was affected by the planting and seeding types. As years after planting and seeding, the percent of plant coverage also increased up to 90%. The methods of mixed planting and seeding were good for species diversity, but the growing of seedlings were affected by seeding plants. Accompanied species and pioneer species were superior to target species during first 2 years, but target species has gained predominance during last 2 years. The quality maintenance should be carried out annually to attain the goal of rehabilit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호.이천용.배영태.김찬법. 2011. 산림재해지 복구를 위한 주요 수종의 입지 및 재해 저항 특성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4(6) : 1-15.
  2. 고정현.吉田寬.김남춘. 2006. 일본의 비탈면 녹화공법 발전과정과 전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9(1) : 112-120.
  3. 국토해양부. 2009.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 국토해양부 보고서.
  4. 김경훈.우보명. 1999. 비탈면 녹화용 재료로서 산림 표층토의 적정 채취시기 및 이용방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2) : 53-61.
  5. 김경훈.주백.김학성. 2011. 백두대간에 인접한 석회석 광산의 식생복구 연구(1)-종자파종에 의한 옥계 광산복구 시험시공-.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4(4) : 55-66.
  6. 김경훈.홍준석. 2002. 석회석 광산의 생태적 복원모델 수립-라파즈한라시멘트 옥계광산을 중심으로-. 환경친화적인 광산개발 및 생태적 복원모델 수립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pp.99-139.
  7. 김귀곤. 2003. 석회석 광산의 생태복원계획-라파즈한라시멘트 옥계광산을 사례로-. 석회석 광산의 생태복원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자료집. pp.12-13.
  8. 김남춘.허영진.김정훈. 2005. 환경친화적인 도로비탈면 훼손지 복원을 위한 적정 식물배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8(4) : 81-90.
  9. 김동근.박종민.임채영. 2010. 산림복원지에 대한 목표와 성과의 비교 분석. 산림공학기술 8(1) : 3-18.
  10. 김혜주.김보현.김두하. 2000. 폐탄광지 식생 복원.녹화공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3(4) : 43-51.
  11. 남언정.김남춘.조민환.길인.이석해.이정화. 2007. 재래 초.목본 식물 위주의 비탈면녹화시공지에 대한 식생변화에 관한 연구-모니터링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4) : 70-82.
  12. 라파즈한라시멘트(주). 2005. 석회석 광산 생태복원 기본설계. 라파즈한라시멘트(주) 보고서.
  13. 박재현. 2007. 백운산 지역에서 벌채지내 운재로의 회복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2) : 34-43.
  14. 산림청. 2006. 채석 허가 및 복구 제도 개선 방안. 산림청 보고서.
  15. 오구균.김도균. 2006. 생태녹화공학. 광일문화사.
  16. 이수욱. 1976. 황폐나지 지피식생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31 : 37-42.
  17. 이준우.권태호. 2007. 백두대간의 현실-백두대간의 훼손실태-. 2007 백두대간심포지엄 자료집. pp.45-63.
  18. 이준우.김남춘.남상준.박종민.차두송. 2003. 석회석 광산의 식생녹화방법에 관한 고찰-일본 이부키광산과 부코우 광산의 사례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6(6) : 72-85.
  19. 이천용. 1986. 토양 및 식생변화에 따른 산지사방공사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4(2) : 7-16.
  20. 이한진.김동근. 2008. 산사태 복구지 식생의 생장과 천이에 관한 연구-경북 김천지역을 대상으로-. 산림공학기술 6(3) : 189-198.
  21. 정규원. 2008. 토석채취지 유형별 복구방안. 산림공학기술 6(3) : 253-259.
  22. 정용호. 2008. 폐광지역 생태적 복구방안. 2008 광해방지심포지엄 자료집. pp.216-224.
  23. 한국광해관리공단. 2011. 2010년 광해통계연보. 한국광해관리공단.
  24. Hiller, D.A. 1997. Rekultivierung von Bergmaterialhalden des Steinkohlenbergbaues. In : Dt. Inst. f. Fernstudienforschung an der Uni Tuebingen : 383-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