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take of teacher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황산에 대한 고등학교 교과서 내용 분석 및 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An Analysis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Contents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Related to Sulfuric Acid)

  • 류재정;류정은;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40-247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화학 II 교과서에 제시된 황산에 대한 설명을 분석하고, 화학교육을 전공하는 예비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황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과학에서 황산이 물에서 2개의 $H^+$와 1개의 $SO_4{^{2-}}$로 해리하는 내용을 제시한 교과서들이 많았다. 그러나 황산은 일차 해리를 하여 1개의 $H^+$와 1개의 $HSO_4{^-}$로 존재하므로 이러한 오류는 수정될 필요가 있다. 화학 II 교과서에서는 황산의 단계별 이온화를 언급하였으나, 일부 교과서에서는 과학 교과서와 같은 오류를 가지고 있었고, 일차 해리된 $HSO_4{^-}$의 경우 약산임에도 불구하고 산의 세기가 센 것으로 표현하였다. 황산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사고를 조사한 결과, 95% 황산 수용액과 15% 황산 수용액에 존재하는 입자의 형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들의 사고는 고등학교 때의 학습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 II 교과서 광합성 단원의 오류 분석 및 생물 교사의 오류 인지 조사 (Analysis of Mistakes in Photosynthesis Unit in Biology II Textbooks and Survey of Biology Teachers' Recognition on them)

  • 박혜경;윤기순;권덕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2권1호
    • /
    • pp.33-4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생물II 교과서의 '광합성' 단원에 나타난 내용 오류를 분석하여 수정 예시를 제시함과 아울러 이 오류가 과목 담당 교사들에 의해 어느 정도 지적되고 수정되는지 조사함으로써 오류가 수정 지도될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7차 교육과정 생물II 8종 교과서 광합성 단원에서 오류를 분석하고, 오류가 담긴 교과서 내 지문으로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교사들의 오류 인지 및 수정정도를 조사하였다. 8종의 교과서 광합성 단원의 13개 학습주제에서 발견된 오류의 수는 총 48개였으며, 1종의 교과서에서 1개의 학습주제에 대해 4가지 오류가 나타나거나 동일한 오류가 여러 교과서에서 각각 나타나기도 하였다. 35명의 생물II 과목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교과서에 나타난 그래프(문항 6번), 잘못된 용어(문항 4-3번), 잘못된 그림(문항 1-2번) 등과 같은 단순오류의 경우를 오류를 정확히 지적하고 수정한 예가 각각 43%, 40%, 32%로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광합성의 명반응 과정을 설명하는 삽화에서 에너지 준위의 개념이 접목되어야 하는 오류에 대한 지적을 한 사례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물II 광합성 단원에 나타나는 오류는 정확히 수정되어 지도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한다. 학생들이 광합성에 대한 오개념을 가질 가능성을 낮추려면 오류를 수정 사항에 대한 자료를 교사들에게 배부하거나 교사연수 또는 워크샵 등을 통해 이에 대한 정보를 나눌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반증-실험 모형을 이용한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개념 변화 분석 (The Analysis of Conception Chang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or 'Causes of Season Change' with Disproof-Experiment Model)

  • 채동현;임성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524-534
    • /
    • 2011
  • This study is to ascertain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for the causes of season change, to verify their conceptional mistakes, and to analyze how their conceptions are changed while presenting Disproof-Experiment Model where they cannot explain it with their current conceptions. 32 junior students of Education universitie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located at the middle of Kore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ncluding two interviews and one experiment activity. As a result of analyzing of the data, the pre-service teachers held diverse conceptions for the causes of season change such as to mistake the phenomena,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the tilting of the rotation axis and the revolving around the sun while changing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s the cause. After applying Disproof-Experiment Model designed by the researchers in order to change the current conception above, the conception chang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investigated. Diverse Disproof-Experiment Models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Disproof-Experiment Model, 26 out of 28 pre-service teachers were changed to scientific conceptions. It was determined that in order to modif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designing and presenting the Disproof-Experiment Model appropriate to their conceptions are effective after analyzing their conceptions. In case of conceptions that pre-service teachers feel difficult, it was established that unraveling experiment models prescribed after investigating the preconceptions and identifying the misconceptions are important.

한국 교회학교 교사의 실태조사에 따른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 Based on the Survey on the Teachers in Church Schools in Korea)

  • 한만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25-31
    • /
    • 2016
  • 본 논문은 한국 교회학교 교사들의 현실과 실태들을 조사하여 미래 교회학교와 교사들에게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미래 교회학교와 교사들에게 필요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한국의 기독교 인구의 변동의 요인들, 기독교 인구의 감소 요인들, 그리고 교회학교 학생수의 감소 요인들, 현재 교회학교 교사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교사들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상황 등을 살펴보았다. 이런 교회학교 현실과 상황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634명의 학교교회 교사들에게 12가지의 교사의 현주소를 파악하고자 하는 질문들을 하였고, 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의 대안들을 교사들에게 제시하고자 한다.

예비교사의 물리 탐구 과정에서 드러난 불확실도의 개념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 of Uncertainty Revealed in Physics Inquiry Activity)

  • 이재봉;이성묵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26-83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측정 자료의 불확실도 개념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소재한 대학의 예비교사 27명이었다. 예비교사들에게 개방적인 탐구과제를 수행하게 하고 이것을 관찰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예비교사들의 개념을 조사하기 위해 2차례의 질문지를 제시하였으며, 일부에 대해서는 면담을 실시하였다. 응답한 자료를 분석하여 불확실도의 개념요소인 대표값의 표현, 정밀과 정확, 오차의 분석, 불확실도의 전파 등으로 나누어 예비교사들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예비교사들은 대표값의 표현에서 과학자들의 개념과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정밀과 정확을 혼돈하여 사용하고 정밀한 실험을 실시하는데 소홀하였다. 또한 오차를 나열할 뿐 그 원인이나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교사와 학생들이 올바른 개념을 가지게 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나 교수 학습 자료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안전사고가 초등교사의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afety Accident on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 양정모;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5-12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chool safety accident on teacher's normal educational activities and to seek some desirable ways to cope with i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1 class teachers randomly selected from Seoul and Kyonggi Province and surveyed from April through July, 2000.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Actual Condition of School Safety Accident 1) Approximately many teachers investigated had had an experience to suffer safety accident. Safety accident occurred most during break or clas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rvice area. 2) Safety accident took place most in playground, and the most common cause was student's own carelessness, and the most widely occurred accident type was an injur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2. Influence of Safety Accident On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1) The largest reason they offered safety education was to ensure student safety. The greatest number of them had an opinion they would consider changing or giving up a planned normal educational activity if they recognized any possibilities of safety accid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s point according to gender and career. 2) They worried about possible safety accident most during field study,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r presence or absence of safety accident experience. 3)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 produced a significant difference to an experience of avoiding educational activity due to psychological withdrawal, but safety accident experience didn't make any difference. 3. Minimization of Teacher Damage or Loss from Safety Accident. 1) The dominant opinion about teacher's small mistake for any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 was that the responsibility should be escaped to maintain teacher's authority. For severe mistake, however, there were two different opinions at the same percentage: one was being exempted and the other was taking civil liability. 2) Establishing teacher insurance was preferred as a way to minimize teacher's economic loss from safety acciden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3) The dominant opinion about the payment of insurance premium for safety accident was that it should be paid from school operating expenses.

  • PDF

끊는점과 녹는점에 대한 교과서 내용 분석 및 과학교사들의 인식조사 (An Analysis of Textbooks and an Investigation of Science Teacher's Views on 'Boiling Point' and 'Melting Point')

  • 김성수;백성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2-264
    • /
    • 2002
  • 이 연구는 끊는점과 녹는점에 관련된 실험 장치를 교육과정의 변화와 교과서의 유형에 따라 분석하고, 중등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이에 관련된 실험값과 교과서에 제시된 값이 다른 경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분별 증류, 온도계 보정의 실험 장치와 실 험 결과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교유고가정과 교과서의 종류에따라 끓는점과 녹는점에 관련된 실험 장치의 유형은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으며, 교사들의 인식도 전공과 근무 학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많은 교사들이 분별 증류 실험에서 실험값이 교과서에 제시된 값과 다른 원인을 교과서 내용의 잘못이나 실험 자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학교에서 온도계 보정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화학을 전공한 교사들이 비화학 전공교사들보다 온도계 보정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았다.

초등학교 교사의 등호 개념에 관한 지식분석 사례 연구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of Concept of Equality)

  • 정호정;최창우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1-236
    • /
    • 2014
  •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등호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등호 개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을 내용 지식과 교수 지식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소재하는 P초등학교에서 저, 중, 고학년을 담당하는 교사 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등호에 대한 교사 지식 분석을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여 반구조화 된 면담, 수업관찰, 비디오촬영 등을 통해 각 교사의 지식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등호 개념 지도 시 필요한 교사 지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