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conceptions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2초

대기압 개념학습을 위한 컴퓨터 보조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a CAI Program on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Effects of the CAI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Conceptual Change)

  • 국동식;최동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9-95
    • /
    • 2001
  • 이 논문의 목적은 대기압개념에 대한 오개념을 기초하여 컴퓨터 보조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과학과정에 적용하고 그 개념개선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기압에 대한 오개념을 확인하였고 2) 분석된 오개념을 고려한 CAI프로그램을 개발였으며 3) 학습에 적용한 결과 CAI를 적용한 학습이 전통적 학습보다 성취도와 오개념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 PDF

PISA 검사 결과에서 드러난 만15세 한국 학생들의 온실효과에 대한 대안적 개념 (Korean Fifteen-Year-Olds' Alternative Conceptions on the Greenhouse Effect Revealed in PISA Test Result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68-67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PISA 검사결과를 토대로 온실효과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만 15세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전형적인 학생개념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온실효과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학생들의 대안적인 개념에 비추어 볼 때, 현재 우리나라의 만15세 학생들의 온실효과에 대한 이해 수준을 온실효과의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온실 효과를 초래한 원인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산화탄소 이외에 지구의 온도 상승에 기여하는 요인들 우리나라 학생들은 프레온 가스, 매연, 수증기, 메탄 등을 지적하였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온실효과와 오존층 파괴가 인과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과 교수 학습에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아동의 발열관리: 현황 및 과학적 근거 (Childhood Fever Management: Current Practice vs Evidence)

  • 김진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26-13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review were to address misconceptions of childhood fever and fever management practice among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and to identify the scientific evidences against such misconceptions and practices. Methods: Journal databases and clinical guidelines from 2000 to 2015 were searched. The search terms were fever, fever management, misconception, myth, fiction, fact, fever phobia, child, antipyretics, tepid bath, alternating use/combined use of antipyretics, and physical cooling method. Results: There are significant gaps between current concepts and practices, and the scientific evidence. Misconceptions and unrealistic concerns about childhood fever still exist among parents and even health care providers, worldwide. The evidences suggest that antipyretics should be given carefully with the aim of relieving discomfort or pain rather than decreasing the temperature itself. Alternating use of antipyretics should be discouraged due to the risk of confusion and error. Antipyretics do not prevent febrile convulsions. Moreover, the scientific evidence does not support tepid sponge massage. Conclusion: Evidence-based childhood fever management interventions should be targeted toward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By adopting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nursing interventions, pediatric nurses can ensure children receive appropriate and safe fever management.

밀도개념과 밀도개념에 관련된 INRC 군 변환 능력의 형성에 미치는 순환학습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cycle approach to the construction of the concept of density and development of transformation ability of INRC group related to the concept of density)

  • 최병순;김충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1-42
    • /
    • 199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degree of formation of the concept of density for the junior high students. The changing pattern of concept in acquiring the concept of density and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INRC transformation ability related to the concept of density were also analyzed according to cognitive level and teach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effective than control group i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density. 2) Even though students had been taught the concept of density, the various types of preconception were remained and persisted. Especially, the students at concrete level had persisted misconceptions and these misconceptions had been changed to the other misconceptions. 3) In the degree of the formation of the transformation ability of INRC group related to the concept of density in solid phase, the experimental group developed much better on both the abilities of Reciprocal transformation, Correlative transformation and the abilities to manipulate two variables such as volume and mass than control group.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GALT score and achivement of the concept of density was 0.67.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chivement of the concept of density and the formation the transformation of INRC group related to the concept of density was 0.78.

  • PDF

수학영재교육 대상자의 수학용어에 대한 오개념 실태 조사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thematical Misconceptions Held by the Gifted Education Learners)

  • 남승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9-198
    • /
    • 2011
  • 수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 중의 하나인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그 기저가 되는 수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들이 갖고 있는 수학 용어에 대한 오개념의 실태 및 형성 배경을 추정해 봄으로써 수학 오개념 예방 및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지도에서 고려해야 할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측면에서 오개념의 의미 및 형성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오개념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생을 대상으로 수와 도형 영역의 수학 개념을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으로 올바르게 진술한 학생은 35% 정도이며, 개념형성 수준을 4수준으로 나눌 경우 관점에 따라 예(例)와 비례(非例)의 구별할 수 있는 2수준과 개념의 공통적 속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표현으로 기술할 수 있는 3수준인 학생이 대부분이다. 그 배경을 추정해 보면 제한된 범례 제시, 잘못된 선개념, 개념 정의와 개념 이미지 사이의 불균형 등에서 찾을 수 있겠다. 이러한 추정을 바탕으로 수학적 용어에 대한 오개념을 해소 방안을 개괄적으로 정리하였다.

  • PDF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에 기술된 볼타 전지의 오개념을 줄이기 위한 실험 장치 개발 (Modification of the Experimental Setup to reduce Misconceptions for the Voltaic Cell described in High School Chemistry Textbooks)

  • 장낙한;이경옥;이진승;서정쌍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9-86
    • /
    • 2003
  • 볼타 전지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과 고등학교 화학 2 교과서에서 기술된 내용을 연구, 분석하였다. 볼타 전지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오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몇몇 화학교과서의 경우 내용이 잘못 기술되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밝혔다. 대부분의 교과서에는 볼타 전지의 초기 측정 전압이 왜 1.1V와 유사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없다. 표준상태에서 볼타 전지의 기전력은 0.76V 이지만 어떤 교과서에는 다니엘 전지처럼 1.1V로 기술되어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볼타 전지를 배우거나 실험을 한 후에도 여전히 오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적어도 다음 두 가지 요인에서 기인된다고 여겨진다. 첫째, 볼타 전지의 초기 측정 전위값이 다니엘 전지의 전위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혼동하여 오개념을 가진다. 둘째, 대부분 교과서의 볼타 전지 실험은 표준 상태가 아닌 조건에서 수행되도록 기술되어 있으므로 학생들이 실험을 하더라도 표준 상태 기전력값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오개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학생들의 오개념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볼타 전지의 실험 모형을 제안하였다.

고등학생(高等學生)들의 유전(遺傳)과 진화(進化)에 대(對)한 오개념(誤槪念) (High School Students's Misconceptions on Genetics and Evolution)

  • 정완호;차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0-183
    • /
    • 1994
  •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r high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on genetics and evolution, a free-answer form of questionnaire, specially designed through analysis of high school biology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sent to one hundred and eight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Their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Mai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ome students misunderstood that aquired chracters are inherited. 2. Several students weren't instructed clearly about gene. For example, they responsed that genes are not material, composed of proteins, exist only in reproductive cells and are not in plant cells at all. 3. Some students confused chromosome with chlorophyll, dorminant (in dorminant character) with excellent. They are caused by similar spells in Korean letter 4. Half students misconceptualized that organisms evolve just when their environment changes for the worse. 5. Many students believed orthogene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