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or crop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3초

Changes in Growth and Quality of Melon (Cucumis melo L.) and in Soil Nitrogen Forms due to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 Park, Yang Ho;Seo, Beom Seo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009-101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s on soil properties and growth and quality of melon. Organic fertilizer was applied in soil at the rate of 0, 0.5, 1, 2N according to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guideline in Korea. The fertilizer had no effects on plant growth-rate parameters, including plant height, leaf number, and leaf size. There were minor effects on the fruit quality parameters such as fruit weight, fruit length, fruit width, placenta and seed weights, sugar content, and starch content. Ascorbic acid level was decreased as fertilizer level was increased. The level of nitrate in groundwater increased with increased levels of N.

Biocontrol Activity of Pseudomonas cepacia AF2001 and Anthelmintic Activity of Its Novel Metabolite, Cepacidine A

  • Lee, Chul-Hoon;Kempf, Hans-Joachim;Lim, Yoong-Ho;Cho, Youl-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568-571
    • /
    • 2000
  • Cepacidine A was previously isolated as a novel antifungal antibiotic from the culture broth of Pseudomonas cepacia AF2001. It exhibits a potent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ic fungi, such as Plasmopora veticola on grapes, Septoria nodorum and Fusarium culmorum on wheat, as well as Colletotrichum lagenarium on cucumber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tential crop protection activity of strain P. cepacia AF2001. The strain was tested in semi-greenhouse biocontrol assays, and showed an excellent biological activity against Pythium ultimum in cotton and cucumbers; however, only a minor activity against Rhizoctonia aolani in cotton was observed. Furthermore, the nematodes Haemonchus contortus and Trichostrongylus only exhibited a moderated activity in the in vitro larval development assay with no activity in the in vivo animal model.

  • PDF

소면적 재배작물 구기자밭에 발생하는 잡초현황 (Occurrence of Weed Flora in Lycium chinense Upland Field of Minor Crop in Korea)

  • 이인용;김창석;이정란;서현아;권봉재;장형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60-64
    • /
    • 2016
  • 충남 청양, 전남 진도를 중심으로 구기자밭에 발생하는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 5월과 6월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기자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0과 91초종으로 국화과 26종, 화본과 13종, 비름과 5종, 현삼과, 십자화과, 마디풀과, 두과는 각각 4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36종, 월년생 28종, 다년생 27종이었다. 우점잡초로는 쇠비름, 바랭이, 별꽃, 괭이밥, 깨풀, 흰명아주, 참방동사니, 냉이, 망초, 돌피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27종으로 29.7%를 점유하고 있으며, 흰명아주, 망초, 큰망초, 개쑥갓, 개비름, 큰방가지똥, 유럽점나도나물, 소리쟁이, 미국가막사리, 붉은서나물 순으로 우점도가 높았다.

산삼 부정배양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증진과 성분 변환 (Enhancement and Conversion of Ginsenoside Contents in Cultured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

  • 김철중;최재후;오영선;성은수;임정대;유창연;이재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445-454
    • /
    • 2020
  • Background: Culturing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 using plant factory technology provides genetic safety and high productivity. This production technology is drawing attention in the fields of functional raw materials and product development. The cultivation method using elicitors is key technology for controlling biomass and increasing secondary metabolites. Methods and Results: Elicitor treatments using methyl jasmonate, pyruvic acid, squalene, β-sistosterol were performed to amplify total ginsenosides (Rb1, Rc, Rb2, Rb3, and Rd) of cultured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 Thereafter, fermentation and steaming processes were performed to convert total ginsenosides into minor molecular ginsenosides (Rg3, Rk1, and Rg5). The result indicated that methyl jasmonate minimizes the reduction in fresh weight of cultured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 and maximizes total ginsenosides (sum of Rb1, Rc, Rb2, Rb3, and Rd). Ginsenoside conversion results showed a maximum degree of conversion of 131 mg/g.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the optimal elicitor treatment method increased the content of total ginsenosides, while the steaming and fermentation processing method increased the content of minor ginsenosides.

모유 중 지방산 조성 및 구조 분석 (Compositions of fatty acids and structural identification in human breast milk)

  • 유지우;금영수;강남미
    • 분석과학
    • /
    • 제35권6호
    • /
    • pp.229-236
    • /
    • 2022
  • 모유의 지질대사체에 대한 연구는 축산유래 유제품의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지용성 대사체 연구의 선행연구로서, 모유중 극성 및 비극성 지질 중의 주요 지방산 조성에 대한 세부적 정량법 및 구조동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인지질을 포함한 극성 지질과 비극성 지질의 분리를 위하여 silica gel을 활용한 정제법을 개발하였으며, 효과적인 methyl ester 및 pyridylcarbinol ester 유도체화 방법을 적용하여 개별 분획의 세부적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16 종의 필수지방산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함께 29 종의 미량 지방산이 확인되어, 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쇄 지방산의 경우, 15-18 개의 탄소를 보유한 iso 및 anteiso 지방산이 주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삼, 사삼 및 도라지의 전기영동에 의한 단백질 패턴과 분자량 (Molecular Weight Estimation and Protein Patterns of Panax ginseng,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 안상득;정찬문;권우생;손응룡;이용세;윤경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2-358
    • /
    • 1985
  • 건조분말상태의 인삼 및 유사 숙근성 식물간의 구별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단백질 추출과 분리방법을 달리하여 전기영동법에 의해 각 식물의 단백질 pattern 및 분자량을 추정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백질분리는 증류수와 phosphate buffer로 추출하였을 때 가장 잘 되었으며 비교하기가 용이하였다. 2. 단백질추출방법에 따라 각 식물의 minor band는 약관의 차이가 있었으나 major band는 차이가 없었다. 3. 각 식물을 구별할 수 있는 band는 인삼이 45,000 및 66,000 Kd이며 사삼은 32,000∼39,000kd이고 도라지는 39,000Kd에서 double band가 특징적인 band로서 각 식물을 구별할 수 있는 단백질이었다.

  • PDF

소면적 재배작물인 당귀밭에 발생하는 잡초현황과 잡초에 의한 피해 (Occurrence of Weed Flora and Their Yield Loss in Angelica gigas Upland Fields of Minor Crop in Korea)

  • 이인용;김창석;이정란;서영진;김종수;서현아;장형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65-70
    • /
    • 2016
  • 충북 제천, 경북 봉화를 중심으로 당귀밭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당귀밭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 5월과 6월에 실시하였다. 당귀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7과 105초종으로 국화과 20종, 화본과 9종, 두과, 마디풀과, 사초과 각각 6종, 꿀풀과, 메꽃과 각각 5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53종, 월년생 24종, 다년생 28종이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쇠비름, 흰명아주, 참방동사니, 망초, 털별꽃아재비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27종으로 25.7%를 점유하고 있으며, 흰명아주, 망초, 털별꽃아재비, 개비름, 서양민들레, 개망초 순으로 우점도가 높았다. 잡초에 의해 당귀 수량은 49.6% 감소되었다.

콩 품종의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Protein and Content Amino Add Composition of Soybean Cultivars)

  • 홍은희;김석동;김용호;정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03-412
    • /
    • 1990
  • 단백질 및 지방질의 주요한 공급원인 콩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용도로 우리의 식생활에 이용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안정적인 단백질 공급원을 위해서는 양질 고단백 콩 신품종 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콩 단백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내용들을 정리한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1. 콩 종실 부위중 배아와 자엽은 전체 콩 종실무게의 2.4%와 90.3%를 차지하며 단백질도 건물중으로 40%이상 함유되어 있는 영양적으로 중요한 부분이 된다. 2. 콩 종실 단백질의 대부분은 Globulin이 차지한다. 3. 콩 종실 단백질의 Amino산 조성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의 순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Cystine, Methionine, Thyrosine이 적게 함유되어 있다. 4. 콩 종실의 주요 단백질 분획은 7S와 11S로 되어 있으며 11S가 7S보다 함류황 Amino산 함유량이 많다. 5. 콩의 가용성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두부의 수율도 증가했으며 이들의 상관계수는 0.96을 보였다.

  • PDF

Quantum Dot LED를 이용한 상추 주요 병원성 곰팡이 및 세균의 생장억제효과 기내실험 (In Vitro Quantum Dot LED to Inhibit the Growth of Major Pathogenic Fungi and Bacteria in Lettuce)

  • 이현구;김상우;마헤시 아드히카리;순 쿠말 구룽;세투 바지에;산 꼬설;권병헌;주한준;고영욱;김용득;유용환;박태희;신정철;김민하;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25권3호
    • /
    • pp.114-123
    • /
    • 2019
  • Quantum Dot LED (QD LED) 조명은 소형의 크기, 좁은 대역파장, 긴 수명, 전자 시스템을 통한 제어가 용이하여 현재 시설재배에 이용되는 형광등, 할로겐램프, HID, HSP 램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작물생육에 이상적인 광원으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QD LED 조명을 이용하여 식물 병원성 미생물의 방제가 가능하다면 작물재배에 사용되는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하고 화학적 방제제를 사용하지 않은 안전성 높은 생산물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공장 및 온실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상추에 큰 피해를 입히는 주요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QD LED 조명의 영향과 생장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상추에 주로 발생하여 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Rhizoctonia solani, Phytophthora drechsleri, Sclerotinia sclerotiorum, Sclerotinia minor, Botrytis cinerea, Fusarium oxysporum, Pectobacterium carotovorum, Xanthomonas campestris균을대상으로 QD LED 조명에 의한 균사생장억제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처리한 6종류의 조명 중 BLUE (450 nm) 조명은 Sclerotinia sclerotiorum는 50 cm 거리에서 16.7%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30 cm 거리에서 94.1%의 균사생장억제율을 보였다. S. minor는 50 cm 거리에서 80.4%, B. cinerea는 50 cm 거리에서 36.3%의 균사생장이 억제되었으며 30 cm 거리에서 S. minor와 B. cinerea는 100%의 균사생장억제율을 보였다. 15 cm 거리에서는 3종의 병원균 모두 100%의 억제율을 보였다. QD RED (M1), QD RED (M2)조명은 30 cm와 15 cm 거리에서 Sclerotinia minor와 Botrytis cinerea의 균사생장을 100% 억제했으며 Sclerotinia sclerotiorum의 경우 30 cm 거리에서 QD RED (M1)과 QD RED (M2)조명에 대해 각각 75.2%, 100%의 억제율을 보였으나 15 cm 거리에서는 각각 5.8%, 36.3%의 억제율을 보였다. 상추에 병원균을 접종하여 LED 광원 하에 생장을 확인한 결과 QD RED (M2)광원에서 S. sclerotiorum의 감염을 59.9% 억제하였고 S. minor는 BLUE (450 nm), QD RED (M1), QD RED (M2) 광원에서 59.9%의 억제율을 보였다. B. cinerea의 경우 BLUE (450 nm) 광원에서 84%의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