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um Variance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28초

자동보정 기능을 가진 Quadrature 수신기의 BER 해석 (BER Analysis of a Quadrature Receiver with an Autocalibration Function)

  • 권순만;이종무;천종민;박민국;김종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57-459
    • /
    • 2005
  • In this paper the BER consideration of a quadrature receiver that has an autocalibration method is considered.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derivation of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imbalances in gain and phase between in-phase and quadrature components that may cause sever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receiver. The density. mean and variance functions of the estimates of gain and phase imbalances are discussed. Then it is shown that the estimates are asymptotically minimum variance unbiased with respect to the integration time in sampling. A brief consideration on the BER calculation follows.

  • PDF

수문자료 확충을 위한 다중상관계수의 한계최소치 유도 (Derivation of the Critical Minimum Values of the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Augmenting Hydrologic Samples)

  • 허준행
    • 물과 미래
    • /
    • 제27권1호
    • /
    • pp.133-140
    • /
    • 1994
  • 주변 관측지점의 자료가 유용한 경우 관측자료가 짧은 지점의 평균과 분산 추정치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이용한 수문자료 확충을 이용하여왔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지점의 분산 추정치를 개선하기 위한 다중 상관계수의 한계최소치를 얻기 위하여, 다변량 정규분포에 근거하여 Moran이 유도한 확충자료 분산( ${{\sigma}_v}^2$ )의 불편 최우도추정량의 분산식을 Matalas와 Jacobs가 2변량 정규분포에 근거하여 유도한 식의 형태로 변형하였으며, 다양한 자료수와 지점수에 따라 다중상관계수의 한계최소치를 도표화했다.

  • PDF

Estimation of Smoothing Constant of Minimum Variance and Its Application to Shipping Data with Trend Removal Method

  • Takeyasu, Kazuhiro;Nagata, Keiko;Higuchi, Yuki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8권4호
    • /
    • pp.257-263
    • /
    • 2009
  • Focusing on the idea that the equation of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ESM) is equivalent to (1, 1) order ARMA model equation, new method of estimation of smoothing constant in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is proposed before by us which satisfies minimum variance of forecasting error. Theoretical solution was derived in a simple way. Mere application of ESM does not make good forecasting accuracy for the time series which has non-linear trend and/or trend by month. A new method to cope with this issue is required. In this paper, combining the trend removal method with this method, we aim to improve forecasting accuracy. An approach to this method is executed in the following method. Trend removal by a linear function is applied to the original shipping data of consumer goods. The combination of linear and non-linear function is also introduced in trend removal. For the comparison, monthly trend is removed after that. Theoretical solution of smoothing constant of ESM is calculated for both of the monthly trend removing data and the non monthly trend removing data. Then forecasting is executed on these data. The new method shows that it is useful especially for the time series that has stable characteristics and has rather strong seasonal trend and also the case that has non-linear trend.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should be examined in various cases.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판 구조물 CT 영상화 기법 (Investigation of CT Imaging Technique Using Guided Wave)

  • 윤현우;강토;김학준;송성진;신호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18
    • /
    • 2011
  • 유도초음파는 구조물의 장거리 탐상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탐촉자의 중심주파수와 판의 두께에 따라 유도 초음파의 군속도가 바뀌는 어려움으로 인하여 최근에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판과 같은 구조물 진단에 토모그래피 영상화기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기존에 개발된 영상화 기법으로는 Delay and Sum영상화 기법이 있으며, 수 년간 판 구조물 영상화 기법의 알고리즘으로 이용되었다. MVDR(Minimum Variance Distortionless Response) 영상화 기법은 초음파의 산란특성을 고려한 영상화 기법으로써, 빔의 특성이 영상화 알고리즘에 적용되어 Delay and Sum 영상화 기법보다 향상된 영상을 판구조물에 존재하는 홀 결함 영상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최소분산제어론을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Speed Control of Induction Motor using Minimum Variance Control Theory)

  • 오원석;신태현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10권5호
    • /
    • pp.83-93
    • /
    • 1996
  • 본 연구는 부하변동이 갖은 유도 전송기 속도제어 시스템에 적합한 최소분산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구현을 실제적인 파라미터 추정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고속 연산 신호처리요 프로세인 TMS 320C25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한다. 적응칙은 선택적 망각인자를 갖는 순환형 최소자승법이 실제적 구현의 관점에서 언급되며, 일반적인 망각인자 알고리즘과 비교분석한다. 제어칙은 최소분산 제어 알고리즘으로 한다. 제어시스템은 알고리즘의 적용이 용이하도록 PC에 기초한 DSP제어 시스템으로 설계 제작한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의 초소분산제어 시스템이 부하변동에 강인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유도전동기 제어에 실제적 구현이 가능함을 입증한다.

  • PDF

통합 측도를 사용한 주성분해석 부공간에서의 k-평균 군집화 방법 (K-Means Clustering in the PCA Subspace using an Unified Measure)

  • 류재흥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703-708
    • /
    • 2022
  • k-평균 군집화는 대표적인 클러스터링 기법이다. 하지만 성능 평가 척도와 최소 개수의 군집을 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통합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치적으로 최소 개수의 군집을 정하는 방법을 도입한다. 설명된 분산을 통합측도로 제시한다. 최소 개수의 군집과 설명된 분산 달성을 동시에 만족하려면 주성분 해석의 부공간에서 k-평균 군집화 방법을 수행해야한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패턴인식과 기계학습에서 왜 주성분 분석과 k-평균 군집화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원론적으로 제시한다.

최소위험 종목과 비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종목들 분산투자 포트폴리오 최적화 (Portfolio Optimization of Diversified Investments with Minimum Risk Asset and Non-Positive Correlation Assets)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3-110
    • /
    • 2022
  • 본 논문은 단일 종목에 투자금을 전액 투자하는 것에 비해 다수의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것이 투자 위험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는 포트폴리오 최적화 문제를 다룬다. 널리 알려진 Markowitz의 수익률에 대한 평균-분산 기법(MV)은 위험요인인 분산(또는 표준편차)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배원리를 적용하여 효율적 투자선에 있는 종목들을 대상으로 분산투자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다. 반면에, 본 논문에서는 최소표준편차를 가진 종목을 필수 투자종목으로 선정하고, 필수 투자종목과 비양(음의, 무)의 상관관계를 갖는 종목들을 대상으로 포트폴리오를 형성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실험한 결과 MV에 비해 보다 적은 위험(표준편차)을 보였다.

A Signal Detection of Minimum Variance Algorithm on Linear Constraints

  • Kwan Hyeong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3호
    • /
    • pp.8-13
    • /
    • 2023
  • We propose a method for removing interference and noise to estimate target information. In wireless channels, information signals are subject to interference and noise, making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estimate the desired signal. To estimate the desired information signal, it is essential to remove the noise and interference from the received signal, extracting only the desired signal. If the received signal noise and interference are not removed, the estimated information signal will have a large error in distance and direction, and the exact location of the target cannot be estimated. This study aims to accurately estimate the desired target in space. The objective is to achieve more presice target estimation than existing methods and enhance target resolution.An estimation method is propo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arget estimation. The proposed target estimation method obtains optimal weights using linear constraints and the minimum variance method. Through simula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and the existing method is analyzed. The proposed method successfully estimated all four targets, while the existing method only estimated two target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resolutiopn and superior estimation capability than the existing method.

적응제어를 이용한 유압 액츄에이터의 특성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Improvement of Fluid Power Actuator Using Adaptive Control)

  • 염만오;윤일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4-132
    • /
    • 2004
  • A hydraulic system is difficult to keep the performance due to non-linearity, load pressure which changes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 and system parameter variation, the requirement of control algorithm has been risen in order to satisfy them. An adaptive control is a control method which is suggested to achieve a control object though plant characteristics change. In spite of the case that plant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variation are difficult to grasp, adaptive control can keep the characteristics of closed-loop system regularly. In this study GMVAC(generalized minimum variance adaptive control) combined with output error feedback is proposed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non-minimum phase, vibration and overshoot in initial response of the plant. The contro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is evaluated by changing the supply pressure only.

최소총계적계수 감도를 갖는 상태공간 디지틀 필터의 합성 (Synthesis of the State-space Digital Filter with Minimum Statistical Cofficient Sensitivity)

  • 문용선;박종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510-520
    • /
    • 1988
  • 無限誤長 상태 공간 디지틀 필터를 有限誤長 상태 공간 디지틀 필터로 실현할 때 量子化 誤差인 상태 공간 계수〔ABCD〕의 미소 변동에 기인한, 출력 오차 分散을 $\Delta$〔ABCD〕의 分散으로 正規化하였다. 즉, S=E을 統計的 感度로 정의하고 시스템 구조적 성질을 나타내는 可制御性 Gramian, 그리고 2차 모드 해석 방법을 상태 공간 디지틀 필터에 확장해서 最小 統計的 感度를 갖는 실현 구조를 합성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최소 구조 합성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