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eral composition

검색결과 1,456건 처리시간 0.031초

골재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부 석분의 평가와 그 활용 연구 동향 (Evaluation of Some Stone Dust and Sludge Generated in the Aggregate Production Process and Research Trends for Its Use)

  • 이진영;정영욱;지상우;이동길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5호
    • /
    • pp.605-613
    • /
    • 2021
  • 암석을 파쇄해서 골재를 생산할 때 부산물로서 암분을 위주로 한 고상 석분 혹은 슬러지가 발생한다. 이러한 부산물은 폐기물로 분류되어 활용되지 못하고 대부분 매립 처분되고 있다. 이 부산물은 원석의 종류와 생산 과정에 따라서 광물조성, 화학조성 및 물성 등이 다르다. 따라서 부산물의 물리적 혹은 화학적 특성을 잘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 된다면 폐기 처분 대신 경제적 및 환경적 이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골재 생산업체로부터 석분 슬러지를 수집하여 XRD 광물 분석, 입도분석 그리고 주성분 화학 분석을 수행하여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진행된 고상 석분 및 슬러지의 활용사례를 통해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분야 도출에 기초 자료로 활용토록 하였다.

천장 및 벽구성 방법이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Floor Impact Sound Isolation Performance by Composition of Ceiling and Wall)

  • 김경우;강재식;이승언;양관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465-473
    • /
    • 2005
  • The impact sounds, generated by the walking of people, the dropping of an object or the moving of furniture, can be a source of great annoyance in residential buildings.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this impact noise depends on the object striking the floor,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floor, and on the finish materials of floor.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improvement impact sound pressure level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mposition method of ceiling and wall. For this purpose, we tested impact sound pressure level of several cases which is the inserting of mineral wool, the increase of the thickness of air layer, the using of anti-vibration rubber in ceiling and attach the mineral wool on wall in the Floor Impact Sound Test Building of KICT. The results show that the composition method of ceiling and wall is more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light weight impact sound specially in 125Hz and 250Hz.

Phellinus linteus, Phellinus baumii 및 Phellinus gilvus의 형태, 일반성분, 원소분석 및 무기성분 함량의 비교 (Comparison on the Morphology, General Composition, Elemental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of Phellinus linteus, Phellinus baumii and Phellinus gilvus)

  • 배재성;장광호;이만휘;정규식;조우식;최성국;김영환;박승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23-428
    • /
    • 2003
  • 진흙버섯 품종별 P. linteus, P. baumii 그리고 P. gilvus에 대한 형태학적 차이,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을 조사하였다.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P. gilvus와 P. linteus는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원소 함량의 구성비에서는 세 종류의 버섯이 모두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일반성분을 분석 비교시 수분의 함량은 P. baumii가 가장 높았으며 P. gilvus의 수분 함량은 10% 이내로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식이섬유는 약 30% 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나 vitamin C 및 단백질의 함량은 높지 않았다. 원소분석에서 Ca의 경우 세 종류의 진흙버섯에서 P. baumi가 가장 높은 Ca 함량을 보여주었으나 통계적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원소조성 및 일반성분 비교에서는 P. linteus, P. baumii 그리고 P. gilvus의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강원도 오십천 수계에서 발생하는 적갈색침전물의 중금속 오염, 광물조성 및 분광학적 특성 (Heavy Metal Contamination, Mineral Composition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Reddish Brown Precipitation Occurring at Osip Stream Drainage, Gangwon-do)

  • 임정화;유재형;배성지;고상모;박계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5-86
    • /
    • 2018
  • 본 연구는 강원도 도계광업소 수계에 발생한 적갈색침전물을 대상으로 침전환경을 파악하고, 중금속함량, 광물조성 및 그에 따른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적갈색침전물의 pH 범위는 7.59-7.94로 침전환경은 중성에 해당한다. X선형광분석 결과 철이 평균농도보다 높게 검출되었으며, 니켈, 구리 및 아연의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판명된다. X선회절분석 결과 돌로마이트, 방해석, 침철석, 자철석, 고령토, 엽납석, 석영 및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의 광물이 확인되었다. 중금속 오염에 따른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중금속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반사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적외선 영역에서는 반사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적갈색침전물의 분광특성은 침철석, 자철석, 고령토, 엽납석 및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폐석탄광 하류 밭토양 및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과 광물조성에 따른 분광학적 특성 (Spectr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Heavy Metal Concentration and Mineral Composition in Cropland and Rice Field Soils from Downstream of an Abandoned Coal Mine)

  • 서지희;유재형;고상모;이범한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6호
    • /
    • pp.743-753
    • /
    • 2020
  • 본 연구는 폐석탄광산인 옥동탄광 하류에 위치한 밭토양과 논토양을 대상으로 중금속함량, 광물조성, 분광특성을 고찰하였다. X선 형광분석 결과 밭토양과 논토양 모두 비소가 토양환경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으며 밭토양이 논토양보다 중금속오염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X선 회절분석 결과 밭토양과 논토양 모두에서 석영, 방해석, 고령토, 일라이트, 스멕타이트, 자철석 그리고 적철석 광물이 검출되었다. 또한 유기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밭토양의 유기물 함량 변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광분석 결과 밭토양과 논토양의 전체적인 반사도 곡선의 양상과 흡광특성은 유사하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490nm 부근과 900nm 부근에서 토양 내 산화철에 의해, 1410nm, 1910nm 부근과 2200nm 부근에서 점토광물인 고령토와 스멕타이트군에 의한 흡광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유기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반사도가 감소하였다. 흡광 깊이는 밭토양과 논토양 모두 흡광특성이 발현되는 곳에서 오염 지수가 높아짐에 따라 흡광깊이는 얕아졌으며, 유기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490nm 부근과 1916nm 부근의 흡광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he Habitat Influences the Composition of Minerals and Amino Acids in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Wild Garlic)

  • Yang, Jae-Kyung;Kim, Ji-Su;Jung, Ji-Young;Jeong, Mi-Jin;Song, Hyun-Jin;Yun, Chung-Weon;Do, Eun-Su;Chang, Jun-Pok;Karigar, Chandrakant S.;Choi, Myung-Suk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62-769
    • /
    • 2010
  • The composition of minerals and amino acids in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tissues collected from different habitats in Ulleung Island and Mt. Hambeak of the Korean Peninsula is investigated. The mineral composition of A. victorialis stem was high compared to that of bulb in all population samples. The most abundant mineral found in all the samples was potassium (K). The mineral composition was variable in garlic population of Ulleung Island in a habitat dependent manner. The A. victorialis stems and bulb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mino acid compositions according to varying habitats of Ulleung Island and Mt. Hambeak. Among the amino acid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in A. victorialis bulb tissue was arginine, followed by leucine and valine. The amino acids leucine, valine, and phenylalanine were abundant in stem tissues. The total amino acids of the A. victorialis stem tissue from Teawha pass peak sample (837 mg/100 g dry wt) were higher than the mean of other population samples (355-824 mg/100 g dry wt). However, content of amino acids in the bulb was high in A. victorialis from Nari basin (1,919 mg/100 g dry wt).

여대생의 신체조성과 골밀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llege Women)

  • 김명희;김주성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12-320
    • /
    • 2003
  • Purpose: To investigate body compositons and bone mineral density(BMD) in college women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Method: From January to March of 2001, BMD at four parts(forearm, lumbar, femur and whole body), body mass index(BMI), body fat mass(BFM), lean body mass(LBM) and body fat percentage(%Fat) were measured with the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with a scale, a height measurer, and questionnaires. Result: Grouping by the BMI, 43.2% showed low weight, and 5% over weight. When applying the percent Fat, 43.8 % was diagnosed as obesity group. The fact indicate that a majority of college women have unbalanced body composition with high percent Fat, compared to their body weight. Assessing the BMD with the WHO standards, 91.4~95.7% of the BMD of forearm and whole body was normal. But, 40.3% and 33.1~43.9% showed osteopenia at lumbar and femur, and 104 %, 0.7~7.2% showed osteoporosis. The BMD at all par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each other(r=.29~.89, p=.001~.000). Body weight and BMI showed correlations to with BMDs at all parts of the body(r=.19~46, p=.025~.000; r=18~.45, p=.039~.000). But the percent Fat had a correlation with only femur neck BMD(r=.19, p=.024).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a majority of healthy college women were exposed to the risk for osteoporosis. Additional study is requir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remove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particular, the acquisition of balanced body composition is necessary, increasing body weight and BMI through the increase of LBM, not through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BFM.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고정화를 위한 다상 고화체 합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ase Waste Form to Immobilize High Level Radioactive Wastes)

  • 채수천;장영남;배인국;류경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2호
    • /
    • pp.173-180
    • /
    • 2006
  • 석류석과 스피넬의 혼합성분$(Gd_3Fe_5O_{12}+(Ni_xMn_{1-x})(Fe_yCr_{1-y})_2O_4)$으로부터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고정화를 위한 다상 고화체를 $1200{\sim}1400^{\circ}C$에서 합성하였다. 이들 화학조성에서는 석류석, 페롭스카이트 및 스피넬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석류석은 Fe의 함량이 가장 높았던 조성에서만 관찰되는 특성을 보임으로써 Fe의 함량이 석류석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지시하고 있다. 석류석의 성분은 Gd와 Fe가 각각 초과 및 결핍된 양상을 보였다. 이같은 석류석의 비화학 양론적인 조성은 상들과 원소간의 선호적 배분관계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암석의 풍화과정 및 도자기 제조과정에 따른 희토류원소 분포도의 변화: 토양화학 및 고고학적 응용을 위한 기초연구 (Variation of Rare Earth Element Patterns during Rock Weathering and Ceramic Processes: A Preliminary Study for Application in Soil Chemistry and Archaeology)

  • 이승구;김건한;김진관
    • 암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3-143
    • /
    • 2008
  • 지표지질의 지구화학적 변화 추적과 고고학 유물의 원료(점토질 토양)의 기원지를 밝혀내기 위한 도구로서의 희토류원소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용 지질시료로는 화강암과 편마암 그리고 이들로부터의 화학적 풍화과정을 거친 풍화암과 풍화토양을 선택하여 이들의 화학조성변화를 비교하였고, 고고학적 응용을 위한 시료로는 점토질 토양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토기 및 도기를 채취하여 이들의 화학조성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인 화학조성간의 상대적인 비교로는 암석-풍화암-토양 혹은 점토질 토양-토기-도기로의 변화에 따른 지구화학적 특성변화의 상관성이 없는 반면에 PAAS(Post Archean Australian Shale)로 규격화한 희토류원소 분포도는 거의 동일한 양상을 띄었다. 이는 희토류원소의 분포도가 다른 지구화학적 연구기법에 기법에 비해 퇴적물의 기원물질 혹은 고고학적 유물의 재료를 밝혀내는데 더 유용함을 지시해준다고 볼 수 있다.

사과와 꽃사과의 구성 아미노산, 무기질 조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mino Acid, Miner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and Crab Apple)

  • 이경행;유광원;배윤정;주가영;김채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53-358
    • /
    • 2022
  •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crab apple,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amino acids and minerals with 'Fuji' apple were measured. Apple and crab apple were extracted with water, 70% and 100% ethanol,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polyphenols, flavonoids, and ascorbic aci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extracts were measured.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apples comprised a total of 17 amino acid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apple and crab apple were 2,050.45 mg/kg and 900.05 mg/kg, respectively. For minerals, the total mineral content of apple and crab apple were 489.14 mg%, 529.77 mg%,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polyphenols, flavonoids, and ascorbic acid of apple and crab apple extracts were highest in 70% ethanol extracts. The content of polyphenols, the crab apple extract, showed a generally higher content than the apple extract. The content of flavonoids, apple and crab apple extracts revealed no difference between extracts.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apple extract showed a generally higher content than the crab apple extrac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tracts. In the case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70%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crab apple showed higher activity than apple ex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