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d Practice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3초

단전주선(丹田住禪)에 나타난 심신수행론 (Study on the Theory of Mind and Body Practice in Dan-Jeon-Ju-Seon)

  • 김수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8권4호
    • /
    • pp.177-198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y of mind and body practice in Dan-Jeon-Ju-Seon from the point of views of Taoism, Buddhism, and Oriental medicine. Methods : An ideolog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Dan-Jeon-Ju-Seon was first examined. Then, the definition of, other descriptions of, and various locations of, Dan-Jeon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theory of Qi movement of Shui Sheng Huo Jiang (ascent of water Chi and descent of fire Chi) in Dan-Jeon-Ju-Seon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from perspectives on the thought of Taoist Nei Dan (internal alchemy) and Oriental medicine.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mind and body practice in Dan-Jeon-Ju-Seon. Results & Conclusions : Dan-Jeon in Dan-Jeon-Ju-Seon consists of three parts, upper, middle, and lower Dan-Jeon, which is related to Jing (sperm, essence) Qi (breath, eneregy) Shen (spirit, intellect) of our body. Jing Qi Shen is a crucial part in our mind and body, mind and body are connected by energy, and the energy flow is possible by ascent of water Chi and descent of fire Chi. Ultimately, Dan-Jeon-Ju-Seon is a method of practice to keep one's mind and body healthy, and its purpose is to do timeless meditation in our daily liv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마음공부 기반의 협동학습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nd Practice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 안관수;백현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399-410
    • /
    • 2011
  • 본 연구는 협동학습의 모형 초기에 팀 구성원의 상호 이해와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마음공부를 이용함으로써 마음공부를 기반으로 하는 협동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서 첫째, 문헌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마음공부 기반의 협동학습 수업모형 초안을 구안하고, 둘째, 이를 수업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서 모형 초안에 대한 강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수정 보완한 후 완성된 형태의 최종모형을 구안하였다. 도출된 모형의 초안을 J시 J대학의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하는 교육과 2학년 학생 총 46명을 대상으로 5주에 걸쳐 현장에 적용하였다. 모형 초안을 적용한 결과 마음공부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과 팀 재구성 단계에 대한 필요성이 도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모형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모형안을 구안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마음공부를 기반으로 하는 협동학습 수업모형은 팀 구성 시 팀원들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뿐 만 아니라, 이를 통한 학습 분위기 쇄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보통신윤리 의식 강화를 위한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ole-Playing Instruction Model based on Mind Practice for Intensify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Ethics)

  • 백현기;유정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81-188
    • /
    • 2012
  • 본 연구는 정보통신윤리 의식 강화를 위한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정보통신윤리 의식을 강화시키고 실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실천의지를 기르고자 하였다. 즉 마음공부 역할놀이 수업모형은 마음 활동의 과정적 요소와 마음교육의 방법적 요소, 역할놀이 활동 단계를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마음공부를 역할놀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첫째, 문헌 및 사레연구를 통하여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 초안을 설계하고, 둘째,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서 모형 초안에 대한 강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모형 초안을 수정 보완한 후 완성된 형태의 모형을 설계하였다. 도출된 모형의 초안을 J시 J대학의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하는 교육학과 2학년 학생 총 36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수업모형의 효과성 검증은 현장에 있는 교사 10명과 5학년 24명, 6학년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적용 결과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재미있는가와 관련한 문항에서 자료의 투입 후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90%이상이었다.

  • PDF

보조 지눌이 제시한 '마음'의 문제 (The Problem of 'the Mind' Suggested by Bojo-Jinul)

  • 김방룡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7-37
    • /
    • 2009
  • 본고는 보조 지눌이 제시한 '마음'의 문제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전제적으로 '마음'의 문제에 대한 지눌의 접근방식, 심성론 그리고 수증론의 세 영역으로 접근하여 설명하였다.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였으며, 다만 '무심(無心)'의 부분을 심성론의 부분에서 설명하고자 한 부분이 기존의 연구자와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간화선과의 배대를 이루기 위하여 발표자가 강조한 것이다. 본 논문의 내용은 '마음'의 문제에 대한 지눌의 접근방식을 주로 수증론에 입각하여 설명하였으며, 그의 사상이 저술의 형성을 통하여 나타났다는 점과 그의 사상체계가 돈오점수와 간화선의 구조로 되어 있음을 밝혔다. 마음의 문제를 철학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은 심성론이다. 따라서 심성론에 있어서 심성의 용례를 살펴보고 이어 돈오점수론의 바탕이 되는 공적영지심과 간화론의 바탕이 되는 무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수증론으로서 돈오점수론과 간화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사상의학의 심신치유기법 - 통합심리학의 ILP(Integral life practice)와 대비하여 - (Mental and physical healing technique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In contrast with the Integral life Practice(ILP) of Integral psychology -)

  • 허훈
    • 철학연구
    • /
    • 제131권
    • /
    • pp.353-381
    • /
    • 2014
  • 사상의학은 비단 의학에서뿐만이 아니라, 경영학이나 정치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상의학이 근본적으로 치심치병(治心治病)을 치료의 근본으로 하는 심신의학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심리나 정신치료에서 활용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실제 임상에서의 치료법은 약물치료나 침구요법(체질침) 정도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질병 병리 현상에 대해 사상의학이 제시하는 치유법은 개인의 성정(性情)의 다스림은 물론이고, 연령 지역에 따른 환경적 요인, 주(酒) 색(色) 재(財) 권(權)과 같은 사회적 문화적 요인을 포괄한다. 특히, 사상의학의 수양론은 인간의 타고난 성정 가운데 그림자처럼 항상 숨어 있고, 비밀스럽게 간직되어 있는 사심(邪心)과 태행(怠行)을 올바르게 인지하여 박통(博通)과 독행(獨行)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또한 의학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면서, 지인정기(知人正己)론을 근본으로 의론(醫論)을 전개하기 때문에 대인관계(對人關係)가 중시되는 현대인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마찬가지로, 세계철학과 통합심리학을 주도하는 윌버(Ken Wilber, 1949~)는 실제적이고 체험적인 통합적 접근을 경험 차원에 적용하는 '통합적 삶을 위한 훈련(ILP)'을 제시하고 있다. ILP는 성장가능한(또는 깨어남이 가능한) 영역 전체의 성장을 위한 실제적인 훈련법(수련법)으로 선례가 없는 것이다. ILP에서는 몸 모듈, 마음(Mind) 모듈, 그림자(Shadow) 모듈, 영(Spirit) 모듈이라는 4가지 핵심 모듈과 윤리, 성(性), 일(Work), 정서(Emotion), 관계성(Relationships) 등의 성장을 지향하는 5가지 보조 모듈을 제시한다. 이에 ILP가 제시하는 핵심 보조 모듈과 다양한 심신치유기법들에 사상의학의 심신 치유법을 대입시켜 본다면 양자(兩者) 간에 보다 발전된 심신치유 접근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정약용(丁若鏞)의 『소학지언(小學枝言)』 · 『심경밀험(心經密驗)』에 관한 연구(硏究) - 윤리적(倫理的) 실천론(實踐論)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f Jeong Yak-yong's Minor Annotation of Elementary Learning and Private Examination of Classic of the Mind)

  • 서근식
    • 한국철학논집
    • /
    • 제23호
    • /
    • pp.217-244
    • /
    • 2008
  • "소학지언(小學枝言)"과 "심경밀험(心經密驗)"을 윤리적(倫理的)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소학지언(小學枝言)"과 "심경밀험(心經密驗)"은 경학(經學)과 경세론(經世論)을 이어주는 가교(架橋)역할을 하는 저술이다. 이 두 저술은 경학(經學)을 통해 연구한 것을 세론(經世論)을 통하여 실천하기 위하여 저술된 것이다. "소학지언(小學枝言)"이 외면(外面)의 수양(修養)을 위한 책이라면, "심경밀험(心經密驗)"은 내면(內面)의 수양(修養)을 위한 책이다. 이 두 저작을 통해 다산(茶山)이 강조하고 있는 '실천'은 선(善)을 향해 끊임없는 노력이다. 이러한 노력은 선(善)을 향한 적극적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윤리적(倫理的) 실천(實踐)'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茶山)은 "소학지언(小學枝言)"과 "심경밀험(心經密驗)"에서 적극적 활동을 통해 선(善)을 실천할 것을 강조한다. 인간에게 있어서 선악(善惡)의 문제는 마음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실천과 관련된 것이다. 즉, '윤리적(倫理的) 실천(實踐)'을 통해 선(善)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산(茶山)에게 있어서 선(善)을 향한 '윤리적(倫理的) 실천(實踐)'은 자신 자신의 수양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관계맺음' 속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다산(茶山)의 이러한 주장은 개인윤리(個人倫理)와 사회윤리(社會倫理)가 밀접하게 연관 속에서 선(善)을 향한 '윤리적(倫理的) 실천(實踐)'이 이루어짐을 강조한 것이다. 또한, 다산(茶山)은 인간의 자유의지(自由意志)를 강조한다. 이것은 인간의 자유의지(自由意志)에 따라 선악(善惡)이 결정됨을 의미하며, 그 책임 역시 인간에게 있음을 의미한다. 다산(茶山)은 자유의지(自由意志)를 지닌 인간이 '윤리적(倫理的) 실천(實踐)'을 통해 '군자(君子)'가 되어야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성명(性命)으로 본 정(精)과 신(神) (Mind and Spirit Seen by Human Nature and Life)

  • 박재원;강정수
    • 혜화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
    • /
    • 2001
  • Human nature, life, mind and spirit have very important meanings for Oriental medical science. This is because understanding human mind and spirit not only makes treatment of people easier and more accessible but also provides us a clue for finding out something we lost. As a consequence of investigating various classic books by ancient medical practitioners and Taoist scholars s as follows: l. Mind and spirit were valued very highly in Oriental medical science, and this can be found in classic books like , , , and . 2. To cure people, acquirement of detailed knowledge of mind and spirit should be preceded. 3. The Taoist school regarded mind, spirit, human nature and life as critical agents of health care and perceived that they were indispensable for going back to The Great Emptiness(Nothingness before the First Cause), the ultimate goal of Taoist learning. 4. Although human nature, life, mind and spirit have different names and different users, it is like theory and practice and we can see that ancient sages used them all in the same context of natural law.

  • PDF

" 격치고(格致藁) . 유략(儒略)"에 관한 고찰(考察) (A Study on ${\ulcorner}$ Gyukchigo(格致藁) . Yuryak(儒略)${\lrcorner}$)

  • 이준희;이수경;이의주;고병희;송일병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4
    • /
    • 2005
  • 1. Objectives This study is purposed to find Lee Je-Ma's thoughts and intention proposed in the ${\ulcorner}$Gyukchigo격치고(格致藁) . 유략(儒略)${\lrcorner}$2. Methods It was researched through comparative and overall study on ${\ulcorner}$Gyukchigo격치고(格致藁) . 유략(儒略)${\lrcorner}$ 3. Results and Conclusions (1) On the assumption of Affairs. Mind. Body' Objects 사심신물(事心身物 ) as the principle of existence and correlation, there are basic dualistic structure such as 'Il(一)' (individual level) and 'Man만(萬)' (universal level) for explanation of ${\ulcorner}$Gyukchigo격치고(格致藁) . 유략(儒略)${\lrcorner}$ (2) Human who easily have individual inclination of mind(private . dissoluteness' idleness' desire) and wickedness (stinginess. extravagance' idleness' fraud) are the being making invidual ethics of behavior by earnestness' intelligence. capability . diligence성혜능동(誠慧能動) and universal ethics by Wisdom' Propriety. Justice. Humanity 지례의인(智禮義仁) through devotion' right . practice' concentration of mind' heart . body . power. (3) Human in the world having individual immanent psychological four element의려담지(意慮擔志) and universal exptessinal 외 four element청시언모(聽視言貌) are under a bias toward wickedness because of inclination of mind. So extending of individual ethics of behavior and completion of universal ethics are essential and indispensable (4) The final aim of human being in the universe is bringing universal ethics of behavior(Wisdom . Propriety' Justice. Humanity청시언모(智禮義仁) to perfection. (5) Devotion right practice concentration성정수일(誠正修一) of mind heart body power의심신력(意心身力) are developmental notions of earn emestness intelligence capability diligence성혜능동(誠慧能動), essential individual for living in the world, and preceding element for moral edification, social behavior and administration of the state.

  • PDF

이완요법(弛緩療法)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f Relaxation therapy)

  • 신용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7-133
    • /
    • 1999
  • In the study of the Relaxation therapy of Qi-go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though there are various ways to practice qigong,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should always be included. There are regulation of mind, body and respiration, among which regulation of mind is the most important one. Regulating the mind into a state of tranquility. is the most fundamental skill in qigong therapy. So smoothing the circulation of meridians, strengthened Essential-material(精), Qi(氣), Sprit(神). 2. The Qigong therapy makes the body and mind relaxed, and it is helpful of preventation of disease and mental health. And it treats neurosis, somatoform disease, and it uses resoluton of stress. As a result, The Qigong-therapy is preservation of health, raises the resistance of disease. 3. The Qigong therapy is more effective by application of music, aroma, taping-therapy.

  • PDF

동의보감(東醫寶鑑)의 명상 수행(修行)에 대한 고찰 (About the Meditation and Self-discipline in Korean Medicine through "Donguibogam(東醫寶鑑)")

  • 이정원;김경철;이해웅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9-158
    • /
    • 2012
  • Objectives : In modern meditation, psychologic therapy and happy life have been in the main stat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about the value of modern meditation systematically and to summarize the contents on the meditation in "Donguibogam(東醫寶鑑)".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meditation-related materials in "Donguibogam(東醫寶鑑)", and discussed them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contents found in "Huangdi's Internal Classic(黃帝內經)" and some scriptures on meditation and self-discipline. Results : The mind-body concept in Korean Medicine takes meditation and self-discipline into main consideration. Meditation and self-discipline mean the endless pursuing the nature of mind and body, thus leading to self-practice about the true meaning of life. "Donguibogam(東醫寶鑑)" includes the views on the meditation and self-discipline from the various angles based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onclusions : Meditation and self-discipline rooted in East Asian tradition are good ways to reach the true nature of mind-body system of universe and to help people seek happiness in their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