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blem of 'the Mind' Suggested by Bojo-Jinul

보조 지눌이 제시한 '마음'의 문제

  • Received : 2009.08.10
  • Accepted : 2009.09.11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paper handled the problem of 'the mind' suggested by Bojo-Jinul. On the whole, I explained three fields, Jinul's way to approach 'the mind', the theory of the nature and the theory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This paper is based on the established research papers. However the part that I explained the 'no-mind' in the theory of the nature is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researchers. It is the emphasized part to interefere with Kanhwa Meditation. In this part, I explained Bojo's way to approach 'the mind' in the viewpoint of Sujeungnon(the theory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And I clarified that his thought had been showed in his work and his system of thought is composed of Donojeomsuron(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Seon(Kanhwa-meditation). It is the theory of the nature that we handles 'the problem' philosophically. So I studied the examples of the nature and then I researched 'Kongjeokyeongjisim(the mind of the light of the divine wisdom in the void)', the foundation of 'Donojeomsu(the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Musim (no-mind)', the foundation of Kanhwaron. Finally, I inquired into 'Donojeomsuron(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ron(Kanhwa-Meditation)' as 'Sujeungron(the theory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본고는 보조 지눌이 제시한 '마음'의 문제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전제적으로 '마음'의 문제에 대한 지눌의 접근방식, 심성론 그리고 수증론의 세 영역으로 접근하여 설명하였다.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였으며, 다만 '무심(無心)'의 부분을 심성론의 부분에서 설명하고자 한 부분이 기존의 연구자와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간화선과의 배대를 이루기 위하여 발표자가 강조한 것이다. 본 논문의 내용은 '마음'의 문제에 대한 지눌의 접근방식을 주로 수증론에 입각하여 설명하였으며, 그의 사상이 저술의 형성을 통하여 나타났다는 점과 그의 사상체계가 돈오점수와 간화선의 구조로 되어 있음을 밝혔다. 마음의 문제를 철학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은 심성론이다. 따라서 심성론에 있어서 심성의 용례를 살펴보고 이어 돈오점수론의 바탕이 되는 공적영지심과 간화론의 바탕이 되는 무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수증론으로서 돈오점수론과 간화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