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aged male worke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중년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among Middle-aged Male Workers)

  • 이에리쟈;이금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5-244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quality of sleep and its influencing factor among middle-aged male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1 middle-aged male work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based from self-repor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sking about low urinary tract symptoms, circadian rhythm, quality of life and sleep quality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1 to October 31, 2013 and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Mean score of the sleep quality was $5.03{\pm}2.57$ (range: 0~21) and reported as bad sleep quality in 55.7%. Low urinary tract symptoms (${\beta}$=.30, p<.001), circadian rhythm (${\beta}$=-.17, p<.001), quality of life (${\beta}$=-.14, p<.001) were shown as significant association of sleep quality. Conclusion: Strategies to improve sleep quality in middle-aged male workers are necessary and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w urinary tract symptoms. It is also necessary to legalize the institutional devices to upgrade work environment and to place regulations on overtime at work places in order for these workers to obtain sufficient sleep time for recovery of biological rhythms and improving sleep quality.

중년기 직장남성의 생활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ife Stresses and Coping Behavior of the Middle-Aged Working Men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 노민옥;박경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55-269
    • /
    • 2008
  •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middle-aged male worker's life stress affec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 group was 223 male workers aged from 40 to 59 with a wife and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iddle-aged male workers perceive an economic life stress as a most stressful problem, and mostly use a 'direct-positive' coping behavior(CB) type to settle the stress among 4 stress CB types. 2) Economic life and marital stress, 'indirect-active' and 'direct-active' CB give deep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3) The effecting factors on their depression are work stress, marital stress, health stress, a 'direct-passive', an 'indirect-active', an 'indirect-passive' CB and their income. In order to increase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o decrease their depression, concludingly, it is most significant for them to have a strong marital relationship and actively cope with life stress.

중년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n Sleep Quality among Middle-aged Male Workers)

  • 김혜숙;박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615-623
    • /
    • 2017
  • 본 연구는 중년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남지역 사업장의 중년 남성 근로자 127명이며, 자료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보고식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와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으로 SPSS/WIN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의 질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직무 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만족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 중 하위영역 직무요구, 직장문화와 직무만족 중 하위영역 직무자체가 수면의 질을 24.5% 설명하였다. 이에 중년 남성 근로자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과 직업만족도를 높이고 직업스트레스를 줄이는 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대상자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해 과도한 업무량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 마련과 건전한 직장문화를 확립할 수 있도록 구성원 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연령별 중·고령 노동자의 취업 양극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Polarization of the Middle-aged and Old Worker's Employment by Age and Gender)

  • 이성용;방하남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593-61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외환위기 직후 경기 침체기와 경기회복기에 따른 성·연령별 중·고령자 취업률의 변동, 그러한 변동의 원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중·고령자의 취업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이 성과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1차부터 7차까지의 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경기침체기에 비해 경기회복기에 남녀 모두 모든 연령에서 취업률이 상승하였고 또 연령이 올라감에 따라 남녀 취업률 격차가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다. 가정한 바와 같이, 중·고령자의 취업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은 성과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났다. 예를 들어, 배우자 존재는 남성 취업률에 정적 영향을 여성 취업률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경제회복기의 취업률 증가에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취업자 수의 증가보다 경제적 독립성을 중시하는 개인주의 이데올로기로 인한 취업자 수의 증가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외환위기 이후 양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경기회복기에 평균 근로소득의 급상승과 경기침체기보다 경기회복기에 개인의 취업이 더 어려워졌다는 사실은 2001년 이후 중·고령 노동자 취업의 양극화가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빈민 혹은 하층의 중·고령 노동자들은 취업하기가 더 어려워진 반면, 중류층 이상(특히 고소득)의 노동자들은 이전보다 더 늦은 연령까지 취업을 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이러한 중·고령 노동자 취업의 양극화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대구지역 중년 남성의 영양섭취 상태와 생활습관 및 혈청지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f Nutrient Intake, Life Style, and Serum Lipids Level in Middle-aged Men in Taegu)

  • 정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3호
    • /
    • pp.277-28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nutrient intake, life style, and serum lipids level in 108 healthy middle-aged men in Taegu. A convenient method was to assess nutritional intake. Anthropometric measuement of body weight and hight were measured and average energy expenditure was calculated. The mean body mass index(BMI) was 22.8$\pm$2.4 and it was in the middle of the mean BMI of Korean men. Obesity rate of study subject were 13.2%. Daily energy intake was not sufficient as 88.4% of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and the energy percentage of carboydrate, fat protein was 65 : 21 : 14. Mean intake of vitamin A, B1, C and Ca were lower than RDA.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calcium intake(r=-0.28, p<0.05). Smok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lood glucose than non-smokers. Skipping meals and uneven diurnal distribution(no breakfast and large evening meals) are associated with high triglyceride level in this population.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dy weight and plasma lipids. Energy expendi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asma triglyceride level. Especially, atherogenic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job-time physically active worker than that in sedentary worker. Above data provides valuable imformation to the community for program planning as well as to health providers who work individual male adults to meet their nutrition needs and to control blood lipids.

  • PDF

직장 중년 남성의 삶의 질의 영향요인 경로분석 (A Path Analysis of Influencing Variables on Quality of Life for Office worker Middle-aged males)

  • 서영숙;정추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33-140
    • /
    • 2017
  • 본 연구는 직장 중년 남성의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 일터 영성과 삶의 질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가족 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일터 영성을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4곳의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직장 중년 남성 28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14일부터 11월 30일까지이며,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 일터 영성과 삶의 질 등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21.0 programs과 AMOS 18.0 programs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모형의 적합지수는 RMSEA .05, GFI .98, AGFI .94, NFI .96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 중년 남성의 가족 지지와 사회적 지지, 일터 영성,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직장 중년 남성의 가족 지지(${\beta}=.60$, P<.001)와 사회적 지지(${\beta}=.47$, P<.001)는 일터 영성에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직장 중년 남성의 가족지지(${\beta}=.12$, p=.002)와 사회적지지(${\beta}=.12$, p<.001)는 삶의 질에 직접효과와 가족지지(${\beta}=.10$, p<.001)와 사회적지지(${\beta}=.08$, p<.001)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직장 중년 남성의 가족 지지와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일터 영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직장인 중년남성의 갱년기 증후군과 발기부전, 우울,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te-onset of Hypogonadism, Erectile Dys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Male Worker)

  • 이미욱;박효정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83-49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ate-onset hypogonadism, erectile dys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male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343 men aged between 40 and 64, responded to self-report questionnaires on general characteristics, late-onset hypogonadism, erectile dys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6, 2012 to October 9, 2012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x^2$-tes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 prevalence rate of late-onset hypogonadism was 63.8% with high points in reduction of libido, energy, physical strength and endurance, and erectile fun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te-onset hypogonadism according to age($x^2$=8.98, p=.048) and in erectile dysfunction according to age(F=11.03, p<.001), monthly income(F=2.84, p=.024) and smoking( t=2.96, p=.018).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depression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F=8.12, p<.001) and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monthly income(F=7.21, p<.001).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quality of life were late-onset hypogonadism, erectile dysfunction, depression, marital status and religion. Conclusion: Symptoms of erectile dysfunction can be improved by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middle-aged men,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would both provide proper knowledge on climacteric syndrome and alleviate symptoms should be designed while, at the same time, other programs to evaluate, prevent and control depression are developed.

중년직장인의 회복탄력성이 퇴직태도와 퇴직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lience of Middle-aged Employees on Retirement Attitude and Retirement Preparation.)

  • 정경화;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95-507
    • /
    • 2020
  • 이 연구는 퇴직을 앞둔 50세 이상의 중년직장인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이 퇴직태도와 퇴직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양적연구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근무 중인 50세 이상의 상용직 재직자 214명을 연구표본으로 사용하였다.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요인 간의 상관관계와 집단 간 평균차이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성재직자가 여성보다 자기조절능력과 가족에 대한 퇴직준비가 높았고, 근무기간이 긴 재직자일수록 건강에 대한 퇴직준비가 높았으며, 학력이 높은 재직자일수록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지하였고, 가구소득이 높은 재직자일수록 긍정성이 높고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지하였으며 재정에 대한 퇴직준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퇴직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높은 재직자일수록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지하는 반면, 강요된 좌절로는 낮은 인식을 보였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퇴직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높은 재직자일수록 재취업, 가족, 재정, 건강 등에 대해 퇴직준비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퇴직태도는 퇴직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퇴직을 긍정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재직자일수록 퇴직에 대한 준비를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로 퇴직을 앞둔 50세 이상의 중년직장인의 회복탄력성과 퇴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중요성이 검증되었고, 그로인해 퇴직에 대한 막연한 불안을 최소화시켜주고 퇴직 전 퇴직에 대한 준비의 중요함에 확인시켰다.

Severity Analysis for Occupational Heat-related Injury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 Peiyi Lyu;Siyuan So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5권2호
    • /
    • pp.200-207
    • /
    • 2024
  • Background: Workers are often exposed to hazardous heat due to their work environment, leading to various injuries.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heat-related injuries (HRIs) are becoming more problematic.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ritical contributing factors to the severity of occupational HRI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historical injury reports from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Contributing factors to the severity of HRIs were identified using text mining and model-free machine learning methods. The Multinomial Logit Model (MNL) was appli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mpact factors and the severity of HRI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 higher risk of fatal HRIs among middle-aged, older, and male workers, particularly in the construction, service, manufacturing, and agriculture industries. In addition, a higher heat index, collapses, heart attacks, and fall accidents increased the severity of HRIs, while symptoms such as dehydration, dizziness, cramps, faintness, and vomiting reduced the likelihood of fatal HRIs. Conclusions: The severity of HRI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ctors like workers' age, gender, industry type, heat index , symptoms, and secondary injurie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preventive strategies and training across different worker groups to mitigate HRIs risks.

중년 남성 근로자의 알코올 섭취와 혈압, 혈청 지질, 간기능검사치 및 비만지표와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Intake and Blood Pressure, Serum Lipids, Liver Function Tests and Obesity Indices in Middle-Aged Male Workers)

  • 박승경;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323-3332
    • /
    • 2015
  • 중년 남성 근로자에 대한 알코올 섭취와 혈청지질, 간기능검사치 및 비만지표와의 관련성을 알아볼 목적으로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30~59세의 남성 근로자 2,17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1일 알코올 섭취량과 혈압, 혈청지질, 간기능검사치 및 비만지표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혈압은 음주량의 증가와 함께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으며,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TG)도 음주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HDL-콜레스테롤은 음주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AST, ALT, ALP 및 ${\gamma}$-GTP도 음주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비만지표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SBP, DBP), 혈청지질치(HDL-C, LDL-C, TG) 및 간기능검사치(AST, ALT)가 비정상으로 높아질 위험비는 소량 음주군에 비해 다량 음주군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는 다량의 음주는 혈압, 혈청지질 및 간기능검사치 증가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나 비만지표와는 유의한 관련성이 인정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