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ddle-aged and Elderly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31초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 경제적 준비와 건강준비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Middle-Aged Salaried Workers' Retirement Plans: Economic Preparation and Health Care Plans)

  • 홍성희;곽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1호
    • /
    • pp.193-20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iddle-aged salaried workers' retirement plan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lans.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ale workers with female workers on their economic preparation and health care plan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salaried workers perceived their level of economic retirement plan to be relatively low. Second, the factors the affected the level of economic preparation for post-retirement were their current subjective economic level, age, household assets and debts, economic and health problems expected in their future elderly life, and savings and assets reserved for their elderly life. Third, the factors that affected whether to put aside savings for elderly life or not were age, current subjective economic level, capital assets, and savings and assets reserved for their elderly life. Fourth,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post-retirement health care depended on health problems expected in their elderly life, current subjective economic level, locus of control, job, and expected retirement age. Overall, the factors that affect male salaried workers' economic and health care plan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female salaried workers. From th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iddle-aged salaried workers' level of economic retirement plans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ir health care plans. Also, male salaried workers' level of retirement plan were different from that of female workers.

중년여성의 건강관련 노후준비 -대구광역시 문화센타를 중심으로- (Middle-aged Women's Health-related Preparation for Elderly Life - On centering culture centers in Daegu-city)

  • 배윤조;공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250-625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건강관련 특성을 비교해 보고, 건강관련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4개 지역의 문화센터를 이용하는 40세 이상부터 64세 미만 여성 중 391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 1일부터 3월 25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노후건강을 대비해서 노력하고 있는 여성은 215명(55%)으로 건강관련 특성에서 전반적으로 분포의 차이가 있었다. 건강관련 노후준비에 미치는 변인들로 현재의 운동 여부(비차비: 4.990), 다양한 식품섭취(비차비: 3.563), 적정수면(비차비: 2.021) 등이었다. 중년여성을 위한 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과 환경조성이 연구결과처럼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2021년 주거실태조사에 나타난 중년 임차가구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Influences on the Housing Satisfaction of Middle-Aged Households Reflected in the Korea Housing Survey 2021)

  • 이현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375-387
    • /
    • 2023
  • In research on housing welfare policy, there has been little interest in middle-aged households compared with young or elderly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fluences on the housing satisfaction of middle-aged renter households using microdata from the Korea Housing Survey 2021. A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on a total of 2,709,152 middle-aged (aged between 40 and 64 years) Jeonse (lumpsum housing lease) renters and monthly renters with deposits, living in private rental housing uni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using unit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mong renter groups by age and rental type. Early-middle-aged Jeonse renters displaye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both housing units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le semielderly monthly renters with deposits displayed the lowest satisfaction. Secondly, living in aged structures or in apartment units exerted the strongest influences on housing satisfaction, which implies the need for residential area regeneration programs that consider the situation of rental households. Thirdly, living in Incheon and Gyeonggi-do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housing satisfaction. Fourthly, upward filtering on tenure types or lease renewal of the current house did not necessaril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housing satisfaction of middle-aged renters.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housing situation of middle-aged renter households.

중년층이 선호하는 미래 노인주거 환경에 관한 연구 (The Preferences for Elderly Housing Characteristics: Viewpoint of A Middle-Aged)

  • 신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5-120
    • /
    • 1998
  • This study delineates the preferences of elderly housing characteristics among a middle-aged popul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n independent, random, age-stratified sample of house wives using structured questionaire and interview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AS statistics analysis program. The preferred way of living style and hous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Preferred housing characteristics were influenced by age, income, job and education. Education was the most powerful indicator for predicting the preferences.

  • PDF

중·장년 노후생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Recognition of Age Preparation for Middle and Old Aged)

  • 이국권;김재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89-194
    • /
    • 2019
  • 본 연구는 중 장년을 대상으로 노후준비에 대한 실태조사를 한 연구이다. 중장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의뢰한 후 회수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총 350부를 배포하여 응답이 부실하거나 누락된 문항이 많은 설문지를 제외한 39부를 제외하고 총 311부를 SPSS 21.0을 시용하여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지역적인 특색과 노인이 될 계층의 노후생활인지의 차이점을 파악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 장년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후생활인지의 차이점 도출, 둘째 중 장년 사회인구학적 경제적 노후생활인지, 신체적 노후생활인지, 사회적 노후생활인지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노후준비를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이다.

내 집과 같은 노인시설주거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III) -중년층의 선호하는 주택과 노후 주택의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 (Homelik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Housing Facility(III) - Based on the preferred housing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aged -)

  • 신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91-20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omelike design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ing facility. To investigate what the preference of physical design characteristics are, interview was done by unstructured questionnaire to 30 middle aged and middle income group housewives living in Seoul. It was identified that preferred homelik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ouses were composed of 4 themes, housing types, building appearences and garden, floor plan and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of its location. Their desirable housing standard was amenity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home environment. In their later life, they wanted to live in vicinity of Seoul to enjoy cultural benefits of the city and active outdoor activities in sunny, natural suburban environment. They liked a spacious, clean and bright color with natural material furnishings. Each architectural design expression of 4 themes was suggested.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Middle aged People's Attitudes toward Elderly and Preparations for their Old age)

  • 배문조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1107-1122
    • /
    • 2009
  •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이러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의식과 준비행동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대구경북지역의 중년 4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소득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관련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노인과의 동거경험과 접촉경험이 노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셋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의식을 보면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사람일수록 노후준비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행동을 보면 노인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긍정적일수록 신체적 준비행동, 정서적 준비행동 및 여가준비행동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노년기의 봉사활동이 행복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과 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Volunteering in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on Happiness and Meaning of Lif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 박준성;정태연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513-52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노년기 사람들의 봉사활동이 행복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과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과 수도권을 비롯한 전 지역의 기업 및 단체 등에서 중·노년기에 해당하는 5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봉사활동 인식이 높은 중·노년기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행복, 삶의 의미, 자기조절 그리고 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둘째, 봉사활동과 행복 및 삶의 의미 그리고 매개변인들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봉사활동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과 효능감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넷째, 봉사활동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자기조절과 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노년기 사람들의 봉사활동이 행복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과 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해서 논의하였다.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Self-rated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Elderly in Rural Areas)

  • 김윤영;현혜순;방활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17-325
    • /
    • 2020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 되었다. A군의 40세 이상 주민 235명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을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삶의 질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울은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지수와 정신적 건강지수 모두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은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우울은 삶의 질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주관적 건강상태 개선 및 우울 경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요구된다.

중년 및 노년 남성의 문제음주 관련 요인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among Middle- and Older-Aged Korean Men)

  • 전경숙;조선희;박소연;박소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7-199
    • /
    • 201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among middle- and older-aged men in South Korea.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baseline survey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nd the sample consisted of 3,631 men between 45 and 64 years of age and 1,173 men aged 65 or older. This study employed variables identifying various socioeconomic features, social ties, and health-related factors.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 Middle-aged men having frequent social relationship with close person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be problematic drinkers than those having less frequent social relationships with close persons. Lower education, unemployment, smoking, and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only among middle-aged men.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health professionals develop 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ould lead to more moderate alcohol habits and better health in middle aged Korean men who are actively engaged in social networks. In addition,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focus more on the unemployed, lower educated, depressed, and smoking groups for early detection of problematic drinking among middle-aged Korean 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