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6초

교사들에 의한 공통과학 교과서 평가와 수업내용 현황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Textbook and Classes by the Point of Science Teacher's View)

  • 김성원;진유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5-413
    • /
    • 1997
  • High school common science is introduced by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It consists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like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In this paper, textbooks are analyzed by the science teachers and the status of the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s reported. The detailed results are as follows; 1. Almost high school teachers choose textbook that included little the STS material. More than two teachers are teaching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and when they are chosen, they are independent with their major. 2.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they evaluated the textbooks as it is below the middle level. This evaluations are not dependent on teachers' comparement and textbook's class except the several matters based on STS (science-technology-society). 3. The teacher teaching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thought that teaching the textbook in school is worse than analysizing it. they must have emphasised on learning of inquire method than system of knowledge, introduction to material connected with real life and STS in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 PDF

중학교 '힘과 운동' 단원에 사용된 과학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단어 연상 분석 (Analysis of students' word association about the science terminologies used in the 'Force and Motion' unit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 윤은정;이윤주;박윤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573-582
    • /
    • 2013
  • 본 연구는 과학 시간에 사용되는 과학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머리 속 의미 구조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과학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힘과 운동' 단원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과학 용어 26개를 추출하여 316명의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어 연상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과학 용어에 대하여 매우 발산적인 의미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교사의 의도와는 다른 의미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추출되었다.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이 과학 용어들에 덜 익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학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 용어를 사용할 때 용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등의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PDF

2007 개정 및 2009 개정 중등 과학 및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의 MBL 실험 분석 (Analysis of MBL Experiments from the Korean Secondary Science and Chemistry Textbooks Based on 2007 and 2009 Revision)

  • 정은아;차정호;김인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3호
    • /
    • pp.254-266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2007 개정 및 2009 개정 중등 과학 교과서 및 화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MBL(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실험을 교육과정 시기, 대상 학년, 실험이 제시된 맥락, 내용 영역, 주제, 사용된 센서, 그리고 출판사 등의 측면에서 분류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MBL 실험은 2007 개정 교육과정기의 경우에는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만 25번 제시되었고, 2009 개정 교육과정기의 경우에는 과학 및 화학 I, II 교과서를 통틀어 29회(중학교 19회, 고등학교 10회) 제시되었다. 전체적으로는 교육과정 개정 이후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MBL 실험은 증가하지 않은 반면,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처음으로 제시되었다. MBL 실험은 중학교 1학년에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선택탐구보다는 필수탐구에 주로 포함 되었다. 센서 중에서는 운동 센서와 온도 센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센서가 많이 사용되었다. 출판사별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는 사용 빈도가 감소하였고, 일부 출판사의 교과서에서는 MBL 실험이 단 한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 강오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65-1073
    • /
    • 2016
  • In this paper, we examined informat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2009 revised curriculum through conducting both content analysis and surveys. The content analysis was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extbooks. Survey questionnaires were based on the authorization criteria and selection standards of informatics textbooks. The content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discrepancies among textbooks in areas such as the total number of pages, related material, the number of core concepts introduced in each chapter, and the application of software.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wo sections - 'Expression and Modification' and 'Text' exhibited the most positive results, and the 'Creativity' section the least. Using the findings above, we present alternative ways to improve qualities of these textbooks.

중학교 학생의 과학 학습 방법 및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referred Methods and Strategies of Science Learn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효진;김연규;박현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52-56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교재를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전략을 조사${\cdot}$분석하였다. 검사도구로 Preferred Method of Study(PMOS)를 사용하였고, 임상 면담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학생들이 교과서 새 단원을 통독하는 횟수와 과학 점수간에는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주제의 유형보다는 시험의 유형에 따라 학습 방법 및 전략을 더 쉽게 바꾸는 경향이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과서를 학습할 때 좀처럼 요약, 도표, 그림 등과 같은 조직적인 도구를 활용하지 않았고, 한 가지의 학습 방법 및 전략을 선호${\cdot}$사용하였다. 또한 극소수의 학생(1%)만이 선행지식을 교과서 안의 새로운 개념과 연결시키려고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과학 교과를 공부할 때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자료로 교과서를 선택하지만 직접적인 학습에 있어서는 참고서와 문제집을 신뢰${\cdot}$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학습재로서의 교과서 개발과 효과적인 과학 교육을 위하여, 학습자의 학습 방법 및 전략과 인지심리학, 동기심리학 등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인지 수준의 이해를 통한 교수와 더불어 학생들의 학습 양태(learning style), 학습 방법 및 전략(learning method and strategy)을 파악하여 능동적인 의미구성의 장으로서 교과서의 역활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교과서 집필의 기초 자료로서 학생들의 교과서 활용 방안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 분석이 요구된다.

  • PDF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사회정서학습 요소 분석 (Analysis of Science Social Emotions Learning on Secondary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s)

  • 김서영;박현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63-170
    • /
    • 2022
  •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중등학교의 모든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공통과목인 중학교 과학, 고등학교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성취기준 139개와 교과서 활동 496개를 대상으로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경우, 7개의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 중 '문화적 이해'는 거의 포함되지 않았고, '수리', '창의적 사고'는 중학교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 '사회적 기술', '윤리적 이해'는 고등학교에 높은 빈도로 포함되어 있었다. 교과서 활동의 경우,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사회정서학습 요소의 경향성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사회적 기술' 등이 중점적으로 제공되고, '윤리적 이해'와 '문화적 이해'는 제한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총체적인 사회정서학습 요소 함양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구체화 또는 교과서 활동 및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보완 등이 필요하다.

화학과 생물 교과서에서 삼투압과 반투막 개념에 관한 설명 유형 분석 (Analysis of Types on Osmotic Pressure and Semipermeable Membrane Concept in Chemistry and Biology Textbooks)

  • 고영환;강대훈;류오현;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44-454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화학과 생물 교과서, 대학교 화학 및 생물 교재를 중심으로 삼투압과 반투막의 개념에 대한 설명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삼투압에 개념에 관련된 설명 유형은 대략 4개 정도의 유형이 있었으며, 반투막에 관한 설명 유형은 3가지 정도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설명 유형 사이에는 시각의 차이가 있어서 같은 개념이 전혀 다른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설명 유형의 차이는 학생들의 이해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교과서 구성에서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거꾸로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과학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xtbooks for the Implementation of Flipped Learning)

  • 신영준;하지훈;홍준의;전영석;이수영;박지선;지재화;이수아;문혜숙;이성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1호
    • /
    • pp.90-102
    • /
    • 2016
  •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은 일반적으로 동영상 및 읽기 자료 등과 같은 디딤자료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사전에 학습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교실 수업에서는 교사의 도움을 받아 학습자 중심이 되어 수업 시간이 운영된다. 거꾸로 수업은 각각의 교사가 사전영상과 같은 사전 과제를 미리 준비하고 교과서 이외의 활동을 재구성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사전 영상을 제작하는 등의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교과서 분석, 거꾸로 수업을 하고 있는 6명의 과학교사 심층 면담, 과학 교과서 샘플 모형개발 및 적용을 통해 거꾸로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과학교과서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초중고 과학 교과서 모형은 사전영상을 전제로 하지 않은 서책 중심 교과서 모형제시와 더불어 거꾸로 수업구현을 위한 강의 중심형, 실험 중심형, 탐구 조사형 등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탐구활동을 수행하는 수업으로서 과학수업 및 교과서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환경교육 차원에서 검토된 중학교 과학 자연환경과 우리 생활 단원의 탐구활동 내용에 대한 분석 및 그 개선방안 (An analysis and their improvement plan on the inquiry activity contents presented at a chapter on natural environment and our lives in science textbook of Middle school investigated in viewpoi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 이창석
    • 한국환경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교육학회 2002년도 후반기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79-85
    • /
    • 2002
  • Inquiry activity contents presented at a chapter on natural environment and our lives in 6 science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were analyzed based on kinds of the inquiry Loaming classified by textbook.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y subjects showed severe variation as mean value was 8.3${\times}$3.7 ranged from 4 to 15. Moreover, textbooks had little common point among each other as the percentage of subjects appeared together in the textbooks more than 3 kinds, 50% of total ones investigated, was just 26.3%. Data interpretation occupied significant position in the inquiry activity as 42% of total activity contents, whereas observation and experiment (or survey) did slight part of the activity as 10% and 16%, respectively even though they are main factors of science education. A model for field education based on the reasonable common subjects was prepared in the Gildong ecological park located In the eastern fringe of Seoul as a pla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