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East War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Constructing Southeast Asia and the Middle East: Two Corners of the "Victorian World"

  • Keck, Stephen L.
    • 수완나부미
    • /
    • 제7권2호
    • /
    • pp.27-56
    • /
    • 2015
  • How should we conceptualize regions? What is the context in which new approaches to regional study take place? What is the role of historical change in the reconceptualization of regions or areas? This article addresses this issue by using two case studies to shed light on the history of regional study by comparing some of the ways in which the Middle East and Southeast Asia have been conceptualized. Accordingly, the discussion traces the ways in which these areas were understood in the 19th century by highlighting the ideas of a number of influential Victorian thinkers. The Victorians are useful because not only did British thinkers play critical roles in the shaping of modern patterns of knowledge, but their empire was global in scope, encompassing parts of both Southeast Asia and the Middle East. However, the Victorians regarded these places quite differently: Southeast Asia was frequently described as "Further India" and the Middle East was the home of the Ottoman Empire. Both of these places were at least partly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needs of British policy-makers, who tended to focus most of their efforts according to the needs of India-which was their most important colonial possession. The article exhibits the connections between the "Eastern Question" and end of the Ottoman Empire (and the political developments which followed) led to the creation of the concept of "Middle East". With respect to Southeast Asia, attention will be devoted to the works of Alfred Russell Wallace, Hugh Clifford, and others to see how "further India" was understood in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it is clear that the successful deployment of the term "Southeast Asia" reflected the political needs of policy makers in wake of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Finally, by showing the constructive nature of regions, the article suggests one possible new path for students of Southeast Asia. If the characterization of the region is marked by arbitrary factors, it may actually point to a useful avenue of enquiry, a hermeneutic of expedience. Emphasis on the adaptive and integrative features of lived realities in Southeast Asia may well be a step beyond both the agendas of "colonial knowledge" and anti-colonial nationalism.

  • PDF

The Risk-Return Relationship in Crude Oil Markets during COVID-19 Pandemic: Evidence from Time-Varying Coefficient GARCH-in-Mean Model

  • HONGSAKULVASU, Napon;LIAMMUKDA, Asam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63-71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w time-varying coefficient GARCH-in-Mean model. The benefit of our model is to allow the risk-return parameter in the mean equation to vary over time. At the end of 2019 to the beginning of 2020, the world witnessed two shocking events: COVID-19 pandemic and 2020 oil price war. So, we decide to use the daily data from December 2, 2019 to May 29, 2020, which cover these two major ev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ynamic movement between risk and return in four major oil markets: Brent, West Texas Intermediate, Dubai, and Singapore Exchange, during COVID-19 pandemic and 2020 oil price war. For the European oil market, our model found a significant and positive risk-return relationship in Brent during March 26-April 21, 2020. For the North America oil market, our model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risk return relationship in West Texas Intermediate (WTI) during March 12-May 8, 2020. For the Middle East oil market, we found a significant and positive risk-return relationship in Dubai during March 12-April 14, 2020. Lastly, for the South East Asia oil market, we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risk return relationship in Singapore Exchange (SGX) from March 9-May 29, 2020.

중동전쟁의 이스라엘 전략문화 고찰과 한국의 안보전략적 함의 (A Study on Israel's Strategic Culture in the Middle East War Korea's Security Strategy Implications)

  • 이정한;배일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121-126
    • /
    • 2024
  • 이스라엘은 평화, 자유를 갈망한다. 이스라엘은 그간 수많은 전쟁 및 분쟁에 이르기까지 군사적으로 승리하였다. 그들은 그간 쌓아온 데이터와 고유문화, 평시 대비체계를 토대로 전략적 사고가 길러져 있으며, 그를 기반으로 한 전략문화가 안보전략에 방향성을 제시하여 정예 강군 육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신념, 행동 패턴, 정체성으로 형성된 전략문화가 전략적 사고와 안보전략 유용성에 영향을 준 것이다.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로켓 포격 및 이스라엘 영토 공격으로 전쟁이 발발하였다. 이스라엘은 즉각 전쟁을 선포하고 지상군을 가자지구에 투입하였다. 본 연구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그리고 중동전쟁 간 이스라엘의 전략문화가 전략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그리고 안보전략으로 형성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전략문화 이론의 방법론적 논의를 참고하여 전략문화의 개념을 재정의 하고, 전략문화가 전략적 사고와 안보전략에 어떠한 유용성을 제공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이스라엘의 전략문화가 안보전략에 미친 영향을 토대로 한국의 안보전략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라크 전쟁을 소재로 한 한국 시의 반전의식 양상 (The antiwar consciousness in Korean poems based on the Iraq War)

  • 문혜원
    • 비교문화연구
    • /
    • 제51권
    • /
    • pp.1-24
    • /
    • 2018
  • 이라크 전쟁의 실제 목적은 미국이 이라크의 석유를 장악하고 중동지역에서 패권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전쟁을 전후하여 전 세계적으로 반미와 반전운동이 확산된다. 이라크 전쟁은 한국 시가 '한국전쟁과 분단'이라는 특수성을 넘어서 보편적인 차원에서의 '전쟁'과 '반전'을 주제로 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이다. 그것은 '반전'과 '평화'라는 전 세계적이고 동시대적인 이슈에 동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라크 전쟁을 소재로 한 한국 시들은 참상을 고발하고 증언하는 시, 전쟁의 원인을 규명하는 시, 대안과 해결책을 제시하는 시로 나누어진다. 전쟁의 참상을 그린 시들은 폭력에 희생된 현장을 생생하게 그려냄으로써 미국이 저지른 만행을 고발한다. 이를 위해 실제 작전명을 인유하기도 하고 이라크 아이를 화자로 내세워 호소력을 더하기도 한다. 여기서 시인은 전쟁의 폭력성과 부당함을 폭로하고 증언하는 역할을 한다. 전쟁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시들은, 이라크 전쟁이 미국의 제국주의적 야욕에 기인한 것이고, 미국의 침략 행위가 오래 전부터 전 세계에 걸쳐져 있는 것임을 폭로한다. 한국전쟁과 그로 이한 한국의 피해 역시 같은 맥락에서 설명된다. 이와는 달리 '전쟁'이라는 사건이 발생하는 원인을 인간의 이기적인 속성과 자기중심성에서 찾는 경우도 있다. '전쟁'이라는 상황을 해결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평화' 운동과 연계된다. 이는 폭력의 반복이 결국은 인류의 멸망을 불러올 것이라는 인식에 바탕하고 있다. 이는 생명존중 사상과 연결되며, 평화와 비폭력 운동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메르스>에 대한 은유와 이데올로기적 함축: KBS와 JTBC 뉴스 보도를 중심으로 (Metaphors for MERS and Their Ideological Meaning: Focusing on the news reports from Korean media KBS and JTBC)

  • 전혜영;유희재
    • 한국어학
    • /
    • 제72권
    • /
    • pp.199-225
    • /
    • 2016
  • This study has two main purposes: to establish a list of source domains in the metaphors for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and to uncover ideological meanings embedded in them in Korean news reports from KBS and JTBC.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presents metaphors such as [MERS IS WAR], [MERS IS WAVE], [MERS IS A LIVING THING], and [MERS IS A THING], which were found in the data. The latter part of this study deals with how the two broadcasting companies use these metapho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ideologies. In the metaphor of [MERS IS WAR], KBS tends to show less of the agents who controls the war since the war against MERS has failed which casts responsibility to the controlling agents, the government and big hospitals. In this, KBS tries to present less of the information of the responsible agents that presented in JTBC. Through the metaphor of [MERS IS WAVE], KBS presents the aftermath of MERS as something not serious. Compared to JTBC, KBS tends to suggest that the aftermath of MERS is predominantly an economic effects by metaphorically suggesting that predominantly the economic sector got hit by MERS.

South Korean State-Building, Nationalism and Christianity: A Case Study of Cold War International Conflict, National Partition and American Hegemony for the Post-Cold War Era

  • Benedict E. DeDominicis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277-296
    • /
    • 2023
  • The South Korean ethnic diaspora US lobby shows efficacy as an interest group in generating influence in American foreign and domestic public policy making. The persuasive portrayal of South Korea as a critical Cold War US ally reinforced US amenability to pro-South Korea lobbying. Also, the South Korean US diaspora is a comparatively recent immigrant group, thus its lingering resistance to assimilation facilitates its political mobilization to lobby the US government. One source of this influence includes the foundational legacy of proselytizing Western and particularly American religious social movement representatives in Korean religiosity and society. US protestant Christianity acquired a strong public association with emerging Korean nationalism in response to Japanese imperialism and occupation. Hostility towards Japanese colonialism followed by the threat from Soviet-sponsored, North Korean Communism meant Christianity did not readily become a cultural symbol of excessive external, US interference in South Korean society by South Korean public opinion. The post-Cold War shift in US foreign policy towards targeting so-called rogue state vestiges of the Cold War including North Korea enhanced further South Korea's influence in Washington. Due to essential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historical role of American influence, extrapolation of the South Korean development model is problematic. US hegemony in South Korea indicates that perceived alliance with national self-determination constitutes the core of soft power appeal. Civilizational appeal per se in the form of religious beliefs are not critically significant in promoting American polity influence in target polities in South Korea or, comparatively, in the Middle East. The United States is a perceived opponent of pan-Arab nationalism which has trended towards populist Islamic religious symbolism with the failure of secular nationalism. The pronounced component of evangelical Christianity in American core community nationalism which the Trump campaign exploited is a reflection of this orientation in the US.

북한의 급변사태 시나리오 2 : 재스민혁명 국가들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North Korea's sudden change scenario 2 : Focusing on the cases of Jasmine revolution countries)

  • 이대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7-52
    • /
    • 2017
  • 남유럽에서 시작된 민주화라는 물결은 남아메리카와 아시아로 확산되었고, 구소련과 동유럽을 붕괴시켰으며, 북아프리카와 중동지역 국가들에 재스민혁명이라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다수의 학자들은 재스민혁명이 북한에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조심스러운 전망을 하면서, 북한 급변사태와 관련된 연구들을 활발히 하여왔다. 이러한 연구의 주제들은 급변사태의 발생원인과 시기, 그리고 주도세력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그 전개과정이 어떻게 될 것인가와 체제변화가 있을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스민혁명 국가들의 체제변화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북한 급변사태 이후에 전개 가능한 시나리오를 I유형 비교적 평화롭게 정권이 교체될 가능성, II유형 분단된 국가에서 통일된 이후에 다시 내전이 발생할 가능성, III유형 정권이 교체된 이후에 김일성가계의 누군가가 재집권할 가능성, IV유형 정권교체는 성공하였지만 내전이 발생할 가능성, V유형 정권교체도 실패하고 내전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으로 분류하였다.

이스라엘의 정체성과 국가형성과정에서 정보의 역할 연구 (The Role of Intelligence Activity in the Building of Israel and its Identity)

  • 석재왕
    • 시큐리티연구
    • /
    • 제42호
    • /
    • pp.251-276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이스라엘의 정보활동이 정체성 즉 국민들의 자의식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국가건설 과정에서 미친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있다. 19세기말 유대인들은 역사의 희생자 이미지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박해는 정치적, 신앙적 공동체인 독립국가 이스라엘 건설을 추동하는 요인이 되었다. 당시 이스라엘의 정보요원들은 유대인들을 팔레스타인으로 이주시키는 한편, 아랍인들과 투쟁하면서 국가건설에 매진했다. 다시 말해서, 정보활동은 유대인들의 국가건설을 위한 민족주의인 시오니즘을 구현하는 수단인 셈이다. 1948년 독립이후에도 정보기관은 아랍 국가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소련 등 국가들과 협상을 통해 UN에서 공식적으로 국가승인을 획득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럼에도 이스라엘은 아랍 국가들로부터 '사라져야할 국가'로 인식되면서 국가정체성이 부인되었다. 이후 4차례에 걸친 전쟁에서 승리와 이집트와 정상회담을 통해 비로소 국가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이스라엘은 이를 성서상의 '약속의 땅'의 회복이라는 예언의 성취로 이해하며 승리자로서의 정체성을 공유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이스라엘에서 정보활동은 국가의 독립과 건설, 그리고 국민들의 자의식의 형성과 변화를 유발한 기제였다.

  • PDF

미.중의 군사전략과 한반도 안보 (The Korean Peninsula security and Military Strategy of USA and China)

  • 손도심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4호
    • /
    • pp.289-350
    • /
    • 2006
  • The world has been rapidly restructured in an agenda of national security from center of military strength to that of economic strength since the post cold-war era China military leadership-division carried out RMA through learning of a lesson from Gulf war in 1990 -1991 and Iraq war in 2003, thus the leadership-division made an attempt to convert the military system to a technical intensive system. The principle based on RMA of China military is (National defense strategy) drafted by the central military committee 1985 and (Four modernization general principles) 1978. China has introduced Russian high-technological arms and equipment in order to build up the military arms greatly thanks to an economical development, and they take pragmatism line as chinese socialism with their strategy to make secure a position as military powers such as they successfully launched a manned spacecraft and are building an air-craft carrie and soon. USA has a theory of dichotomy whether a country is a cooperator for USA, or not. and also enemy or friend since 9.11terror, thus USA is different from their direction of police. This is because USA stands a position as the superpower of the supremacy hegemony of the world. We must be carefully aware that USA considers as important area for Middle east, West south Asia, Central Asia and Northwest Asia to meet the demands of 2lcentury. Accordingly, the focus of USA's military strategy will be probably concentrated at the above mentioned four areas. On the other hand, USA enjoys such a superpower position due to collapse of USSR which was the past main enemy since the post cold war era. We could give an conclusive example as fact that USA has recurred to unilateralism But USA carry on the military operations to the terror groups at global around by converting thje military strike strategy to pre-emptive strike strategy since9.11 terror, 2001. USA seeks for transformation to the mobile military forces with light-quantity oriented in order to carry on such the military operations and makes progress GPR, And the USA forces in Korea makes progress a military renovation as part of such a military strategy. On the other hand, USA promotes the measures of choose for the countries standing at the crossroads of strategy and carries forward a main scheme of provision for four priority aims that the leaders of a hostile country and mis-country shall be prohibited from use and obtainment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ccordingly, this treatise found out a significant meaning to have an effect on the national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 PDF

화합의 관점으로 본 보스니아 사회 통합 노력과 실천적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Social Integration Effort and Cases in Bosnia from the view of Harmony)

  • 김철민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2호
    • /
    • pp.47-80
    • /
    • 2018
  • 보스니아는 '데이턴 평화안(Dayton Peace Agreement)'에 따라 '1국가 2체제(One State-Two Systems)'란 독특한 정치, 사회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1995년 내전 종결 이후 보스니아내 민족 문제와 평화 정착은 단순히 발칸 반도란 지엽적 차원을 뛰어넘어 유럽 전체의 광역 개념을 지니며 관심을 받아온 게 사실이다. 보스니아는 통상 유럽에서 대표적인 '종교와 문화의 모자이크(A Mosaic of Religion and Culture)'지역이며, 유럽의 다양한 종교-문화적 특징이 한데 모인 수도 사라예보(Sarajevo)는 '유럽의 예루살렘(Jerusalem in Europe)'으로 불린다. 이런 이유로 중세 이후로 보스니아는 갈등과 충돌의 역사를 반복해 왔다. 하지만, 20세기말 민족 간 내전을 겪기 이전까지 이 지역은 '동 서양의 종교와 문화, 다양한 민족 간 조화와 화합'의 경험 또한 지녀왔던 게 사실이다. EU 등 국제 사회는 보스니아 재건과 평화 정착을 추진하면서 이 점에 주목하여 왔다. 그리고 오늘날 보스니아에서 그 조화와 화합의 역사를 다시 회복하기 위해 노력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전 종결 20주년을 맞이해 과거 갈등 사례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 일반적 연구 틀을 벗어나 보스니아 평화 정착과 민족 간 화합에 필요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소들을 제시하고 그 실천적 사례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첫째, 국제 사회의 적극적 개입과 지속적 관심을 의미하는 '보스니아의 EU 가입 추진', 둘째, 2017년 12월 ICTY 임무 종료를 통한 '전범 문제 해결 및 과거사 청산', 셋째, 스레브레니짜 학살 사건 재조명을 통한 '국제 사회 반성과 세르비아의 역사 화해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