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42초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of an Autonomous Demand Responsive Bus in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 박상웅;김주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0-86
    • /
    • 2022
  •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는 자율주행 버스와 실시간 수요대응형 버스의 단점을 상쇄시킨 미래교통수단이다. 하지만 버스 기능의 고도화로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 도입 시 영향에 관한 정량화된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학습 기반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를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의 정량화된 효과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요 변화에 따라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가 도로 네트워크에 끼치는 영향과 이용자 대기시간을 미시적 시뮬레이션 안에서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대상지로는 한국교통대학교 인근을 선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는 기존 노선 고정형 버스 대비 이용자 대기시간과 평균제어지체는 감소하였고, 평균통행속도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시간 수요대응형 버스의 도입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기대된다.

GIS를 이용한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by Using GIS)

  • 김병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79-89
    • /
    • 2015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미시적 수준에서 교통현상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을 설계 및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차량이 GIS 도로 중심선 자료를 차선, 이동속도 등이 반영된 도로 네트워크 자료로 인식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으며, 운전자의 주행 행태를 반영하기 위해 환경인식모형, 차두시간분포모형, 차량추종모형 및 차로변경모형으로 행태모형을 설계 및 구현했다. 모형의 정확도 평가는 종로구의 자하문길을 대상으로 관측자료와 예측 자료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시간대별 이동 속도를 매우 정확하게 예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현된 GIS 기반의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은 교통 탄소 배출량 분석, 교통류 평가 및 도시기반시설 입지 계획등의 다양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고속 주행환경에서 교통안전을 고려한 고속도로 진출입시설 설치간격 평가 방법론: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가속소음 분석을 중심으로 (Methodology for Evaluating Freeway Interchange Spacing for High Design Speed based on Traffic Safety: Focused on Analysis of Acceleration Noise using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s)

  • 오동욱;오철;장명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45-153
    • /
    • 2009
  • 우리나라에서도 도로이용자 중심의 패러다임의 전환과 요구수준에 부합할 수 있는 고기능, 초고속환경의 도로건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차세대 도로시장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초고속주행환경의 고속도로 설계기준에 대한 검토 및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시적 시뮬레이터 중의 하나인 VISSIM을 이용하여 초고속 주행환경에 부합하는 고속도로 진 출입시설 적정 배치간격 설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평가방법론을 정립하였다. 진출입시설 최소설치 간격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교통량, 설계속도, 차종비율, 진출입시설 이용 교통량 등을 고려하였다. 이에 따른 설치간격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교통상충,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속소음을 평가지표로 하여 각각의 설계기준에 따른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160kph 수준의 초고속 주행환경에서 교통안전을 고려한 진출입시설 최소설치간격 적정 값은 5km수준으로 평가되었다.

교통안전을 고려한 도시부도로의 돌발상황 교통관리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for Incident Conditions on Urban Highways Considering Traffic Safety)

  • 김영선;이상수;윤일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17-126
    • /
    • 2015
  •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areas from incidents on urban interrupted roadways and to develop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for each influence area. METHODS :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various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for certain incidents were collect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cidents was explored using an extensive simulation study. RESULTS : From the simulation studies, traffic delays increased as the number of lane closures increased, and the impact of lane closures was reduced to the direction upstream from the incident site. However, the magnitude of the delay change depended on the degree of saturation. Us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areas resulting from incidents were defined, and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were established for each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area and for each level of incid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national traffic safety by preventing secondary incidents and by effective adaptation to incident events.

교통대응 신호제어전략의 평가를 위한 미시적 시뮬레이터의 원형 개발 (Development of a Micro-Simulator Prototype for Evaluating Adaptive Signal Control Strategies)

  • 이영인;김이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43-16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일부지역에 운영중인 첨단신호제어시스템(COSMOS)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미시적(microscopic), 모의실험기(simulator)의 원형(prototype)을 개발하였다. 이 모의실험기의 개발은 원형적인 형성을 목표로 차량의 이동방식과 모듈적용체계 그리고 첨단신호알고리즘 중 독립교차로 실시간제어의 기능을 개발모형의 범위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개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본적인 차량진행 외에 부가적인 첨단신호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검지기 체계를 통한 자료수집 및 지역제어기 그리고 센터시스템의 알고리즘의 수행이 필요하므로, 미시적 시뮬레이터의 가장 큰 문제점인 연산속도의 문제는 더욱 대두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차량의 이동방식을 공간중심방식으로 구성하여 진행시킬 것과 링크별로 각 수행모듈을 합리적으로 적용하도록 제안하였다. 그리고 차량추종 및 차로변경의 모형의 적용을 포함한 링크의 이원화 적용 제안이 타당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NETSIM모형과 비교를 실시하였다. 둘째로, 이러한 모의실험기의 구조를 기초로 개별차량의 검지자료 수집과 매 주기마다 주기 및 녹색시간을 결정하는 독립교차로 실시간 제어 알고리즘의 구현으로 첨단신호제어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독자적인 모의실험기로 발전할 수 있도록 Animation 기능과 다양한 효과척도를 산출하여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미시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교통정책 대안별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 효과 분석 (Feasibility Analysis of Traffic Policy Alternatives for the Depreciation Effect Analysis of Automotive Exhaust Gas using Microscopic Simulation)

  • 서임기;왕위걸;남궁문;이병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9-97
    • /
    • 2007
  • 고도의 산업화와 경제발전으로 인한 자동차 의존적인 교통체계는 도심의 교통혼잡, 에너지소비, 대기오염과 소음, 교통사고 등과 같은 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심에서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은 과거 산업활동에 의해 발생된 공해문제보다 더욱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시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 효과를 파악하고 경제성 분석을 통해 도심지에서 대기오염을 최소화 하면서 차량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교통정책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차량 요일제가 투자비용이 없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민들에게 강제성을 부여함으로써 자동차 수요를 억제시키기 때문에 시민들과의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다른 대안들과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향후 연구과제는 선호의식 조사를 통해 시민들이 생각하는 자동차 배출가스의 대기오염 영향을 조사하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나타난 차량 요일제 도입시 참여 의사를 조사하여 실제 교통정책 도입 가능성 등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 해야겠다.

교통 미시 시뮬레이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raffic Micro-simulation Results)

  • 김규옥;신치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53-66
    • /
    • 2005
  •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델은 차량과 차량, 차량과 교통제어와의 개별차량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어 교통공학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미시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여 교통시스템을 분석 및 평가할 때 많은 고려요소가 있다. 이 요소들은 현장의 분석 대상지,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분석 시간, 평가 척도, 패러미터, OD 자료, 랜덤 넘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미시적 시뮬레이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CORSIM과 TRANSIMS 결과를 토대로 민감도 분석이 실시되었다. 휴스톤에 위치한 I-10과 US290, 샌안토니오에 위치한 I-37 고속도로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오전 첨두, 오후 첨두, 비첨두 시간이 분석되었고, 세 개의 OD 자료가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모델의 패러메터와 OD 자료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분석대상지와 분석 시간에 따라 민감도가 달라졌다

  • PDF

도시 가로망시설 운영효율평가를 위한 모의실험 모형개발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for Urban Network Performance Evaluation)

  • 하동익;오영태;정준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5-20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which is able to both analyze and the evaluate signlaized urban network and to verify its usefulnes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model which has alfeady been released. This simulation model adopts the General Motor's 5th model for car-following and introduces an unique lanechanging rule using acceptable gap. It analyzes single and dual-ring signal phases and generates detector information . So it could be applied to dynamic route guidance systems as wel as real time signal control systems. The results derived from Netsim and the observed data from the real network have been used to test the validit of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 of the test has shown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ETSIM model and the proposed model in estimating travel speed and stopped delay. In optimum offset estimatin , it has shown the same results with NETSIM.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 however, derived from this model is slightly better than that of the real network situation.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proposed model does not take into account side frictions from interferences and obstac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