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viability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7초

한국 여성의 질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항균효과 및 특성 규명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of Vaginal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Korean Women)

  • 김용경;강창호;신유진;백남수;소재성
    • KSBB Journal
    • /
    • 제30권5호
    • /
    • pp.239-244
    • /
    • 2015
  • Bacterial vaginosis (BV) is caused by microbial imbalance of the vaginal ecosystem and overgrowth of anaerobic bacteria. The antibiotic treatment often results in very high recurrence of BV because it disturbs the vaginal ecosystem. The high recurrence rates suggest a need for alternative therapeutic methods and probiotics are being recognized as alternative or additional treatment method for BV.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human vaginal isolates of Lactobacillus spp. inhibit the BV-associated pathogen Gardnerella vaginalis. Results show that selected strains significantly reduced the viability of G. vaginalis. Among these selected strains KLB410 and KLB416 were further selected based on acid/bile tolerance and identified through 16S rRNA gene sequencing being Lactobacillus plantarum. Further studies are underway to demonstrate that the selected strain can be applied as potential probiotics for recovering vaginal ecosystem.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Yogurt Using Ginseng Extract Powder and Probiotic Lactobacillus plantarum NK181

  • Jang, Hye Ji;Jung, Jieun;Yu, Hyung-Seok;Lee, Na-Kyoung;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160-1167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position, pH, titratable activity, microbi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effect of yogurt using ginseng extract powder (GEP), Lactobacillus plantarum NK181,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as the starter culture. Different concentration of GEP (0%, 0.5%, 1%, 1.5%, and 2% (w/v)) were used in the yogurt. During yogurt fermentation, pH was decreased; however,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were increased. The addition of GEP to yogurt led to a decrease in moisture content and an increase in the fat, ash, and total solids content. The antioxidant effect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beta}$-carotene bleaching,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 gradually increased with added GEP. Overall, yogurt fermented with 1% GEP was acceptable in terms of cell viability and antioxidant effect. These results might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development of ginseng dairy products with enhanced antioxidant activities and probiotic properties.

항균 효능이 있는 비타민 B1 유도체(Thiamine Dilauryl Sulfate:TDS)의 나노입자화를 통한 기능성 향장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the Cosmeceutical Activity by Nano-encapsulation of Thiamine Di-lauryl Sulfate (TDS) with antimicrobial efficacy)

  • 서용창;노라환;권희석;이현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5-213
    • /
    • 2013
  • 본 연구는 레시틴으로 나노입자화 시킨 티아민 디라우릴 설페이트의 향장활성 증진에 관한 것이다. TDS를 포집시킨 나노입자는 150 ~ 200 nm의 크기를 나타내는 구형이며, 또한 제타포텐셜을 측정하여 여러 pH 범위에서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TDS 나노입자는 인간 섬유아세포(CCD-986sk)에 높은 농도를 처리하여도 85%의 세포생존률을 보였다. 자유라디칼소거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나노입자화하지 않은 TDS 희석액(1.0 mg/mL)은 81.6%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나노입자화한 TDS 용액은 이보다 더 높은 88.1%의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 TDS 나노입자는 자외선을 조사시킨 CCD-986sk에서 MMP-1의 발현을 41.4% 감소시켰다. TDS 용액과 TDS 나노입자를 가지고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TDS 나노입자의 경우 양성대조군의 항균활성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TDS 나노입자가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효능같은 향장 소재로서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소아 영양 및 유아식 응용을 위한 신바이오틱스의 잠재력: 총설 (Potentials of Synbiotics for Pediatric Nutrition and Baby Food Applications: A Review)

  • 정후길;김선진;석민정;차현아;윤슬기;이나현;강경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11-118
    • /
    • 2015
  •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및 신바이오틱스 등의 물질과 미생물을 조제분유에 강화하여 건강증진 기능성 유산균, 특히 비피더스균과 유산간균의 성장을 선택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장내균총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모유 수유가 장내균총에 미치는 유용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서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를 함유하는 새로운 신바이오틱 조제분유가 제안되었다. 새로운 신바이오틱스는 상승 효과로 인해서 프로바이오틱스 및 프리바이오틱스를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조제분유 및 건조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가공 기술 및 저장 조건 등이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충분한 유산균수($10^8cfu/g$)로 장내 예정된 부위에 도달하여 숙주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식품 제조공정 및 위장관 통과 시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며, 높은 생물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물질을 이용하여 적절하고 비용 효율적인 마이크로캡슐화 기술이 개발되면 조제분유의 품질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하나는 살아 있는 생균체가 장내균총에 유익하게 영향을 미쳐 면역조절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사균체가 항-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다. 최근에, 사균체 또는 정제되지 않은 미생물 분획물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명확하게 정의할 새로운 용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결과, 충분한 양을 경구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했을 때 인간과 동물에게 이로운 작용을 하는 사균체(손상되지 않거나 또는 파손된)나 정제되지 않은 세포 추출물(즉, 복잡한 화학적 조성)을 정의하기 위해 paraprobiotics라는 용어가 제안되었다. 프로바이오틱 균주 또는 프리바이오틱스를 조제분유에 강화했을 때 조제분유 수유아의 분변 미생물균총이 조정된다. 즉, 비피더스균 및 유산간균과 같은 건강 유익한 세균을 증가 시킴으로써, 프리바이오틱스는 분변 미생물균총의 조성을 변경하고, 이에 따라서 면역계의 활성을 조절한다. 따라서, 품질 향상을 위한 조제분유의 개발은 토착 장내균총의 대사 활성과 증식을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비피더스균 등의 특정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눌린과 올리고당 등의 프리바이오틱스를 사용하여, 모유의 건강 유용 효과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PDF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내수피 추출물에 대한 화장품 소재로써의 항염 및 항균효과 (Study on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Effect of Pinus rigida Mill. inner Bark Extracts as a Cosmetic Material)

  • 장민정;김영훈;안봉전;이창언;이진태;김세현;이병근;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15-220
    • /
    • 2008
  • 최근 식물을 이용한 추출물이 화장품과 의약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목의 미활용 부위인 리기다소나무 내수피의 화장품소재로써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리기다소나무 내수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질산염 소거능, 항염효과, 항균효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아질산염 소거능 실험결과 100ppm에서 물가용부는 88.7%, EtOAc가용부는 99%로 대조군인 vitamin C와 유사한 소거작용을 나타내어 리기다소나무 내수피 추출물의 뛰어난 아질산염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료의 NO 저해활성이 세포독성으로 인한 cell population의 저하에서 기인하는 것인지 관찰하기위해 MTT assay를 통해 cell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이것을 토대로 NO 저해활성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의 배양액 중에 생성된 nitrite양을 griess시약을 사용하여 NO생성 저해를 측정하였다. 물가용부와 EtOAc가용부 모든 농도에서 12시간부터 24시간까지 NO생성을 저해하였으며, 물가용부는 100ppm의 낮은 농도에서 뛰어난 NO생성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항균효과 측정 실험에서 그람양성균인 S. aureus에 대하여 물가용부 3mg/disc에서 14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EtOAc가용부는 3mg/disc에서 15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효모인 C. albicans에 대해서는 EtOAc가용부 3mg/disc에서 15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S. epidermidis와 그람음성균인 E. coli에서는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리기다소나무 내수피 추출물의 항염 및 항균효과와 천연 소재로서 화장품 산업에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dium Butyrate 처리가 대장암 세포주인 HT29 Cell의 Sphingolipid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ium Butyrate on the Biosynthesis of Sphingolipids in HT29, a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 김희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0-168
    • /
    • 1999
  • Butyrate는 탄소사슬이 짧은 지방산 중 하나로 소화되지 않은 식이성 섬유의 혐기적 발효결과 포유동물의 위장관내에 millimolar 농도로 유지되며 대장의 상피세포에서 흡수되어 energy원으로 사용된다. 70%정도 confluent하게 자란 사람의 대장암세포주인 HT29 cell에 5mM sodium butyrate를 시간별로 처리하고 세포의 생존율, 암세포의 분화정도의 biomarker로 알려진 alkaline phosphatase 및 PLC-rl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으며 sphingolipid의 생합성 및 ceramidase 활성도 측정하였다. Sodium butyrate 처리는 성장중인 HT29 cell의 부착을 저해하여 처리 1일째부터 세포수가 감소하였고 형질막 효소인 alkaline phosphatase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PLC-${\gamma}$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복합 sphingolipid들의 생합성을 측정한 결과, 세포성장의 저해와 함께 sphingomyelin은 2일째부터 감소하였으며, galactosyl ceramide는 1일째부터 급속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ceramide의 경우, 1일째는 처리하기 전보다 680dpm/mg protein정도 증가하였으며 2일째에는 다시 급속히 감소하였다. 또한 butyrate처리에 의하여 HT29 cell의 acid ceramidase와 neutral ceramidase활성이 저해됨을 관찰하였는데 그 결과 ceramide함량이 초기에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결과들로부터 HT29 cell의 sodium butyrate처리는 세포분화 또는 세포성장저해를 가져오는데 이와 함께 초기의 ceramide함량 및 alkaline phosphatase활성의 증가와 galactosylceramide함량 및 LC-rl 발현의 감소현상이 동반됨을 알 수 있다.

  • PDF

Propofol protects human keratinocytes from oxidative stress via autophagy expression

  • Yoon, Ji-Young;Jeon, Hyun-Ook;Kim, Eun-Jung;Kim, Cheul-Hong;Yoon, Ji-Uk;Park, Bong-Soo;Yu, Su-Bin;Kwak, Jin-Wo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21-28
    • /
    • 2017
  • Background: The skin consists of tightly connected keratinocytes, and prevents extensive water loss while simultaneously protecting against the entry of microbial pathogens. Excessive cellular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can induce cell apoptosis and also damage skin integrity. Propofol (2,6-diisopropylphenol) has antioxidant proper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propofol influences intracellular autophagy and apoptotic cell death induced by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s. Method: The following groups were used for experimentation: control, cells were incubated under normoxia (5% $CO_2$, 21% $O_2$, and 74% $N_2$) without propofol; hydrogen peroxide ($H_2O_2$), cells were exposed to $H_2O_2$ ($300{\mu}M$) for 2 h; propofol preconditioning (PPC)/$H_2O_2$, cells pretreated with propofol ($100{\mu}M$) for 2 h were exposed to $H_2O_2$; and 3-methyladenine $(3-MA)/PPC/H_2O_2$, cells pretreated with 3-MA (1 mM) for 1 h and propofol were exposed to $H_2O_2$. Cell viability, apoptosis, and migration capability were evaluated. Relation to autophagy was detec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Cell viabil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H_2O_2$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group and was improved by propofol preconditioning. Propofol preconditioning effectively decreased $H_2O_2$-induced cell apoptosis and increased cell migration. However, pretreatment with 3-MA inhibited the protective effect of propofol on cell apoptosis. Autophagy was activated in the $PPC/H_2O_2$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H_2O_2$ group as demonstr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autophagosome staining.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ropofol preconditioning induces an endogenous cellular protective effect in human keratinocytes against oxidative stress through the activation of signaling pathways related to autophagy.

Development of a Biofungicide Using a Mycoparasitic Fungus Simplicillium lamellicola BCP and Its Control Efficacy against Gray Mold Diseases of Tomato and Ginseng

  • Shin, Teak Soo;Yu, Nan Hee;Lee, Jaeho;Choi, Gyung Ja;Kim, Jin-Cheol;Shin, Chul 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3호
    • /
    • pp.337-344
    • /
    • 2017
  • To develop a commercial product using the mycoparasitic fungus Simplicillium lamellicola BCP, the scale-up of conidia production from a 5-l jar to a 5,000-l pilot bioreactor, optimization of the freeze-drying of the fermentation broth, and preparation of a wettable powder-type formulation were performed. Then, its disease control efficacy was evaluated against gray mold diseases of tomato and ginseng plants in field conditions. The final conidial yields of S. lamellicola BCP were $3.3{\times}10^9conidia/ml$ for a 5-l jar, $3.5{\times}10^9conidia/ml$ for a 500-l pilot vessel, and $3.1{\times}10^9conidia/ml$ for a 5,000-l pilot bioreactor. The conidial yield in the 5,000-l pilot bioreactor was comparable to that in the 5-l jar and 500-l pilot vessel.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conidial viability of 86% was obtained by the freeze-drying method using an additive combination of lactose, trehalose, soybean meal, and glycerin. Using the freeze-dried sample, a wettable powder-type formulation (active ingredient 10%; BCP-WP10) was prepared. A conidial viability of more than 50% was maintained in BCP-WP10 until 22 weeks for storage at $40^{\circ}C$. BCP-WP10 effectively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gray mold disease on tomato with control efficacies of 64.7% and 82.6% at 500- and 250-fold dilutions, respectively. It also reduced the incidence of gray mold on ginseng by 65.6% and 81.3% at 500- and 250-fold dilutions,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w microbial fungicide BCP-WP10 can be used widely to control gray mold diseases of various crops including tomato and ginseng.

식염용액에서 휴지(休止) 미생물 세포의 사멸 (Death of Non-growing Microbial Cells in Saline)

  • 강영미;경규항;박세원;유양자;김연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60-664
    • /
    • 1998
  • 식염용액에서 휴지미생물(non-growing microorganisms)의 사멸현상과 식염용액에서 미생물의 보호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물질의 작용을 시험하였다. L. mesenteroides LA10, S. aureus B3l와 E. coli B34를 완충용액으로 제조한 0, 10, 20, 30%의 식염용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각각 pH 6, 7, 5 부근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이 pH로부터 산성 또는 염기성쪽으로 변화시키거나 식염농도가 증가할 수록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젖산균 5종과 일반세균 9종 및 효모 2종의 균주를 pH 5, 6, 7로 조절한 10% 식염용액에서 실험해 본 결과 식염에 내성이 강한 pH는 미생물마다 달라 이는 균주의 특성에 속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그람양성균이 그람음성균에 비해 식염내성이 높았으며 그람양성균 중에서도 젖산균이 식염에 대한 내성이 두드러지게 컸고 일반세균에서는 S. aureus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식염농도의 영향은 물론 pH가 식염용액에서 미생물의 사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염의 미생물 생육저해작용으로부터 미생물을 보호한다고 알려진 물질들의 보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광펄스 처리에 의한 파프리카의 이화학적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prika by Intense Pulsed Light Treatment)

  • 홍희정;김애진;박희란;신정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39-344
    • /
    • 2013
  • 광펄스 처리는 식품의 표면에 오염되어 있는 미생물을 사멸시켜 식품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가열 살균 기술이지만 신선식품에 대한 미생물 사멸이나 이화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실험은 광펄스 처리가 파프리카의 미생물 감균효과와 이화학적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파프리카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1000 V, 5 pps로 10분간 광펄스 처리 후 약 90%정도의 사멸 효과를 보였으며, 미생물 감소효과는 파프리카의 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수분함량도 광펄스 처리 후에 모든 시료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당도는 붉은색 파프리카를 제외하고 다른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는 광펄스 처리 후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폴리페놀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차이는 미미하였다. 비타민 C의 함량은 노란색과 붉은색 파프리카에서 광펄스 처리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광펄스 처리 후 색의 변화를 보면 붉은 색 파프리카의 경우에는 L, a, b값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주황색 파프리카는 모두 감소하였고, 노란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광펄스 기술에 의한 파프리카의 처리는 품질의 변화를 크게 일으키지는 않으면서 파프리카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사멸하는 효과를 보여 향후 파프리카의 유통이나 저장에 있어 파프리카의 살균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