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survival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초

자발적 균열치유작용 최적화를 위한 미생물군 분리 및 균열치유작용 검증 (Isolation of Microorganisms for Optimization of Autonomous Crack Healing and Verification of Crack Healing)

  • 이병재;유연준;이효섭;양주경;이윤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03-108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자발적 균열 치유 콘크리트에 적용할 수 있는 미생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실험에서는 생체광물 형성 미생물을 시료에서 분리하고 시멘트 내부 생존 및 탄산칼슘 석출량을 비교하여 적합한 미생물자원을 확보하였다. 시료에서 내생포자(endospore)를 형성하는 Bacillus 계열의 박테리아를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 분석법으로 동정한 6종의 미생물이 생성하는 탄산칼슘 석출량을 비교하였다. 탄산칼슘 석출량이 가장 많은 Bacillus velezensis와 Bacillus subtilis의 2종의 미생물을 선별하였고, 모르타르에 첨가 후 양생하여 위상차 현미경 관찰을 통해 미생물의 생존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르타르에 인위적 균열을 발생시켜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균열치유물질에 의한 자발적 균열 치유 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병원성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9-3의 건조 및 저장의 과정에서 생존에 미치는 염 효과 (High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Increases on Survival of Non-pathogenic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9-3 during Drying and Storage)

  • 박경수;김건주;신윤주;김식;차재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8-374
    • /
    • 2008
  • 길항력이 있는 그람음성균들의 생물적 방제제로 성공적인 개발은 균의 건조와 저장시의 낮은 생존을 때문에 건조제형으로 만드는 것은 제한되어있다. 그람음성균의 배양시 높은 염(NaCl)의 첨가는 삼투압 조절제인 osmolyte의 생성을 유도하여 건조 시 생존율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람음성의 길항력을 내는 비병원성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Ecc) 9-3의 건조와 저장시의 염의 영향에 관해 연구하였다. Ecc 9-3의 생장률은 0.5 M의 염이 첨가되어 있는 배지에서 큰 차이가 없었지만 0.7 M의 염이 첨가된 배지에서는 급격하게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건조와 저장시의 생존율은 0.5 M의 염을 넣은 배지가 염을 넣지 않은 배지보다 상온건조와 동결건조에서 각각 2배 그리고 3배의 높은 생존율을 얻었다. 건조 후 저장에서도 역시 염이 높을수록 Ecc 9-3의 생존율이 더 높았다. 그리고 상온건조와 동결건조 모두 $4^{\circ}C$에 저장하였을 때 생존율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생존율은 $27^{\circ}C$, $37^{\circ}C$에 저장하였을 때 염의 농도가 높을수록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첨가제 실험에서는 lactose가 동결건조와 상온건조 모두에 영향을 주었고 dextrin은 상온건조에 큰 영향을 주었다.

잠재적 사료첨가제로서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의 생균제 특성 및 면역활성 효과 (Probiotic Properties and Immunomodulator Evaluation of the Potential Feed Additive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

  • 신수진;하광수;정수지;류명선;김진원;양희종;곽미선;성문희;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96-90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가축의 면역증강용 생균제 개발을 위하여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및 면역활성을 조사하였다.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유산균을 분리 하였고, 분리 유산균을 대상으로 가축유해 미생물 5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5종의 유산균을 1차 선별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생균제 소재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용혈성, 담즙산염 분해효소, 항산화 활성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SRCM102607을 선별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로 명명하였다. SRCM102607의 pH 2 조건에서 내산성은 1.54×105 CFU/ml의 생균수를 보였으며, 0.5% 이상의 oxgall이 포함된 조건에서도 105 CFU/ml 이상의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선발균주의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항생제 내성 및 분해 효소능을 측정하였고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과 유해 효소를 생성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면역 증강제로서의 활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TNF-α 생성능(171.86±4.00 ng/ml)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SRCM102607은 가축 생균제 소재로 활용 가능성과 면역활성이 뛰어난 유산균으로 생균제 산업에서의 잠재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팽이버섯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온도별 생존과 유기산에 의한 저감화 (Growth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Enoki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Antilisterial Effect of Organic Acids)

  • 김세리;김원일;윤재현;정도영;최송이;황인준;나겐드란 라잘링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30-636
    • /
    • 2020
  • 본 연구는 수출 팽이버섯에서 L. monocytogenes가 검출되어 리콜 됨에 따라 팽이버섯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통 온도에 따른 팽이버섯 중 L. monocytogenes의 생존을 조사하고 유기산을 이용한 팽이버섯 중 L. monocytogenes의 저감화 기술을 개발하였다. 저장 온도에 따른 팽이버섯 중 L. monocytogenes의 생존을 조사하기 위하여 L. monocytogenes가 오염된 팽이버섯(초기 농도 4.5 Log CFU/g)을 1-35℃에 각각 저장하고 균수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팽이버섯을 1℃에 저장하였을 때 L. monocytogenes는 1개월 내에 증식하지 않았고 30℃, 35℃에서는 각각 36시간, 24시간이내에 3.0 log CFU/g 증가하였다. 팽이버섯 중 L. monocytogenes의 저감화를 위하여 1-3% 유기산 3종 (초산, 젖산, 말산)에 10-30분 동안 처리하였을 때 팽이버섯 중 L. monocytogenes는 초산보다는 말산, 젖산의 저감효과가 높았고 젖산과 말산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감효과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젖산과 말산을 10분 이상 처리하면 약 3.0 log CFU/g이상 감소하였다. 따라서 팽이버섯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출할 때는 1℃ 내외의 저온을 유지하고 소비단계에서는 3% 젖산과 말산에서 10분 정도 처리 후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생물 유전체의 in silico분석에 의한 보존적 유전자 탐색 (Investigation of Conserved Gene in Microbial Genomes using in silico Analysis)

  • 강호영;신창진;강병철;박준형;신동훈;최정현;조환규;차재호;이동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610-621
    • /
    • 2002
  • 미생물 유전체(genome)들 사이의 보존된 유전자 (con-served gene)를 밝히는 것은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있어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존적 유전자를 찾아내고, distance value를 이용하여 구한 보존성의 정도 C(conservation score)를 이용하여 종간의 유전자 변이의 정도를 단백질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COGs 데이티베이스의 총 43종의 미생물 유전체들이며, 이들은 총 n,009개의 유전자들을 포함하는 3,852 개의 ortholog들로 구성되어있었다. 분석 결과 43종의 미생물 유전체에 대하여 총 $\ulcorner$2개의 유전자들이 보존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72.2%인 52종의 유전자가 단백질 합성에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보존적 유전자들에 대하여 보존성의 정도 C를 계산하여 보존성의 순위를 얻었으며, 가장 잘 보존된 유전자는 CTPase-trans-lation elogation factor (COG0050)로 나타났다. 그리고 72개의 보존적 유전자가 나타내는 CU 모두를 이용한 분석결과 고세균(archaea)과 진정세균(bacteria)이 각각 독자적인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한 72개의 보존적 유전자는 생명체의 본질적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사료되었고, 생명체의 진화 과정에서 이 유전자들이 보존된 이유와 기능적 연계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oculated on Chicken by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 Hong, Yun-Hee;Ku, Kyoung-Ju;Kim, Min-Ki;Won, Mi-Sun;Chung, Kyung-Sook;Song, Kyung-B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742-745
    • /
    • 2008
  •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was evaluated on inoculated chicken by aqueous chlorine dioxide ($CIO_2$) treatment. Chicken samples were inoculated with 6-7 log CFU/g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respectively. The chicken samples were then treated with 0, 50, and 100 ppm of $CIO_2$ solution and stored at $4{\pm}1^{\circ}C$. Aqueous $CIO_2$ treatment decreased the populations of the pathogenic bacteria on the chicken breast and drumstick. In particular, 100 ppm $CIO_2$ treatment on the chicken breast and drumstick reduced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by 1.00-1.27 and 1.37-1.44 log CFU/g, respectively. Aqueous $CIO_2$ treatment on the growth of the bacteria was continuously in effect during storage,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s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queous $CIO_2$ treatment should be useful in improving the microbial safety of chicken during storage.

미생물을 이용한 다용도 고형 탈취제의 개발

  • 김유진;이은정;전미욱;김초희;박성훈;이은열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13-51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각종 유기성 폐수, 생활하수, 분뇨 등의 악취제거를 생물학적 방법으로 처리하기 위한 효율적 고형 미생물 탈취제의 개발을 위해 악취분해 및 유기물 분해 활성이 우수한 유용 미생물들을 선발하고, 안정적이며 경제성 있는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농화배양을 통해 유용 광합성 미생물 및 각종 악취환경의 물리 화학적 성상에 부합하는 활성 미생물들을 탐색, 확 보하였다. 또한 미생물의 고농도 배양, 세포의 회수공정, 미량 영양원 및 미생물 안정화제의 첨가, 특히 체제의 재활성화 측면에서 미생물들의 장기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미생물 전달매체 및 제형화제의 선별과 제형화 기법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 PDF

Monitoring of Microorganisms Added into Oil-Contaminated Microenvironments by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 JUNG SEONG-YOUNG;LEE JUNG-HYUN;CHAI YOUNG-GYU;KIM SANG-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1170-1177
    • /
    • 2005
  •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was used to monitor inoculated oil-degrading microorganisms during bioremedial treatability tests. A pair of universal primers, fluorescently labeled 521F and 1392R, was employed to amplify small subunit rDNA in order to simultaneously detect two bacterial strains, Corynebacterium sp. IC10 and Sphingomonas sp. KH3-2, and a yeast strain, Yarrowia lipolytica 180. Digestion of the 5'-end fluorescence/labeled PCR products with HhaI produced specific terminal-restriction fragments (T-RFs) of 185 and 442 bases, corresponding to Corynebacterium sp. IC10 and Y. lipolytica 180, respectively. The enzyme NruI produced a specific T-RF of 338 bases for Sphingomonas sp. KH3-2. The detection limit for oildegrading microorganisms that were inoculated into natural environments was determined to be $0.01\%$ of the total microbial count, regardless of the background environment. When three oil-degrading microorganisms were released into oil-contaminated sand microenvironments, strains IC10 and 180 survived for 35 days after inoculation, whereas strain KH3-2 was detected at 8 days, but not at 35 days. This result implies that T-RFLP could be a useful tool for monitoring the survival and relative abundance of specific microbial strains inoculated into contaminated environments.

Association between oropharyngeal microbiome and weight gain in piglets during pre and post weaning life

  • Bugenyi, Andrew Wange;Cho, Ho-Seong;Heo, Jae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2호
    • /
    • pp.247-262
    • /
    • 2020
  • Birth weight and subsequent weight gain is of critical importance in the survival and performance of piglets on a commercial swine farm setting. Oropharyngeal microbiome could influence immunity, and feeding behavior thus impacting health and weight gain. We used 16S rRNA gene sequencing to profile the composition and predicted metabolic functionality of the oropharyngeal microbiota in 8 piglets (4 with a birthweight ≤ 1.0 kg and 4 with a birthweight ≥ 1.7 kg) at 11, 26, and 63 days of age. We found 9 genera tha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verage daily gain (ADG) at 11 days (false discovery rate, FDR < 0.05) and 26 days of age (FDR < 0.1), respectively. The microbial functional profile revealed several pathways associated with ADG (FDR < 0.05). Among these, pathways related to degradation of catechols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ADG at 11, 26, and 63 days of age, implying a potential to breakdown the host-derived catecholamines. We also noted that pathways related to the biodegradation of nucleosides and nucleotides increased with ADG during the pre-weaning phase, while those involved in their biosynthesis decreased. Our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the oropharyngeal microbial memberships and metabolic pathways that are involved in a piglet's weight gain. Thus, providing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aimed at improving weight gain in pigs.

환경·생태학적 기법을 이용한 혼합폐수 처리장의 생물학적 처리공정 내의 미생물 군집 특성 분석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of Mix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using Environmental·Ecological Technique)

  • 손형식;이상준;손희종
    • KSBB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80-85
    • /
    • 2013
  •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a biological reactor fed influent from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as investigat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d in situ hybridization. Sludges were collected from three biological reactors (aerobic, oxic, and anoxic tanks) at the M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WTF). The influent of the MWTF consisted of mixed tannery wastewater (40~65%) and seafood wastewater (35~60%). The treatment processes resulted in a removal efficiency for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of 83.6~98.2% and 72.8~84.6%, respectively for tannery wastewater than for seafood wastewater resulted in greater survival of biomass in the biological reactors and a higher removal of BOD, COD, and T-N of about 8~18%. In contrast, addition of greater amounts of seafood wastewater decreased the amount of biomass in the bioreactors due to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hromium from that wastewater and it also. The dominant bacterial species during the high seafood wastewater input period were Burkholderia cepacia (JX901049) and an uncultured bacterium (JF247555), while Pseudomonas geniculata (HQ256559) was dominant during the high tannery wastewater input period. Flavobacteriumsp. BF.107 (FM173271) and Hyphomicrobium zavarzinii (Y14306) were dominant under anoxic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