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 solid phase extraction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1초

차잎의 초기 성장 시기 동안 lipoxygenase 활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in Lipoxygenase Activity and Volatile Compounds of Fresh Tea Leaves During Early Growing Season)

  • 김현정;류성권;노진철;이상준;박승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23-27
    • /
    • 2003
  • Lipoxygenase는 녹차의 전체적인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신선하고 풋풋한 풀 향기(green odor)" 향기특성을 가지는 $C_6-alcoho$$C_6-aldehyde$$C_6$화합물을 생성시키는데 관여하는 효소로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차잎의 초기 성장기간인 4뭘 4에서 15일까지 12일 동안에 매일 채엽한 녹차잎의 lipoxygenase 활성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C_6$화합물 및 terpene 등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수확 날짜에 따른 효소 활성과 녹차잎의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효소활성의 측정은 linoleic acid를 기질로 한 흡광도 측정방법을 사용하였고, 휘발성 향기성분은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방법으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포집한 후에 GC또는 GC-MS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초기 녹차 잎 성장기간 동안 lipoxygenase 활성과 $C_6$화합물의 함량은 서로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당일의 온도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향기성분의 양도 증가하였으며, 너무 이른 시기에 채엽한 시료는 향기 성분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신선한 풀향기"와 "향긋한 꽃향기 (floral)" 등 녹차향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향 화합물들이 녹차의 초기 채엽기간 중에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서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향기품질이 우수한 녹차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생엽 성장 기간동안의 향기성분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HS-SPME-GC/MS에 의한 지표수에서 ng/L 농도 수준의 37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동시 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37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ng/L concentration level in surface water by HS-SPME-GC/MS)

  • 김태승;홍석영;김종은;임현희;신호상
    • 분석과학
    • /
    • 제25권1호
    • /
    • pp.39-49
    • /
    • 2012
  • HS-SPME GC-MS에 의한 지표수 중에 37개 휘발성유기물질을 동시에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물 중 휘발성유기물질을 헤드스페이스 vial에서 $40 ^{\circ}C$에서 30분간 가열 85 ${\mu}m$ carboxen-polydimethylsiloxane에 흡착시키는 방법이다. 4.0 mL의 물 시료를 사용하여 확립한 조건하에서 정량한계는 4.1-96 ng/L의 범위를 나타냈고 이러한 검출한계는 US EPA 또는 독일에서 확립한 준거치의 1/10 이하 값을 만족시켰으며 0.05 ${\mu}g/L$와 0.50 ${\mu}g/L$의 농도에서 정밀도는 15% 이내를 보였다. 이 정량한계는 준거치를 결정하기 위한 조사연구에서 요구하는 최소 감도이다. 확립한 방법을 사용하여 금강물 16개 시료를 분석한 결과 16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측정값은 US EPA 또는 독일에서 확립한 준거치 이하의 값을 보였다.

다공성 전분의 향포접 효율과 이를 활용한 생면의 관능적 특성 (Flavor Entrapment Effect of Porous Starch and Sensory Characteristic of Boiled Instant Noodles Using Flavor-entrapped Porous Starch)

  • 김혜연;이규희;강현아;신명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58-662
    • /
    • 2007
  • 다공성 전분에 향을 포접 시켜 가열에 의해서도 향이 빠져나오지 않지만 입안에서 기계적 작용에 의해 향이 배출되면서 현재 생면에서 나는 밀가루 냄새를 은폐시켜 줄 수 있는 생면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공성 전분을 제조하였다.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공성 전분의 평균 수율은 IT $170^{\circ}C$, ET $90^{\circ}C$, FR 50 mL/min의 조건에서 82%로 가장 높았으며, IT $180^{\circ}C$, ET $100^{\circ}C$, FR 70 mL/min에서 45.2로 가장 낮았다. 제조된 다공성 전분에 깻잎향을 추출하여 포접시킨 후 효율을 SPME-GC를 이용하여 깻잎향 중 가장 비율이 높은 perilla ketone의 양을 비교하였을 때 IT $200^{\circ}C$, ET $100^{\circ}C$, FR 50 mL/min에서 제조된 다공성 전분이 포접 효율이 68%로 나타났다.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로는 IT $200^{\circ}C$, ET $100^{\circ}C$, FR 50 mL/min으로 제조된 다공성 전분을 첨가시킨 우동면의 깻잎향과 기호도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내며 높게 나타났고 밀가루 맛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장 깻잎향 포접효율이 높으며 소비자 기호도도 높일 수 있는 다공성 전분은 IT $200^{\circ}C$, ET $100^{\circ}C$, FD 50 mL/min의 조건으로 제조된 것이다.

Transfer of Orally Administered Terpenes in Goat Milk and Cheese

  • Poulopoulou, I.;Zoidis, E.;Massouras, T.;Hadjigeorgiou, Ioanni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0호
    • /
    • pp.1411-1418
    • /
    • 2012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rpenes… intake and their presence in animal tissues (blood and milk) as well as in the final product (cheese). Eight dairy goats were divided in two balanced groups, representing control (C) and treatment (T) group. In T group oral administration of a mixture of terpenes (${\alpha}$-pinene, limonene and ${\beta}$-caryophyllene) was applied over a period of 18 d. Cheese was produced, from C and T groups separately, on three time points, twice during the period of terpenes… oral administration and once after the end of experiment. Terpenes were identified in blood by extraction using petroleum ether and in milk and cheese by the use of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method, followed by GC-MS analysis. Chemical properties of the milk and the produced cheeses were analyzed and found not differing between the two groups. Limonene and ${\alpha}$-pinene were found in all blood and milk samples of the T group after a lag-phase of 3 d, while ${\beta}$-caryophyllene was determined only in few milk samples. Moreover, none of the terpenes were traced in blood and milk of C animals. In cheese, terpenes' concentrations presented a more complicated pattern implying that terpenes may not be reliable feed tracers. We concluded that monoterpenes can be regarded as potential feed tracers for authentification of goat milk, bu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factors affecting their transfer.

고체상미세추출법(SPME)을 이용한 피혁 재질로부터 발생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석기술 연구 (The Analysis on VOCs That Occurs in Leather Cultural Heritage with SPME)

  • 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3-118
    • /
    • 2012
  • 문화재는 화학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 등 각종 열화 인자에 의해 재질이 열화되면서 각각 특유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방출해내며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 존재하고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유물의 열화 인자로 작용한다. 하지만 다수의 분석법 중에 비파괴적인 분석법은 흔치 않으며 기기 사용의 어려움으로 현장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피혁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비파괴적이고 조작이 간편한 고체상미세추출법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체상미세추출법 중 이동형 홀더(field holder)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국가기록원에 보관 중인 행정박물 중 피혁으로 이루어진 유물을 선정하여 고체상미세추출법의 현장적용을 실시, 비교 분석함으로써 피혁재질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여 주변 공기에 방출시키는 (E)-2-nonenal, butyl hydroxy toluene 등의 화합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코와 GC/MS를 이용한 포도 품종별 저장 조건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 연구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of 4 Grape Species by Storage Conditions)

  • 이윤정;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74-880
    • /
    • 2007
  • 품종에 따른 포도를 이용하여 3일 동안 $4^{\circ}C$와 실온에 각각 저장함에 따라 변화하는 전체적인 향의 패턴을 전자코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SPME-GC/MS 분석 결과를 통하여 휘발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대표적인 포도의 주요 휘발 성분은 alcohols, esters, acids, terpenes 등으로 GC/MS 분석 결과 butanoic acid/ethyl ester와 1-hexanol, hexanoic acid/ethyl ester, phenylethyl alcohol 등이 주요 성분으로 동정되었다. 캠벨은 다른 품종에 비해 다양한 휘발 성분이 동정되었고 레드글로브와 머루 품종에서는 1-hexanol, 2-decene, 8-methyl-(z)/1-dodecanol 등을 제외한 나머지 휘발 성분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 분석결과 $4^{\circ}C$와 실온 저장한 시료의 제 1주성분 값의 기여율은 각각 99.30, 99.36%로 품종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였다. $4^{\circ}C$ 저장 시 저장 기간에 따른 제 1주성분 값의 변화 범위는 실온에서 저장한 것에 비해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paration and recovery of semi-volatile substances of Cnidii Rhizoma, Aucklandiae Radix and Amomum Fructus by reduced pressure collections and GC-MS

  • Lee, In-Ho;Byun, Chang Kyu;Eum, Chul Hun;Kim, Taewook;Lee, Sam-Keun
    • 분석과학
    • /
    • 제33권1호
    • /
    • pp.11-22
    • /
    • 2020
  • When extracting semi-volatile components of herbal medicines using hot water vapor, some substances may react with water vapor or oxygen, and some volatile substances may be lost, when using an organic solvent extraction method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may contain a non-volatile material and residual organic solvent. In addition, it is inefficient to separate semi-volatile substances from herbal medicines into each single component and conduct biological activity research for each component to determine the effective ingredient, and some components may be lost in the separation process. In this study, semi-volatile substances evaporated under two pressure-reduced conditions in Chinese herbal medicines such as Cnidii Rhizoma, Aucklandiae Radix and Amomum Fructus were separated by cooling with liquid nitrogen. Those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o identify the components, and this method may be used to study biological activities at the cellular level. The substances separated under reduced pressure, essential oil obtain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SDE) method and substances by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from Cnidii Rhizoma, Aucklandiae Radix and Amomum Fructus were analyzed by GC-MS. In the case of Cnidii Rhizoma and Aucklandiae Radix,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essential oil components obtained by SDE and those identified by low temperature capture (CT) and SPME method, these were believed to be produced by some volatiles reacting with water or oxygen at the boiling point temperature of water.

Development of Analytical Technology Using the HS-SPME-GC/FID for Monitoring Aromatic Solvents in Urine

  • Lee, Mi-Young;Chung, Yun Kyung;Shin, Kyong-Sok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4권1호
    • /
    • pp.18-20
    • /
    • 2013
  •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ion (HS-SPME-GC/FID) method was compared with headspace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ion (HS-GC/MS). Organic solvent-spiked urine as well as urine samples from workspace was analyzed under optimal condition of each method. Detection limit of each compound by HS-SPME-GC/FID was $3.4-9.5{\mu}g/L$, which enabled trace analysis of organic solvents in urine. Linear range of each organic solvent was $10-400{\mu}g/L$, with fair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0.992 and 0.999. The detection sensitivity was 4 times better than HS-GC/MS in selected ion monitoring (SIM) mode. Accuracy and precision was confirmed using commercial reference material, with accuracy around 90% and precision less than 4.6% of coefficient of variance. Among 48 urine samples from workplace, toluene was detected from 45 samples in the range of $20-324{\mu}g/L$, but no other solvents were found. As a method for trace analysis, SPME HS GC/FID showed high sensitivity for biological monitoring of organic solvent in urine.

Tobacco Growth Promotion by the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javanica pf185

  • Lee, Yong-Seong;Kim, Young Cheol
    • Mycobiology
    • /
    • 제47권1호
    • /
    • pp.126-133
    • /
    • 2019
  • Isaria javanica pf185 is an important entomopathogenic fungus with potential for use as an agricultural biocontrol agent. However, the effect of I. javanica pf185 on plant growth is unknown. Enhanced tobacco growth was observed when tobacco roots were exposed to spores, cultures, and fungal cell-free culture supernatants of this fungus. Tobacco seedlings were also exposed to the volatiles of I. javanica pf185 in vitro using I-plates in which the plant and fungus were growing in separate compartments connected only by air space. The length and weight of seedlings, content of leaf chlorophyll, and number of root branch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fungal volatiles. Heptane, 3-hexanone, 2,4-dimethylhexane, and 2-nonanone were detected,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photometry, as the key volatile compounds produced by I. javanica pf185. These findings illustrate that I. javanica pf185 can be used to promote plant growth, and also as a biocontrol agent of insect and plant disease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lucidate the mechanisms by which I. javanica pf185 promotes plant growth.

추출방법에 따른 제주산 애플망고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Jeju Apple Mango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안미란;금영수;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75-783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제주산 애플망고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추출법으로 SE법, SDE법 및 SPME법을 이용하여 제주산 애플망고 시료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 분석하여 효율적인 추출방법에 대해 비교하였다. 제주산 망고의 조단백질이 $0.22{\pm}0.01$, 조지방 $0.09{\pm}0.00$, 회분이 $0.27{\pm}0.02%$였으며, 유리당 함량은 sucrose, fructose, glucose의 순으로 높았고 maltose, lactose, galac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추출법을 달리하여 SE법, SDE법 및 SPME법에서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각각 51종, 59종 및 71종이었으며, 추출된 망고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각 방법에 따라 11.44%, 15.68% 및 73.54%가 추출되었고 확인된 화합물의 종류 및 추출량에서 SPME법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는 테르펜류와 그 유도체가 44.49~94.57%로 확인되어 망고의 향기성분을 판단하는 중요한 화합물의 조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 관능기별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망고의 주 향기성분인 ${\delta}$-3-carene의 경우 각 추출방법에서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alpha}$-phellandrene, ${\gamma}$-terpinene, trans-${\beta}$-ocimene, ${\alpha}$-terpinolene, limonene, ${\alpha}$-pinene, furaneol 등은 망고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SPME법으로 추출 시에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