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obacterium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8초

지베렐린산 생산을 위한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의 최적 배양조건 확립 (Optimization of gibberellic acid production by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 ;;한광현;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22-527
    • /
    • 2010
  • 지베렐린산은 곰팡이 및 세균으로부터 생산되는 주요 식물생장촉진물질이며 다양한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을 이용하여 GA3를 생산하기 위해 탄소원 및 질소원을 선발하였으며, 선발된 탄소원 및 질소원의 최적 농도와 최적 비율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는 Na-succinate가 methanol, glucose, maltose, sucrose, fructose, lactose에 비해 가장 우수하였으며, 질소원으로는 $NH_4Cl$$NO_3$, $NaNO_3$, glycine 등에 비해 우수하였다. 배양액에서 Nasuccinate와 $NH_4Cl$를 각각 5 및 0.4 g $L^{-1}$ 농도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 $CA_3$의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ammonium mineral salt 배지의 pH를 7로 유지하고 $30^{\circ}C$의 조건으로 96시간 배양하였을 때 $CA_3$의 생산이 최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홍색 색소를 형성하는 methylotrophic acteria(PPFMs): 최근 경향소개 (Pink Pigmented Facultative Methylotrophic Bacteria(PPFMs): Introduction to Current Concepts)

  • ;사동민;김재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6-287
    • /
    • 2004
  • 식물체에 해를 끼치지 않고 식물체와 공생하는 박테리아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 시키며 친환경적 식물 보호제 역할을 함으로서 높은 관심을 받아왔다. Methylobacterium spp.로 분리된 분홍색 색소를 형성하는 methylotrophic bacteria (PPFMS)는 식물의 잎 표면에 서식한다. 거의 모든 식물체의 잎에는 PPFMS를 가지고있으며, Methylobacterium의 특별한 특성을 가진 이들은 탄소와 에너지원으로 잎의 methanol를 이용한다. 비록 이들 박테리아들은 잘 알려 지지 않았지만. 그들은 식물 대사 작용에 영향을 주면서 함께 진화되어 왔다. 이 주장은 다음의 예로 보인 관찰로서 뒷받침 한다. (1) PPFMS는 씨 안에서 발견되고 (2) PPFMS는 자주 무균 세포 배양에서 발견되고 (3) 적은 수의 PPFMS를 지닌 종자는 낮은 발아율을 보였고, (4) 감소된 PPFMS를 가진 식물들은 낮은 줄기/뿌리 비율을 보이고, (5) 콩깍지 형성 시기에 콩잎에 PPFMS의 엽면처리는 종자 수와 생산량을 높이며, (6) 우산이끼를 배양하는데 있어서 PPFM에 의해 생성된 비타민 Rl2는 우산이끼의 생장을 위해 필요하고 (7) 벼에 있어서 Rhizoctonia solani에 인해 나타나는 엽초마름병의 발병률은 PPFMS를 처리한 벼에서 억제되거나 감소되었고, 그리고 (8) PPFM의 종은 기공과 엽록소의 농도, malic acid의 함량을 증가시켜 식물의 광합성 능을 증가시켰다. Methylobacterium spp.은 식물체의 잔사를 이용하거나 식물체에 유용한 대사산물을 생산함으로써 식물의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공생자이다. 박테리아와 식물체간의 이로운 상호작용에 관해 알려진 많은 보고서들이 있다. 식물체의 수분장애 완화, 광합성호르몬 생산, 그리고 질소고정과 같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박테리아 종과 같은 선발은 성공적으로 분리 해낼 수 있었고, 작물생산에 있어서 이 같은 미생물의 처리는 생산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EPS Production, PHB Accumulation and Abiotic Stress Endurance of Plant Growth Promoting Methylobacterium Strains Grown in a High Carbon Concentration

  • Woo, Sung-Man;Subramanian, Parthiban;Ramasamy, Krishnamoorthy;Joe, M. Melvin;Sa, Tong-M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72-581
    • /
    • 2012
  • In this study, we compared growth pattern, floc yield, Exo-polysaccharides (EPS) production, Poly-${\beta}$-hydroxybutyrate (PHB) accumulation, resistance to osmotic and acid stress in Methylobacterium strains CBMB20, CBMB27, CBMB35, and CBMB110. Modified high C:N ratio medium denoted as HCN-AMS medium was used with a C:N ratio of 30:1. The HCN-AMS medium favored increased growth in all the studied strains. All Methylobacterium strains tested positive for EPS production and showed positive fluorescence with calcoflour stain. Elevated levels of EPS production from 4.2 to 75.0% was observed in HCN-AMS medium. Accumulation of PHB in HCN-AMS medium increased by 3.8, 36.7, and 12.0% in strains CBMB27, CBMB35, and CBMB110 respectively. Among the abiotic stresses, osmotic stress-induced growth inhibition of Methylobacterium strains was found to be lowered when grown in HCN-AMS medium. Likewise, growth inhibition due to acid stress at pH 5.0 was lower for strains grown in HCN-AMS medium compared to growth in AMS medium. Enhanced survivability under stress conditions may be attributed to the high EPS and PHB production at increased carbon concentration in the growth medium.

A report of 11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isolated in 2017

  • Maeng, Soohyun;Kim, Ju-Young;Jang, Jun Hwee;Kang, Myung-Suk;Kim, Myung Kyu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35-150
    • /
    • 2018
  • Eleven bacterial strains 17SD2_15, 17Sr1_23, 17SD2_13, 17Sr1_31, 17gy_18, 16B15D, 16B02D, 16B04G, 16B01D, 17U4-2 and 17J28-10 assigned to the phylum Proteobacteria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s collected from Seoul Women's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 Belnapia species, strain 17SD2_15 was cocci-shaped and pink-colored. The Methylobacterium species, strain 17Sr1_23, 17SD2_13, 17Sr1_31, and 16B15D were short rod-shaped and pink-colored. The Microvirga species, strain 17gy_18, and 16B02D were short rod-shaped and pink-colored. The Oxalicibacterium species, strain 16B04G was short rod-shaped and pink-colored. The Sphingomonas species, strain 16B01D was short rod-shaped and yellow-colored. The Variovorax species, strain 17U4-2 was cocci-shaped and yellow-colored. The Paracoccus species, 17J28-10 was cocci-shaped and orange-colored.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 showed that strains 17SD2_15, 17Sr1_23, 17SD2_13, 17Sr1_31, 17gy_18, 16B15D, 16B02D, 16B04G, 16B01D, 17U4-2 and 17J28-10 were most closely related to Belnapia soli (with 99.9% similarity), Methylobacterium gregans (99.1%), Methylobacterium isbiliense (99.6%), Methylobacterium oxalidis (99.9%), Microvirga aerilata (98.7%), Methylobacterium aerolatum (99.0%), Microvirga vignae (100.0%), Noviherbaspirillum canariense (100.0%), Sphingomonas desiccabilis (100.0%), Variovorax humicola (99.6%), and Paracoccus acridae (99.1%), respectively.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se eleven species in Korea.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에 의한 메탄올로부터 생성되는 새로운 생물고분자 (New Extracellular Biopolymer Produced by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 from Methanol)

  • 최준호;이운택;김정회;이준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7-402
    • /
    • 1989
  •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 이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서 메탄올로부터 생성하는 새로운 다당류계 생물고분자의 화학적 성질과 물성학적 성질을 관찰하였다. 분리정제한 다당류의 분자량은 약 4-5$\times$$10^6$ dalton 정도로 고분자량을 지니고 있다. 다당류의 화학적 조성은 건조중량의 66%가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88%가 환원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하게 본 고분자는 건조중량의 4.7%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다당류는 glucose, galactose, 그리고 mannose을 몰비로 2:3:2 함유하고 있으며 탄수화물 이외에도 pyruvic acid, uronic acid, acetic acid 등을 함유하고 있다. 정제된 다당류를 증류수에 용해시켜 농도별로 점도를 측정한 결과 비뉴톤성 성질 중 pseudoplastic 성질을 보였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겉보기점도 증가가 월등히 높았다. 동일한 1% 용액의 경우 K(consistency index)값을 비교하면 xanthan gum에 비해 약 10배정도 높은 18,000 cp 값을 나타내었다.

  • PDF

Mercury Adsorption of Chemically Modified Polysaccharide from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

  • Lee, Jung-Gul;Kim, Sang-Yong;Oh, Deok-Kun;Kim, Jung-Hoe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4호
    • /
    • pp.209-212
    • /
    • 1998
  • Methylan, a polysaccharide produced from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 was chemically modified by adding diethylaminoethyl (DEAE) group to the backbone of methylan. The structure of DEAE-methyla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its nitrogen content obtained from an elemental analysis. From the analysis of mass spectrum, the DEAE group in DEAE-methylan was also confirmed by determining diethylaminoethene as a separate form of DEAE. Mercury adsorption of DEAE-methylan was higher than that of native methylan. This fact was valid for a variety of pH, reaction times, metal concentrations, and polysaccharide concentrations. In particular, native methylan and DEAE-methylan adsorbed 16% (w/w) and 18% (w/w) for mercury after 30 min at pH 7, respectively. The increase in mercury adsorption of DEAE-methylan may be resulted from mercury adsorption by the lone pair electron of nitrogen atom in DEAE group.

  • PDF

상이한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성장한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내의 폴리아민 (Polyamines in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grown on different energy sources)

  • 엄치용;이순희;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0-296
    • /
    • 1990
  • Putrescine, spermidine, and spermine were found to persent in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growing on methanol, succinate, glucose, or nutrient broth as an energy source. Spermidine was found to be a major polyamine in cells growing on methanol or succinate, while putrescine to be the one in nutrient broth-grown cells. The overall content of polyamines in cells growing on glucose was less than that in cells growing on other substrates. Spermine was the most abundant polyamine in glucose-grown cells. Accumulation of polyamines in M. extorquens AM1 was maximal at the mid-exponential or early stationary phase during growth on each substrate. The effect of polyamines added into the medium on the polyamine composition in M. extorquens AM1 was variable. Each polyamine added into the nutrient broth medium was found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respective polyamine in the cell. Exogeneously added polyamines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M. extorquens AM1.

  • PDF

알긴산 분해 Methylobacterium sp. HJM27 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lginate-Degrading Methylobacterium sp. HJM27)

  • 김옥주;이동근;이성목;이석준;도형주;박혜진;김안드레;이재화;하종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4-150
    • /
    • 2010
  • 본 연구는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뛰어난 세균을 확보하고 선정된 균주의 효소생산과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알긴산과 NaCl의 농도, 질소원 종류, 온도, pH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조류 섭식 동물인 전복, 소라, 해삼, 멍게, 개불 등에서 유래한 총 5만여 콜로니 중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우수한 27개 균주를 분리하였고 최종적으로 전복 유래의 균주를 선정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으로 선정된 균주를 Methylobacterium sp. HJM27으로 명명하였고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은 1.0% sodium alginate, 0.5% peptone, 0.3% yeast extract, 1.5% NaCl, $25^{\circ}C$, 48시간 배양에서 가장 높았다.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은 $25^{\circ}C$, pH 9에서 최대로 0.8%(w/v) sodium alginate 용액에서 30분만에 1.217 g/L의 환원당을 생성하였다. 분리된 균주와 이 균주의 알긴산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해조류를 바이오에너지와 식 의약 소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춘당 생물학적 가해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organisms biological damage of Dongchundang)

  • 이정민;김영희;홍진영;조창욱;김수지;서민석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5호
    • /
    • pp.111-119
    • /
    • 2014
  • 본 연구는 문화재를 가해하는 미생물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파악한 것이다. PDA 배지를 이용하여 목조문화재 동춘당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 동정을 하였다. 기질분해 실험을 통해 19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미생물을 배양하면서 흡광도를 통해 성장곡선을 측정하였고, pH의 변화량도 측정하였다. 72시간 배양한 결과, 시간에 따라 미생물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pH도 미생물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DNS 시약을 통해 cellulose 분해 정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45시간 이후 DNS 시약과 결합하여 반응을 나타내는 환원당이 급격히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분리된 Methylobacterium sp.는 cellulase를 분비하여 목재를 분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