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cellulose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초

소장 질환별 방사선학적 검사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전산화단층촬영의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Radiological Study by Small Bowel Disease - Comparison of Diagnostic Results of Small Bowel Series and Abdominal Pelvic Computed Tomography -)

  • 이희정;손순룡;이원홍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4호
    • /
    • pp.279-286
    • /
    • 2005
  • 목 적 :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 CT검사의 진단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방사선학적 영상의 특징 파악 및 질환에 따른 적절한 방사선학적 검사법을 선택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 CT검사를 병행하여 시행한 환자 284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진단 소견을 병명별로 분류하였다. 소장조영술은 250 ml 황산바륨 현탁액(W/V 40W/V%, Methylcellulose+$BaSo_4$)을 경구로 복용시키고, Rt. recumbent position을 취하게 한 후 약 10분 후에 Carboxymethylcellulose solution(0.5%) 600 ml 복용시켰다. 20분, 40분, 1시간 정규촬영을 하고, 조영제가 회맹판(I-C valve)을 통과하면 투시 하에 저격촬영을 시행하였다. 복부골반전산화단층촬영은 검사 1시간 전에 $BaSO_4$+Methylcellulose 1.5 W/V% 450 ml를 복용시키고 검사직전 450 ml 추가로 복용시켰다. 요오드 성분의 비이온성 조영제 2.5 ml flow/sec로 주입하고, 조영제 주입 후 72초 지연 촬영을 하였다. 촬영은 간 상연에서부터 치골결합 부위까지 continuous scan을 시행하였으며, 검사 protocol은 Helical thick 5 mm, picth 1.375 : 1, speed 27.50, increment 5 mm, 120 kV, 245 mA로 하였다. 결 과 : 소장조영술에서는 정상(Normal)이 131예(46.1%), 감염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 이하 IBS)이 65예(22.9%), ischemia+ileocolitis+vasculitis 22예(7.7%), obstruction+stricture 21예(7.4%)의 순으로 나타났고, 복부골반 CT검사에서는 정상이 103예(36.3%) IBS가 65예(22.9%), wall thickening+lymphadenopathy가 42예(14.8%), fluid collection이 17예(6%)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 CT검사에서 동일하지 않은 결과로 진단된 경우는 소장조영술에서 정상으로 진단된 132명(46.1%) 중 14예(10.6%), 복부골반 CT검사 결과에서는 wall thickening+lymphadenopathy와 IBS로 진단되어 차이를 보였으며, 복부골반 CT검사 결과 정상으로 진단된 103예(36.3%) 중 5예(5.8%)가 소장조영술에서 ischemia+ileocolitis+vasculitis로 진단되었다. 정상으로 진단 된 235예 중 37예(15.9%)가 서로 다른 결과로 진단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 특정질환에 특정검사의 진단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방사선학적 검사의 진단적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처방 및 검사에 있어서 질환에 따른 적절한 검사법의 선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돈가스 튀김옷의 흡유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llulose Derivatives to Reduce the Oil Uptake of Deep Fat Fried Batter of Pork Cutlet)

  • 김병숙;이영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8-495
    • /
    • 2009
  • 돈가스의 튀김과정에서 증가되는 지방량을 감소시키고자 튀김반죽에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MC 및 HPMC를 각 0.5, 1, 1.5%의 비율로 첨가하여 점도, 튀긴 후 색도, 수분보유량 및 흡유량, 관능특성 등을 측정하여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첨가한 튀김반죽의 점도는 속도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였고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동일 첨가수준에서 HPMC에 비하여 MC의 점도 증가가 매우 컸으며 HPMC 0.5%의 첨가군이 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점도양상을 보였다. 반죽의 점도는 돈가스를 제조할 때 재료(원육)에 대한 튀김반죽의 coating성에 영향을 주어서 HPMC 0.5% 첨가군의 coating성이 가장 좋았다. 2. 튀김옷의 수분보유량과 흡유량을 측정한 결과, 수분보유량은 대조군(45.69%) < MC 0.5%(47.36%) < MC 1%(48.55%) < MC 1.5%(49.59%) < HPMC 0.5%(51.49%) < HPMC 1%(53.72%) < HPMC1.5%(56.45%)의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흡유량은 대조군(15.49%)> MC 0.5%(15.44%) > MC 1%(15.25%) > MC 1.5%(15.05%) > HPMC 0.5%(14.69%) > HPMC 1%(12.62%) > HPMC 1.5%(10.03)의 순으로 감소하여 HPMC 1.5% 첨가 batter가 수분보유량이 가장 높으면서 흡유량은 가장 적었다. 3. 튀긴 돈가스의 명도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첨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HPMC 보다 MC첨가에 의한 변화가 커서 1.5% MC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명도값을 나타냈다(p<0.001). 적색도는 HPMC를 첨가한 경우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으나 MC의 경우 1.5%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p<0.05). 황색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관능검사 결과 튀긴 돈가스의 색은 HPMC 0.5% 및 1% 첨가 시 가장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며 그 외에는 색상이 진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짠맛은 대체적으로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구수한 맛은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량이 증가하면 감소하였으며 HPMC 0.5%와 MC 0.5% 첨가 시에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불쾌취의 정도는 대조군과 HPMC 0.5%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군에서는 약간 불쾌취가 느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름진 정도는 대조군보다 HPMC 0.5%와 1% 첨가군에서 덜 기름진 것으로 평가된 반면 HPMC 1.5%와 MC 첨가 시에는 대조군보다 더 기름지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과 HPMC 0.5% 및 1%는 같은 경향으로 평가되었고 HPMC 1.5%와 MC의 경우는 대조군보다 촉촉한 정도가 더 강해 반죽이 덜 익었다는 느낌을 주기도 하였다. 단단한 정도는 대조군과 MC 0.5%, HPMC 0.5% 및 1%가 같은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MC 1.5%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바삭거리는 정도는 셀룰로오스유도체 첨가량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HPMC 0.5% 첨가군이 오히려 대조군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돈가스의 흡유량을 개선시키기 위한 튀김반죽의 첨가제로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MC 및 HPMC의 첨가가 효과적이나, MC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점도의 증가가 매우 커서 동일 온도에서 coating이 두껍게 되었다. 또한 색도 및 관능평가의 결과 HPMC 0.5% 및 1%를 제외한 모든 셀룰로오스 첨가군은 첨가율에 비례하 여 대조군에 비해 명도가 감소하고 수분보유력이 증가하 여 흡유량이 적은 데도 느끼하고 덜 익은 것처럼 느끼 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돈가스와 같이 튀김반죽을 재 료에 코팅하는 조리과정을 거치는 음식에서는 튀김반죽 에 셀룰로오스유도체인 HPMC를 적정량 첨가하면 코팅 하기가 쉽고 흡유량은 감소하는 반면 수분보유량은 증가 하여 매우 효과적이었다. HPMC의 최적 첨가량은 약 0.5% 수준이었을 때 점도가 적당하였고 색감, 바삭한 정도 및 단단한 정도 등의 관능적인 면에서도 우수하였다.

HPMC, MC, sodium alginate 등의 증점제가 밀가루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PMC, MC, and Sodium Alginate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Flour Dough)

  • 김미영;윤미숙;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74-478
    • /
    • 2008
  • HPMC, MC, SA 등의 증점제를 밀가루 중량대비 0.5% 첨가한 밀가루 반죽의 레올로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farinogram, alveogram, rapid visco analyzer, rheofermentometer 등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arinogram 시험에서 증점제 첨가로 흡수율, 반죽발전시간, 안정도, 약화도 등이 변화하였다. 흡수율은 HPMC가 $67.4{\pm}0.12%$로 가장 높았고, 반죽발전시간은 HPMC가 $8.2{\pm}1.04$분, 안정도는 HPMC가 $12.7{\pm}0.42$분, 약화도는 HPMC가 $7.9{\pm}1.3$분으로 가장 길었다. Alveogram 시험에서 P, G, P/L 모두 증가되었으나 L은 모두 감소하였다. W는 HPMC와 SA는 증가되었으나 MC는 감소되었다. Rapid visco analyzer 특성에서 초기호화온도는 HPMC와 SA는 낮아졌고, MC는 높아졌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최고점도는 모두 높아졌고, 약화도는 모두 증가되었으며, 최종점도와 set back은 모두 낮아졌다. Rheofermentometer 시험에서 $H_m$은 HPMC가 가장 높았고, 총 부피는 SA가 가장 컸다.

Bacillus sp. I-5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에 의한 Cyclodextrin의 영향 (Production of Cyclodextrin by Bacillus sp. I-5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 김성혁;최종수;정갑택;유영수;정동선;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11
    • /
    • 1994
  • 토양에서 분리한 Bacillus sp. I-5의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CGTase)는 ${\beta}-$${\gamma}-cyclodextrin(CD)$를 주로 생성하는 효소로서 최적 반응조건은 pH 8.0, $50^{\circ}C$에서 최적 반응이었다. 생성되는 CD의 조성비는 buffer 용액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sodium acetate의 농도를 200mM로 하였을 때 ${\gamma}-CD$의 생성은 35% 가량 증가하였다. 기질인 가용성 전분의 DE value에 따라 CD의 생성이 달라져 $3.5{\sim}6.0$범위의 DE value의 전분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CD이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CD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CGTase를 가역적으로 용해-침전되는 담체인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cetate succinate에 고정화하였고 고정화된 CGTase는 pH 7.5에서 물에 용해되고 pH 6.0에서 쉽게 침전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CD의 연속적 생산은 고정화된 CGTase에 의한 CD의 생산, 반응하지 않은 기질을 glucose로 분해, glucose를 알코올로 발효시키는 단계로 하는 효소반응기를 개발하여 최종적으로 CD 혼합액과 에탄올이 생성되도록 하였다. 10%의 가용성 전분으로부터 생산된 전체 CD의 양은 3.65g이었다.

  • PDF

성견의 열개형 골 결손부에서 PDGF-BB와 IGF-l 치주조직 치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BB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I ON THE REGENERATION OF PERIODONTIUM IN THE DEHISCENCE DEFECTS OF DOGS)

  • 손효상;조규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4호
    • /
    • pp.799-821
    • /
    • 1996
  • The ultimate goal of periodontal treatment has been to facilitate regeneration of diseased periodontal tissues, destroyed by inflammatory periodontal disease. For regeneration of the periodontium to occur, all of component tissues must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 and architecture. Growth factors which were known to promote the cellular processes, i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matrix synthesis, have been in the spotlight of current periodontics.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PDGF) stimulates collagen and non collagen protein synthesis,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sulin-like growth factor(IGF) has potentials to induce collagen and bone matrix synthesis so that it regulates normal bone remodeling. Application of the combination have been known to facilitate formation of bone and cementum, and to synergistically interact to promote corona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These two growth factors have been reported to exhibit positive effect in the periodontally diseased teeth or class m furcation defec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PDGF-BB alone or the combination of PDGF-BB and IGF-I can predictably enhance regeneration of the periodontium in the dehiscence defect. Following the resection of premolars, roots were embedded. After 12 weeks of healing period, standardized experimental $4{\times}4mm$ dehiscence defects were created on the mid-facial of the premolar roots in each of 4 young adult dogs. In control group, only methylcellulose gel was inserted in the defects. In experimental group I and II, gel with $2{\mu}g$ of PDGF-BB or $2{\mu}g$ of PDGF-BB and $1{\mu}g$ of IGF-I was inserted in the defects, respectively. At 8 weeks postsurgery, the dogs were sacrificed. The results were observed histologically and analyzed histomorphometrically.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ws. 1. The new cementum formation was $1.26{\pm}0.69mm$ in the control group, $1.80{\pm}0.84mm$ in the experimental group I, $1.93{\pm}0.51mm$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The experimental group III, the experimental group I, the control group were in the order of cementum formation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all experimental groups. 2. The new bone formation was $1.00{\pm}0.53mm$ in the control group, $1.53{\pm}0.63mm$ in the experimental group I, $l.33{\pm}0.45mm$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The experimental group I, the experimental group II, the control group were in the order of bone formation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all experimental groups. 3. The root resorption was $1.12{\pm}0.64mm$ in the control group, $1.34{\pm}0.73mm$ in the experimental group I, $0.79{\pm}0.59mm$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all experimenta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use of PDGF-BB alone or PDGF-BB and IGF-I in the dehiscence defects might facilitate periodontal regeneration in some degree, but has not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PDF

쌀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Hydrocolloids의 영향 (Effects of Hydrocolloid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Rice Flour)

  • 김양훈;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24-1332
    • /
    • 2016
  • 강력분 80%와 쌀가루 20%에 baker's%로 검류로 HPMC, xanthan gum, guar gum, glucomannan 등을 각각 1% 첨가한 혼합분으로 만든 식빵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빵의 부피 및 비용적, 굽기 및 냉각 손실률, 수분 함량, 수분활성도, crumb 조직감, crumb 색도, 관능검사 등을 분석하였다. 식빵의 부피는 HPMC와 glucomannan 첨가구가 유의적 차이 없이 가장 컸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작았으며, 비용적은 부피의 결과와 반대였다. 냉각 손실률은 guar gum 첨가구가 9.25%로 가장 높았고, glucomannan 첨가구가 7.78%로 가장 낮았다. 수분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glucomannan 첨가구가 가장 많았고 대조구가 가장 적었다. Crumb 조직감 특성에서 경도는 glucomannan 첨가구가 낮고 탄력성은 높아 부드러웠으며, xanthan gum 첨가구는 경도 값이 높아 부드럽지 못하였다. 응집성, 씹힘성, 검성은 glucomannan과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았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Crumb 색도 측정에서 L 값은 HPMC 첨가구가 높았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a 값은 모두 유사하였으나, b 값은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아 밝았고 xanthan gum 첨가구는 가장 높아 어두웠다. 관능검사의 종합점수에서 HPMC와 glucomannan 첨가구가 유의적 차이 없이 높은 점수를, xanthan gum 첨가구가 낮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실험으로 강력분과 쌀가루 8:2의 혼합분에 hydrocolloids를 첨가하여 식빵 제조 시 HPMC와 glucomannan의 첨가가 부피, 부드러움, 맛과 향, 노화 지연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트포르민의 서방출을 위한 팽윤성 위체류 약물전달시스템 설계 (Design of swelling gastroretentive drug delivery system for sustained release of metformin)

  • 원권연;김세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15-222
    • /
    • 2020
  • 메트포르민은 제2형 당뇨병의 1차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로 다른 당뇨병 치료제에 비해 투여 용량이 크고 용해도는 높으나 위장관 투과도가 낮은 특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위장관 상부에서만 흡수되는 이유로 생체이용률이 40~60%로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위체류 약물전달시스템을 적용하여 제제가 위에 머무르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제제로부터 방출된 약물을 서서히 소장으로 이동시킨다면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팽윤성 시스템은 다른 위체류 약물전달시스템에 비해 안정성이 높아 개발목표기술로 선정하였고, 팽윤성 기제로는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카라기난과 히프로멜로오스를 병용하여 차별성을 확보하였다. 카라기난과 히프로멜로오스 병용 시스템은 각각의 함량이 15/110 질량분율일 때 가장 높은 팽윤성과 적절한 서방성 용출패턴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함량이 15 %와 14 %가 되도록 제조한 메트포르민 정제를 시판 정제와 비교 시 더 우수한 팽윤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에 의해 메트포르민의 서방출을 위한 새로운 팽윤성 위체류 약물전달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주성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면 의약품,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의 분야에서 효과적인 약물전달시스템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알긴산나트륨 및 첨가제를 함유한 서방성 매트릭스 정제 (Sustained Release Matrix Tablet Containing Sodium Alginate and Excipients)

  • 신성이;이범진;이태섭;허보욱;유승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6권3호
    • /
    • pp.187-192
    • /
    • 1996
  • The matrix tablet containing sodium alginate and $CaHPO_4$ can release drugs in a controlled fashion from hydrogel with gelling and swelling due to their interaction as water penetrates the matrices of the tabl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lease characteristics of the matrix tablet varying the amount of sodium alginate, $CaHPO_4$ and other excipients such as chitosan,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and $Eudragit^{\circledR}$ RS100 in the simulated gastric and intestinal fluid. The practically soluble ibuprofen was used as a model drug. The release profiles of matrix tablet in the gastric fluid as a function of sodium alginate/$CaHPO_4$ ratio was not pronounced because of low solubility of drug and stability of alginate matrices. However, release rate of drug from the matrix tablet in the intestinal fluid was largely changed when sodium alginate/$CaHPO_4$ ratio was increased, suggesting that the ratio of sodium alginate/$CaHPO_4$ was an important factor to control the gelling and swelling of the matrix tablet. The incorporation of other excipients into the matrix tablet also influenced the release rate of drug. The chitosan and HPMC decreased the release rate of drug. No release of drug was occurred when $Eudragit^{\circledR}$ RS100 was added into the tablet. The retarded release of matrix tablet when excipients were added resulted from the hindrance of swelling and gelling of the matrix tablet containing sodium alginate and $CaHPO_4$. The hardness and bulk density of the matrix tablet was not correlated with release rate of drug in the study. From these findings, the ratio of sodium alginate and $CaHPO_4$ in the matrix tablet in addition to incorporation of excipients could be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 release rate of drug in dosage form design.

  • PDF

효모 추출물 농도에 따른 Leuconostoc mesenteroides SM에 의해 생산된 dextran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물성개량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xtran Produc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Yeast Extract and its Modul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 김지은;황기;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16-223
    • /
    • 2012
  • 당근주스에서 분리된 $Ln.$ $mesenteroides$ SM 균주와 효모 추출물 첨가 농도에 따라 생산된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평가하였으며, 식이섬유 HPMC 첨가에 따른 발효물의 물성을 조절하였다. Sucrose를 포함한 제한배지에 효모 추출물을 0.5% 이상 첨가 시 sucrose 전환율이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3% 농도증가에 따라 전환율이 90%까지 증가하였으며 점조도 값은 $37.6\;Pa{\cdot}s^n$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발효물의 산생성은 발효온도 25, $30^{\circ}C$에서 24시간 이후 최고 산도 값 1.4% 이상을 나타냈으며, 낮은 발효온도에서는 1.0% 수준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기본 제한배지에 효모 추출물을 3% 수준으로 첨가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했을 때, 발효물의 점성과 탄성 값이 각각 약 40과 50 P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불용성 덱스트란과 전체 덱스트란의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식이섬유 HPMC의 점도가 400, 4,000 cp인 경우에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은 높은 점탄성 값을 보였으며,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점탄성 값이 크게 증가되었다. 또한 HPMC가 강화된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의 견고성을 포함한 firmness는 HPMC 첨가 농도 증가 및 점도가 높을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점탄성이 높은 겔을 형성하였다. 결론적으로 식물성 젖산균 $Ln.$ $mesenteroides$ SM 균주를 이용하여 효모 추출물을 고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발효를 통해서 점조성이 높고, 산도가 적절한 겔 형태의 발효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식이섬유인 HPMC의 혼합에 따라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의 견고성, firmness등의 조절이 가능하며 점탄성이 급격하게 증가된 겔을 형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덱스트란 함유 젖산균 발효물은 수용성 식이섬유 HPMC의 강화에 따라 probiotic 및 prebiotic을 포함하면서 점조도 및 점탄성이 증진되어 식품의 물성개량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중익기탕 추출물의 대식세포 분화 유도 효과 (Stimulation of Macrophage Differentiation by Bu-Zhong-Yi-Qi- Tang Extract)

  • 강혜인;신성해;조영숙;조성기;변명우;이성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30-335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생쥐에서 분리한 골수 세포의 분화에 보중익기탕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GM-CSF와 IL-3는 대식세포의 형성을 자극하는데 관여한다. 보중익기탕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GM-CSF와 IL-3로 분화하는 colony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anti-CD11b 항체로 염색한 결과 분화한 세포는 대식 세포의 특이적 세포표면 단백질 인 CD11b(Mac-1)를 발현하고 있었다. 또한 보중익기탕 추출물은 대식세포가 생산하는 IL-6와 일산화질소(nitric oxide)의 분비량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오래 전부터 전통 처방제로 사용되어온 보중익기탕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유도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