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acetate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1초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에 있어서 Zanthoxylum schinifolium 줄기의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살기전 규명 (Apoptosis of Human Jurkat T Cells Induced by the Methylene Chloride Extract from the Stem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is Associated with Intrinsic Mitochondria-Dependent Activation of Caspase Pathway)

  • 전도연;우미희;박해선;김준석;이인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499-1506
    • /
    • 2008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는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의 줄기로부터 항암활성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산초 줄기를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각 추출물의 인체 급성백혈병 암세포에 대한 독성 및 세포자살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Methanol (SS-7), methylene chloride (SS-8), ethyl acetate (SS-9), n-butanol (SS-10)로 추출한 각 시료와 유기용매 추출 후 잔여분획 (SL-14)의 세포 독성을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주로 methylene chloride 추출분획인 (SS-8)에서 확인되었다.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SS-8)의 Jurkat T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의 기전은 mitochondria로부터cytochrome c 방출, caspase-9 및 caspase-3의 활성화, PARP 분해, internucleosomal DNA fragmentation 등의 일련의 생화학적 반응을 수반하며, 항 세포자살단백질인 Bcl-xL단백질의 과발현에 의해 억제되는 세포자살 기전임을 확인하였다. FADD가 disruption된 Jurkat T cell clone I2.1 ($FADD^{-/-}$) 및 caspase-8가 결핍된 Jurkat T cell clone I9.2 (caspase-$8^{-/-}$)와 함께 the wild-type Jurkat T cell clone A3에 미치는 SS-8의 세포독성작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wild-type Jurkat A3, FADD-deficient Jurkat clone I2.1및 caspase-8-deficient Jurkat clone I9.2 모두는 SS-8의 세포독성에 대해 유사한 정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SS-8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 있어서, Fas/FasL system이 관계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한편, SS-8를 GC-MS 분석하여, 9,12-octadecanoic acid (18.62%), 2,4-dihydro-5-methyl-4-(1-methylethylidene)-2-(4-nitrophenyl)- 3H-pyrazol-3-one (14.97%), hexadecanoic acid (14.23%), (z,z)-6,9-pentadecadien-1-ol (13.73%), 5,6-dimethoxy- 2-methyl benzofuran (10.95%), 그리고 4-methoxy-2-methylcinnamic acid (5.38%) 등을 포함한 16가지의 구성 성분과 그 조성비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산초 줄기에 함유된 항암 활성에 대한 규명과 이해를 증진시킨다.

HaCaT 세포에서 회향 열매의 피부장벽기능과 hyaluronic acid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Fruits of Foeniculum vulgare on Skin Barrier Function and Hyaluronic Acid Production in HaCaT Keratinocytes)

  • 유학인;양인준;빅터루베리오린차;박인식;이동웅;신흥묵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880-888
    • /
    • 2015
  • 회향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식물인 Foeniculum vulgare Mill.의 성숙한 과실로서 항염, 진통, 피부노화방지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질환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우수한 회향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질환 치료제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소재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에 회향 열매 메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hexane, methyl chloride, ethyl acetate, butanol)을 처리한 후, involucrin, loricrin, filaggrin의 발현과 hyaluronic acid의 생성 및 β-defensin -1, -2, -3, LL-37의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butanol 분획물 50 μg/ml을 24시간 동안 처리시 involucrin과 filaggrin단백질 발현을 각각122.8%, 105%로 유의하게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Elisa assay를 통해 분석한 결과,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은 대조군에 비해 hyaluronic acid의 생성을 각각17%, 11% 증가시켰으며, 이는 hyaluronic acid synthesis-1의 mRNA 발현 증가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회향 열매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모두에서 β-defensin -1, -2, -3, LL-37의 mRNA 발현은 증가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회향 열매 butanol 분획물이 각질형성세포에서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고 보습인자 조절을 통해 피부장벽 기능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Brukholderia sp. MP-1 에서의 페놀화합물의 분리와 항균활성의 측정 (Isolation and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Low Molecular Phenolic Compounds from Burkholderia sp. MP-1)

  • 마오 쏘피에;김영덕;이승제;김용웅;김인선;심재한;박노동;김길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95-203
    • /
    • 2006
  • 길항미생물 MP-1은 여러 종의 곰팡이와 효모 및 음식물을 부패시키는 세균 (그람양성 및 음성) 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MP-1의 16S rRNA gene 염기서열은 기존에 밝혀진 Brukholderia sp.의 염기서열과 99-100% 유사하였다. 배양액으로부터의 항균물질은 에틸아세테이트 (EtOA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으며 EtOAc에 용해된 산성 분획은 silica gel, Sephadex LH-20, ODS 컬럼크로마토 그래피 및 HPLC를 사용하여서 정제를 실시 하였다. 최종적으로 Gas chromatographic-mass 스펙트럼을 통한 분석을 통하여 4 종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phenylacetic acid, hydrocinnamic acid, 4-hydroxyphenylacetic acid 및 4-hydroxyphenylacetate methyl ester로 확인 되었다. 각각의 항균 활성물질들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는 $250{\sim}2500ug\;ml^{-1}$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 mm paper disc 에서의 1mg (건물중) 산성 분획의 항균활성은 같은 비율로 혼합한 표준혼합용액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두콩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from Methanol Extract of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 김종필;이향희;문제학;하동룡;김은선;김진환;서계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77-784
    • /
    • 2013
  •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작두콩의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극성차를 이용한 용매분획을 행하여 n-hexane층, $CHCl_3$층, EtOAc층, butanol층, 그리고 $H_2O$층을 얻었다. 그중 활성이 가장 높은 EtOAc층을 대상으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행하여 4종의 활성 화합물을 분리하고, MS 및 NMR분석을 통하여 구조해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4는 methyl 3,4,5-trihydroxybenzoate (methyl gallate, 화합물 1), 3,4,5-trihydroxybenzoic acid (gallic acid, 화합물 2), 1,6-di-O-galloyl ${\beta}$-$\small{D}$-glucopyranoside (화합물 3), 그리고 1,4,6-tri-O-galloyl ${\beta}$-$\small{D}$-glucopyranoside (화합물 4)로 각각 동정되었다. 그리고 분리 화합물들의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은 화합물 4>화합물 3>화합물 2>화합물 1 순으로 평가되었다. 또 분리된 양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화합물 1과 2는 작두콩 중에 다른 화합물들에 비해 다량으로 존재해있을 것으로 시사되었으며, 이들 화합물이 작두콩의 항산화 활성에 상당부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화합물 4는 본 연구를 통해 작두콩으로부터는 처음 분리 동정되었다.

열처리 양파로부터 항산화물질의 분리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Substance from Heated Onion (Allium cepa L.))

  • 황인국;김현영;이상훈;황초롱;오승희;우관식;김대중;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70-474
    • /
    • 2011
  • 열처리한 양파 착즙액의 ethyl acetate 분획물로부터 항산화물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1, 2차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및 HPLC를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GC/MSD, $^1H$-NMR 및 $^{13}C$-NMR spectrum 결과로부터 구조 동정한 결과 분리된 물질은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DDMP)으로 확인되었다. DDMP의 항산화활성의 $IC_{50}$값은 241.6 ${\mu}g/mL$이었으며, vitamin E의 69.2 ${\mu}g/mL$와 C의 45.3 ${\mu}g/mL$보다는 낮은 활성을 보였고 BHT의 268.0 ${\mu}g/mL$보다는 높은 활성을 보였지만 유의적인(p>0.05)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후 DDMP를 기능성물질로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생리활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된장 koji 및 그 혼합에 따른 된장 숙성 과정중의 화학성분 변화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in fermented Doenjang depend on Doenjang koji and its mixture)

  • 주현규;김동현;오균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51-360
    • /
    • 1992
  • 개량식과 재래식 된장의 기호와 향기의 단점을 제거하구 장점을 보완 유지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당화력이 우수한 Aspergillus oryzae koji, Rh. delemar koji 및 재래메주의 배합을 달리하여 된장을 담그고, 된장 koji의 효소활성변화, 된장 숙성과정 중의 화학성분 변화 및 향기성분 분석 그리고 관능검사 등을 실시하여 적정 배합비율과 숙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alpha},\;{\beta}-Amylase$ 활성도는 Asp. oryzae koji가 각각 312, $235\;{\mu}g/ml$이고 Rh. delemar koji는 각각 16, 38 mg/ml이었다. 총 질소는 숙성과정 중 처음과 거의 같은 양이 유지되었고, 아미노테 질소함량은 Asp. oryzae+Rh. delemar koji Doenjang(D구), Asp. oryzae koji Doenjang(A구) 그리고 Asp. oryzae koji+Rh. delemar koji Doenjang(C구) 시험구가 숙성 40일에 각각 460, 444, 426gm%로 가장 많았고 Rh. delemar koji의 단용된장은 196mg%로 적었다. 총당은 숙성과정중 모두 점차 감소하였고, 환원당 함량도 숙성 20일까지는 증가하였다가 숙성 30일부터는 감소하였으며, 알콜함량은 Rh. delemar koji 단용된장인 Rh. delemar koji Doenjang(G구) 시험구가 3.42%로 가장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citrate, malate, lactate, succinate acetate가 검출되었으며, 그중 Rh. delemar koji 단용된장에서 acetic 함량(171.6mg/g)이 가장 높았다. 향기 성분은 8종의 물질이 분리되었으며, 그중 주성분은 tetramethylpyrazine, 4-pyran-4one-3hydroxy-2methyl, 1-octen-3-ol로 전체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었다. 숙성 40일된 된장의 맛, 향, 색에 대한 관능검사 성적은 Asp. oryzae+Rh. delemar koji Doenjang(A구)와 Asp. oryzae koji Doenjang(B구) 시험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중 Asp. orzae+Rh. delemar koji Doenjang(C구) 시험구가 양호하였다.

  • PDF

인삼(人蔘)의 Ether추출물(抽出物)의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I)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nents in the Ethereal Extract of Panax ginseng(I) -Studies on the Free Fatty Acids-)

  • 국채호;안승호
    • 생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21
    • /
    • 1975
  • 인삼(人蔘)의 ether 추출물(抽出物)로부터 유리(遊離) 지방산(脂肪酸)을 분리(分離)하고 이것을 diazomethane으로 처리하여 methyl ester를 만든 다음 초산수은 및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利用)하여 포화(飽和) 지방산(脂肪酸)과 불포화(不飽和) 지방산(脂肪酸)으로 분리(分離)하였다. 분리(分離)된 지방산(脂肪酸)을 G. L. C.에 의하여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한국산(韓國産) 인삼(人蔘) 6년생근중(年生根中)에는 유리(遊離) 지방산(脂肪酸)이 0.28% 함유(含有)되어 있다. 2) 인삼중(人蔘中)에서 24 종류(種類)의 유리(遊離) 지방산(脂肪酸)이 발견(發見)되었으며 그 중(中) 22 종류(種類)는 G. L. C.에 의(依)하여 확인(確認)되었으나, 나머지 2 종류(種類)는 G. L. C. data 만 가지고는 확인(確認)할 수 없었다. 미확인(未確認)의 두 지방산(脂肪酸)은 그 양(量)이 다량(多量)이었으며 천연(天然)에 흔히 존재(存在)하지 않는 unusual fatty acids 라고 사료(思料)된다. 3) $L_{EE}$ 등(等)은 인삼중(人蔘中)에 n18:3이 존재(存在)한다고 보고(報告)한 바 있으나 본실험(本實驗)에서는 n18:3의 존재(存在)를 확인(確認)할 수 없었으며 그 대신(代身) peak XVI이 n18:2와 n18:3의 사이에서 나타남을 보여준다. peak XVI은 미확인(未確認) 지방산(脂肪酸)이다.

  • PDF

Glutamine-Glucose Model System에서 가열조건별 반응생성물과 색의 변화 (Study of Reaction Products and Color Changes in Glutamine-Glucose Model System during Heating)

  • 이영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81-885
    • /
    • 2006
  • Glucose-glutamine 모델반응에서 생성물의 종류와 갈변에 의한 색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열조건을 125, 150 및 $175^{\circ}C$에서 각각 10, 20 및 30분간 가열하고 반응물의 색을 Hunter colorimeter로 측정한 후, ethyl acetate로 추출하여 GC/MS로 생성물을 분석하였다. GC/MS 분석에서 acetic acid, butanoic acid, 2-butenoic acid, di-(2-ethylhexyl) phthalate,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 및 5-hydroxymethylfurfural의 6종의 다량 생성물과 1,3-dimethylbenzene, 2-ethylhexanol, fufural, 5-methylfurfural, 2-pyrrolidinone 그리고 2,6-di(t-butly)-4-hydroxy-4-methyl-2,5-cyclohexadien-1-one 6종의 미량 생성물이 확인되었다. 최대 생성물인 acetic acid와 미량 생성물인 2-ethylhexanol 및 2-pyrrolidinone은 온도 및 가열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외 9종의 화합물을은 $125^{\circ}C$부터 생성량이 증가하지만 $150^{\circ}C$ 또는 $175^{\circ}C$를 정점으로 그 이상 온도, 또는 가열시간을 증가할수록 생성량은 감소하였다. 반응생성물이 Hunter $L^*$값은 온도 및 시간의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암색이 반응의 최종산물에 의한 색으로 나타났으며, $a^*$$b^*$$125^{\circ}C$에서 낮고 $150^{\circ}C$ 또는 $175^{\circ}C$, 10분에서 최고점을 나타낸 후 온도 및 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여 적색과 황색은 반응 중간생성물에 의한 발현이며 반응후기에는 고분자의 화합물에 고착되어 암색을 발현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가열조건의 변화에 따른 $a^*$$b^*$값의 변화는 앞서 언급한 9종 화합물들의 생성 변화와 유사하였다.

무정형 고분자 재료의 비선형 유전특성 (Nonlinear Dielectric Properties of Amorphous copolymers)

  • 노일수;황중연;강대하;이덕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1563-1565
    • /
    • 1999
  • Linear and nonliear complex permittivities have been measured for amorphous copolymers of vinylidene cyanide (VDCN) with vinyl acetate (VAc), vinyl propionate (VPr), vinyl benzoate (VBz), styrene (St) and methyl methacrylate (MMA). It is found that the third order permittivity ${\varepsilon}_3$ depends upon frequency according to a function ${\Delta}_{{\varepsilon}_3}/(1+i{\omega}{\tau}_^3)$ while the linear permittivity obeys a Debye function ${\Delta}_{{\varepsilon}_1}/(1+i{\omega}{\tau}_1)$. Experimental results are well fitted by the above predicted functions except at low frequencies where dc conduction dominates. The ${\tau}_1$ and ${\tau}_3$ are nearly equal, and depend upon temperature according to a WLF form. The relaxation strength ${\Delta}_{{\varepsilon}_1}$ depends upon comonomers ranging from $130_{{\varepsilon}_0}$(VAc) to $20{{\varepsilon}_0}$(MMA). The ${\Delta}_{{\varepsilon}_3}$ is negative and depends more strongly upon comonomers. Combined knowledge about linear and nonlinear permittivities predicts very large correlation factors which indicates strongly cooperative dipolar motions in those amorphous copolymers.

  • PDF

Self-cleaning Surface Coatings of Perfluorinated Additives with Resin and Their Surface Properties

  • Kim, Y.W.;Chung, K.;Lee, E.A.;Seo, Y.G.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second asi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ibology
    • /
    • pp.143-144
    • /
    • 2002
  • A series of alcohols with perfluorinated segments $F(CF_2)_m(CH_2)_n-OH$, with m=8, 10 and n=4, 6, 10, were synthesized. First, the alcohols were reacted with fatty acid to produce several esters $(F(CF_2)_m(CH_2)-OOC-R$ with m=8, 10 and n=2, 4, 8,) containing perfluoro group by condensation reaction, and characterized by FT-IR, GC, and surface tension. The esters were soluble in ethyl ether, toluene,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acetone, but insoluble in methyl alcohol, ethyl alcohol and isopropyl alcohol. Preliminary experiments on 1,2-dichloroethane solutions showed a remarkable decrease of surface tension upon addition of the esters. Also, the esters films ranged from 100 to $122^{\circ}$,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fatty acid esters. As the separate experiment, the water-repellency of coated paper and cotton was evaluated. As a result, the water droplet dropped in surface was not permeated for two wee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