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lloproteinase (aMMP-8)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4초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but not Caspase-3, Facilitates Distinction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Follicular Neoplasms

  • Sanii, Sanaz;Saffar, Hiva;Tabriz, Hedieh M.;Qorbani, Mostafa;Haghpanah, Vahid;Tavangar, Seyed 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175-2178
    • /
    • 2012
  • Purpose: Definite diagnosis of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FTC) is based on the presence of capsular or vascular invasion. To date, no reliable and practical method has been introduced to discriminate this malignant neoplasm from follicular thyroid adenoma (FTA) in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material.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by degrading extracellular matrix, and caspase-3, by induction of apoptosis, have been sh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carcinogenesis and aggressive behavior in many tumor typ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pression of MMP-2 and caspase-3 in thyroid follicular neoplasms and to determine their usefulness for differential diagnosis. Method: Sixty FTAs and 41 FTCs were analysed immunohistochemically for MMP-2 and caspase-3. Result: MMP-2 was positive in 4 FTCs (9.8%), but in none of FTA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 0.025). Caspase-3 was positive in 30 (50%) of FTAs and in 27 (65.9%) of FTCs. Conclusion: Our results show MMP-2 expression only in FTCs and suggest that this protein may be a useful marker to confirm diagnosis of FTC versus FTA with 100% specificity and 100% predictive value of a positive test. We failed to show any differential diagnostic value for caspase-3 in thyroid follicular neoplasms.

β3GnT8 Regulates Laryngeal Carcinoma Cell Proliferation Via Targeting MMPs/TIMPs and TGF-β1

  • Hua, Dong;Qin, Fang;Shen, Li;Jiang, Zhi;Zou, Shi-Tao;Xu, Lan;Cheng, Zhi-Hong;Wu, Shi-Li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087-2093
    • /
    • 2012
  • Previous evidence showed ${\beta}1$, 3-N-acetylglucosaminyltransferase 8 (${\beta}3GnT8$), which can extend polylactosamine on N-glycans, to be highly expressed in some cancer cell lines and tissues, indicating roles in tumorigenesis. However, so far, the function of ${\beta}3GnT8$ in laryngeal carcinoma has not been characterized. To test any contribution, Hep-2 cells were stably transfected with sense or interference vectors to establish cell lines that overexpressed or were deficient in ${\beta}3GnT8$. Here we showed that cell proliferation was increased in ${\beta}3GnT8$ overexpressed cells but decreased in ${\beta}3GnT8$ knockdown cells using MTT. Furthermore, we demonstrated that change in ${\beta}3GnT8$ express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umor growth in nude mice.We further provided data suggesting that overexpression of ${\beta}3GnT8$ enhanc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at both the mRNA and protein levels, associated with shedding of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 TIMP-2. In addition, it caused increased produc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GF-${\beta}1$), whereas ${\beta}3GnT8$ gene knockdown caused the reverse effect. The results may indicate a novel mechanism by which effects of ${\beta}3GnT8$ in regulating cellular proliferation are mediated, at least in partvia targeting MMPs/TIMPs and TGF-${\beta}1$ in laryngeal carcinoma Hep-2 cells. The finding may lay a foundation for further investigations into the ${\beta}3GnT8$ as a potential target for therapy of laryngeal carcinoma.

사람유래 섬유아세포에서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의 MMP-1과 PIP의 발현에 대한 연구 (MMP-1 and PIP Expressions from Ethanol Extract of Hydnocarpus anthelmintica Pierre in Human Fibroblast Cells)

  • 최은영;장영아;김세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38-946
    • /
    • 2022
  • 본 연구는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주름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추출물 1,000 ㎍/ml 농도에서 각각 73.5%와 74.4%의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주름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추출물 1,000 ㎍/ml 농도에서 78.8%의 유의할만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추출물에 대한 세포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으며, 50 ㎍/ml 이하의 농도에서 약 91.7%의 생존율을 보여, 이후의 세포 실험은 50 ㎍/ml 이하의 농도에서 진행하였다. 섬유아세포인 CCD-986sk에 UVB (20 mJ/cm2)의 자극을 주고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치한 후 procollagen type I과 MMP-1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고자 ELISA 및 RT-PCR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은 PIP의 생합성과 mRNA 발현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UVB만 자극한 Cont (각각의 생합성율은 50.3%와 45.8%)과 비교하였을 때 50 ㎍/ml의 농도에서 각각 약 64.2%와 83.4%의 생합성을 보였다. MMP-1의 protein과 mRNA 발현에 대한 결과는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했음을 확인하였으며, 50 ㎍/ml의 농도에서 각각 약 48.7%와 35.9%의 낮은 발현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이 주름억제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아드리아마이신으로 유도된 심근증에서 Metalloproteinase, Metalloproteinase 조직억제자, Cytokine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 (Gene Expression of Metalloproteinases,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and Cytokines in Adriamycin-induced Cardiomyopathy)

  • 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197-203
    • /
    • 2005
  • 목 적 : MMP 활동의 변화는 류마치스 관절염과 암 전위를 비롯한 여러 질환에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 확장성 심근증에서 MMP 활동의 증가가 발표되었다. 아드리아마이신으로 유도된 심근증에서 MMP에 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아드리아마이신으로 유도된 심근증에서 MMP, TIMP 유전자 발현을 연구하고 cytokine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Sprague Dawley 쥐에 아드리아마이신 5 mg/kg을 1주일에 2번씩 2주간(누적 용량 : 20 mg/kg) 복강내 주사하였고, 정상쥐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2주 후에 쥐를 희생시켜서 혈청과 심장조직을 얻었다. 혈청에서 ELISA 원리로 MMP-2, TIMP-3, IL-6, TNF-${\alpha}$를 측정하였다. 심장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였고, MMP-2, TIMP-3 IL-6, TNF-${\alpha}$ primer를 이용하여 PCR로 증폭하였다. 증폭된 DNA는 1% agarose gel에서 전기 영동하였고 UV light 아래에서 필름으로 촬영하였다. 결 과 : 혈청 MMP-2와 TIMP-3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아드리아마이신군에서 IL-6은 $36.8{\pm}2.8pg/mL$, TNF-${\alpha}$$2.2{\pm}2.7pg/mL$로 정상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혈청 MMP-2와 TNF-${\alpha}$와는 r=0.41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심근 조직에서 MMP-2, IL-6, TNF-${\alpha}$는 발현되지 않았고, TIMP-3는 아드리아마이신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었다. 결 론 : 아드리아마이신으로 유도된 급성 심근증 모델에서는 심근에서 MMP, IL-6, TNF-${\alpha}$가 발현되지 않았고, TIMP 발현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혈청 MMP와 TNF-${\alpha}$와의 상관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므로 TNF-${\alpha}$가 MMP 발현을 조절함을 시사해 준다. 앞으로 만성 심근증 모델에서 MMP, TIMP 발현에 대하여 연구할 예정이다.

폐암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9 및 Stromelysin-3의 발현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9 and Stromelysin-3 in Peripheral Blood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 임성용;고원중;김철홍;안영미;권영미;강경우;김호철;서지영;정만표;임시영;김호중;권오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2호
    • /
    • pp.107-116
    • /
    • 2002
  • 연구배경 : Matrix metalloproteinase(MMP)는 세포외 기질중 기저막의 용해 및 혈관 생성에 관여하여 전이를 일으키며, 이중 MMP-9 과 STR-3 가 폐암에서 발현된 경우 예후가 나쁘며 림프절 전이와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말초혈액에서 MMP-9와 STR-3의 발현이 폐암의 진단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는 지를 평가하고 자하였다. 방 법 : 44명의 폐암 환자, 19명의 감염성 폐질환 환자, 33명의 정상인의 혈액을 채취하여 단핵구를 분리하여 MMP-9과 STR-3의 RT-PCR을 시행하였고, 혈청내 MMP-9 단백질을 ELISA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MMP-9은 폐암환자 (26/44, 59.1%)와 정상 대조군(23/33, 69.7%)에 비해 폐감염환자 (18/19, 94.7%)에서 유의하게 높게 발현되며(p=0.018), STR-3은 폐감염환자(8/19, 42.1%)와 정상 대조군 (20/33, 60.6%)에 비해 폐암환자(37/44, 84.1%)에서 유의하게 높게 발현되었다(p=0.003). MMP-9는 폐암 환자들 사이에서 림프절 전이가 있는 군(17/24, 70.8%)에서 없는 군 (3/13, 23.1%)보다 유의하게 높게 발현되었으며(p=0.005), 그 이외에 T 병기, 원격전이 유무, 종양의 병리소견, 연령, 성별에 따른 MMP-9과 STR-3 mRNA의 발현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세 군간 혈청내 MMP-9 농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RT-PCR을 이용한 말초혈액 단핵세포에서의 STR-3 mRNA 발현 측정은 폐암의 진단 표지자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황색포도알균의 감염에 따른 세포 내에서의 균의 증식과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역할 (Role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on Intracellular Staphylococcus aureus Growth in Bronchial Epithelial Cell)

  • 민보람;이영미;박재석;최원일;권건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1호
    • /
    • pp.22-27
    • /
    • 2008
  •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황색포도알균이 숙주세포 내로 침입하여 증식하는 정도를 관찰하고자 한다. 이때 세포 외 바탕 단백질의 변화가 수반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발현과 역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황색포도알균은 $10^6{\sim}10^7CFU/ml$$10^5$개의 기관지상피세포인 BEAS-2B 세포에 2시간 동안 침입시킨다. 이후 세척으로 세포 밖에 있는 황색포도알균을 제거한 후, BEAS-2B 세포를 다양한 시간 동안(4, 6, 8, 12 시간) 배양한 후 황색포도알균의 집락수(CFU/ml)를 측정하였고, 단백질을 분리하여 세포 외 바탕단백질의 발현 정도와 MMP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MMP 억제제인 GM6001을 전처치한 후 황색포도알균을 세포에 침입시킨 후 세포 내에서의 균의 집락수 및 세포 외 바탕단백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황색포도알균의 집락을 측정한 결과 4시간과 12시간을 비교해 볼 때 MOI가 증가할수록, 감염시킨 시간이 길수록 숙주세포 내로 침입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BEAS-2B 세포에서 황색포도알균을 침입시킨 시간이 길수록, MOI가 증가할수록 MMP 2 및 MMP 9의 활성도와 dysadherin의 발현은 증가하였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E-cadherin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MMP억제제인 GM6001을 전 처치 한 결과 황색포도알균의 세포 내 침입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결론: 황색포도알균이 기관지 상피세포 내로 침입할 때 dysadherin 및 E-cadherin 같은 세포 외 바탕 단백질의 변화를 동반하며, MMP 활성도가 균의 세포 내 침입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Matrix Metalloproteinase-9 -1562T Allele and its Combination with MMP-2 -735 C Allele ar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 Rahimi, Zohreh;Yari, Kheirolah;Rahimi, Zib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1175-1179
    • /
    • 2015
  • Backgroun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is up-regulated in human cancers.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MMP-9 C-1562T polymorphism and its interaction with MMP-2 C-735T polymorphism in susceptibility to breast cancer in a population from Western Iran with Kurdish ethnic background.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sample of 205 individuals consisted of 101 breast cancer patients and 104 healthy subjects. MMP-9 C-1562T and MMP-2 C-735T variants were identified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method. Results: Among 67.4% of studied patients the breast cancer developed in the third and forth decades of the life. The frequency of MMP-9 T allele was 17.3% in patients and 10.1% in controls. The presence of T allel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breast cancer by 1.87-fold [OR=1.87 (95% CI 1.05-3.33, p=0.035)]. The frequency of MMP-9 CT+TT genotype tended to be higher in those patients with a family history of cancer in first degree-relatives (36.8%) than those without a family history (28.3%, p=0.37). We observed an interaction between the MMP-9 -1562 T allele with MMP-2 -735 C allele tha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breast cancer [OR=1.42 (95% CI 1.02-1.98, p=0.036)].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MMP-9 C-1562T polymorphism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MMP-2 C-735T polymorphism increased the risk of breast cancer that might be a useful biomarker in identifying women at risk of developing breast cancer. Also, this study revealed that in most women from Western Iran breast cancer presents in third and fourth decades of life.

미세먼지 PM10으로 손상을 유도한 각질형성세포에서 청각 (Codium fragile)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 of Codium fragile extract on keratinocytes damaged by fine dust PM10)

  • 김보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5-52
    • /
    • 2023
  • Objectives : Fine dust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 oxidative damage and skin aging.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odium fragile extract (CFE) as an anti-aging product for skin improvement was evaluated by confirming the protective effect of skin cells from PM10 (particulate matter 10) through inhibition of ROS and MMPs. Methods : In this study,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evaluated.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by treating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 with CFE at various concentrations. The cytoprotective effect from PM10 in keratinocyteswas evaluated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MTT) assay. ROS (reactive oxygen species) was measured in keratinocytes damaged by PM10 using DCF-DA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fluorescence staining. As an anti-aging effect of CFE,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 and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9) inhibitory activities were evaluated. Results : As a result, CFE decreased the activity of elastase and collagenas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toxicity of CFE, it is non-toxic at a concentration of 10 to 80 ㎍/㎖. Although cell viability of HaCaT cells treated with PM10 decreased, cell viability increased by 38% when treated with CFE 80 ㎍/㎖. Also, ROS decreased by 8.4%, and MMP-1 and MMP-9 decreased at CFE 80 ㎍/㎖. Conclusions : CFE showed excellent cell protection effect,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used in anti-aging products for skin improvement by effectively inhibiting ROS and MMPs from keratinocyte damage caused by fine dust.

단순 만성 치주염 환자 및 2형 당뇨병환자의 만성 치주염 치은조직에서 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 양상 비교 (The comparison of inflammatory mediator expression in gingival tissues from human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with and without type 2 diabetes mellitus)

  • 주상돈;이재목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sup2호
    • /
    • pp.353-369
    • /
    • 2007
  • 치주질환의 병원균은 세포벽의 항원에 의하여 조직내 존재하는 mononuclear phagocytes가 활성화되어 cytokine들이 생성됨으로써 치주 결체조직의 파괴를 진행시킨다. 이런 관련된 cytokine들은 순차적으로 상주하는 치은세포 및 대식세포가 Matrix metalloproteinase 합성을 하도록 유도하여 조직파괴를 시작한다. 당뇨병은 치주질환의 위험요소중 하나로 당뇨 환자에서는 치주질환의 유병율이 일반인에 비해 높고 치주질환의 중증도도 더 심하여 진행도 빠르다고 알려져 있다. 그 병리 기전 중 하나로 당뇨 환자에서는 치은 열구액 내 중성구 유래의 Matrix metalloproteinase의 활성 증가 및 TIMP-1 발현의 변화가 추정되고 있으나 아직 치은조직내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이에, 본 실험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들에서 만성 치주염 부위의 치은 및 건강한 치은에서 염증 매개체 중 하나인 $IL-1{\beta}$, MMP-13 및 TIMP-1의 발현에 대해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서 염증, 혈당이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한 치주조직 파괴의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경북대학교병원 치주과 내원환자 중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들 및 치주질환이 없는 건강인 대조군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환자요소, 임상 치주상태를 기록하고,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건강한 부위(n=8, Group 1),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n=8, Group 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 (n=8, Group 3)에서 각각 변연치은을 채득하고 액화질소에 급속 동결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각 조직 내 $IL-1{\beta}$, MMP-13 및 TIMP-1의 발현을 관찰,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상대적 발현을 정량, 각 조직의 ${\beta}-actin$을 이용하여 표준화하여 실험군과 대조군들의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비당뇨 환자들의 만성 치주염 부위 및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모두 건강 대조군에 비해, MMP-13와 TIMP-1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또한 $IL-1{\beta}$와 MMP-13는 2형 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가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보다 증가된 발현양상을 보였다. 2형 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IL-1{\beta}$가 증가함에 따라 MMP-13이 증가하였으며, $IL-1{\beta}$ 및 MMP-13이 증가하였지만 TIMP-1 수치는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환자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MMP-13과 TIMP-1이 염증조직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IL-1{\beta}$, MMP-13이 2형 당뇨환자의 만성치주염 진행과정에 부분적인 기여 인자로써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Gingival Inflammation, and Periodontal Bacteria after 4-Week Weight Control Program in 20's

  • Seo, Min-Seock;Hwang, Soo-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9-107
    • /
    • 2022
  • Background: Obesity weakens acquired immunity and causes infec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ammatory markers in the gingival crevicular fluid and serum and periodontal bacteria in saliva through obesity control for 4 weeks. Methods: Forty-six subjects with a body mass index (BMI) of ≥23 kg/m2 stayed in the camp for 4 weeks, followed by exercise and a low salt-low fat diet. Body size measurements, oral examinations, blood, saliva, and gingival crevicular fluid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C-reactive protein (CRP) in serum, matrix metalloproteinase (MMP)-8, MMP-9, and interleukin (IL)-1β in the gingival sulcus fluid were measured. After extracting bacterial genomic DNA from saliva, the presence of periodontal bacteria were detected using Taq probe. The relationship of each index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Campylobacter rectus (Cr) increased after the progra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other bacteria. Serum CRP and Fusobacterium nucleatum (Fn),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Cr, ratio of Fn, and ratio of C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at baseline; however, the relationship was not significant after the program. Ratio of Prevotella intermedia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MMP-9, MMP-8, IL-1β at baseline. Moreover, the ratio of Treponema denticola and the ratio of Tannerella forsythia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MMP-8, MMP-9, and IL-1β.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IL-1β showed a constant positive relationship at baseline and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Obesity control program in subjects with a BMI of ≥23 kg/m2 accompanied by diet and exercise did not affect the changes in periodontal bacteria itself, but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bacteria and serum CR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ammatory index in the gingival crevicular fluid and periodontal bacteria was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