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bolic control

검색결과 1,146건 처리시간 0.031초

Aspergillus sp. PS-104의 액침배양증 mycellial pellet 형성에 미치는 황토의 영향 (Effects of Loess on the Mycellial Pellet Formation of Phosphate-solubilizing Fungus, Aspergillus sp. PS-104 in the Submerged Culture)

  • 강선철;구본성;태언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3
    • /
    • 2002
  • 유리인산 생산균을 생물비료화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산가용화능이 우수한 Aspergillus sp. PS-104 균주를 액침배양하면서 pellet 형성에 미치는 황토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spergillus sp. PS-104의 분생포자를 황토를 포함하는 PDB 배지에 접종하여 50 rpm의 낮은 속도로 교반하여 배양하면 무정형의 불규칙적인 pellet을 형성하는 반면에 150 rpm의 높은 속도로 배양하면 구형의 규칙적인 pellet을 형성하였다. 또한 0$\sim$1.0% (W/V) 범위의 황토 첨가시에는 황토의 농도가 높을수록 pellet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었으며, 1.0% 황토 농도에서 $1.0\pm0.1$ mm의 가장 작은 pellet이 형성되었다. 이 결과는 황토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약 4배 작아진 것이다. 그러나 황토 농도가 1.5% 이상 되면 무정형의 큰 pellet이 형성되었다. 또한 황토의 주성분인 $SiO_2$, $Fe_2O_3$, $Al_2O_3$, $CaCO_3$, $CaSO_4$ and $MgCO_3$ 분말을 각각 0$\sim$1.0%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여 pellet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Al_2O_3$를 제외하고는 첨가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작은 크기의 pellet이 형성되었으며, $MgCO_3$ 를 첨가했을 때 가장 작은 크기의 pellet을 형성하였다.

강황 추출물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by Curcuma longa L. Extract)

  • 이영섭;이대영;권동렬;강옥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76-286
    • /
    • 2020
  • Backgrou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a chronic liver disease associated with multiple metabolic disorders. The medicinal plant Curcuma longa L. is widely distributed in Asia and has been used to treat a spectrum diseases in clinical practice. To date, there are inadequate reports of the effects of C. longa 50% EtOH extract (CE) on NAFLD.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CE on an NAFLD animal and elucidate the mechanism of action. Methods and Results: C57BL/6J mice fed a methionine-choline deficient diet (MCD) were treated with CE or milk thistle, and changes in inflammation and stetosis were assessed.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six group (n = 10); Normal, MCD, MCD + CE 50 mg/kg/day (CE 50), MCD + CE 100 mg/kg/day (CE 100), MCD + CE 150 mg/kg/day (CE 150), and the Control, MCD + Milk thistle 150 mg/kg/day (MT 150). Body weight, liver weight, liver function, and histological changes were assessed in experimental animals.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es were performed on samples collected after 4 weeks of treatment. We observed that CE administration improved MCD-diet-induced lipid accumulation, and triglyceride (TG) and total cholesterol (TC) levels in serum. Treatment with CE also decreased hepatic lipogenesis through modulation of the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 (SREBP-1),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 fatty acid synthase (FAS),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expresion. In addition, the use of CE increased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phosphorylation and inhibited the up-regulation of toll-like receptor (TLR)-2 and TLR-4 signaling an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Conclusions: In this report, we observed that CE regulated lipid accumulation in an MCD dietinduced NAFLD model by decreasing lipogenesis. These data suggeste that CE could effectively protect mice against MCD-induced NAFLD, by inhibiting the TLR-2 and TLR-4 signaling cascades.

Diabetes-prone BB Rat을 이용한 가미육미지황탕의 항당뇨 효과 (The Antidiabetic Effect of Gamiyookmijihwangtang on Diabetes-prone BB Rats)

  • 이윤경;김순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206-1212
    • /
    • 2000
  • 가미육미지황탕이 BB rat에서 유발되는 당뇨병을 개선시킬 수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BB rat은 태아시기부터 생후 120일까지 가미육미지황탕을 공급받았으며 생후 21일된 BB rat 60마리(수놈 30마리, 암놈 30마리)를 무처치군인 BBDP군과 가미육미지황탕을 투여한 군인 BBDP-GY군으로 임의로 배치하여 생후 120일까지 사육하였다. BBDP-GY군의 쥐들에게는 가미육미지황탕을 16mL/㎏ B.W./day 분량으로 물에 섞어 주었다. 가미육미지황탕의 항당뇨 효과는 다뇨, 다음, 고혈당 및 체중감소와 같은 임상적인 요소들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그 결과 가미육미지황탕은 당뇨병의 발병시기를 지연시켰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의 발병율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그러나 일단 발병이 되고 나서는 당뇨병의 진전을 지연시키거나 치유하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의 발병과 동시에 체중의 현저한 감소 및 물 소모량, 배뇨량 그리고 혈당에 있어 현저한 증가가 나타났고 당뇨의 발병이 있기 전에는 체중에 있어서 발병 2-4일전에 체중의 증가가 거의 없거나 또는 약간 있을 뿐 다른 항목들에서는 발병을 알리는 어떤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 PDF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18 : 안정성과 내약성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Bipolar Disorder 2018 : Safety and Tolerability)

  • 손인기;박원명;윤보현;전덕인;서정석;김원;이정구;우영섭;정종현;김문두;정영은;심세훈;송후림;민경준
    • 우울조울병
    • /
    • 제16권3호
    • /
    • pp.134-139
    • /
    • 2018
  • Objectives : Treatment for bipolar disorder is often complicated by various clinical situations. We undertook a survey of expert opinions to facilitate clinical decisions in special situations such as weight gain, metabolic syndrome, hyperprolactinemia, genetic counseling, and treatment adherence. Methods : A written survey that asked treatment strategies related to safety and tolerability, was prepared focused on weight gain, antipsychotic related hyperprolactinemia, lamotrigine related skin rash, treatment non-adherence and genetic counseling. Sixty-one experts of the review committee completed the survey. Results : In the case of weight gain related to medications, experts preferred exercise and education for diet-control. First chosen medications were lamotrigine, aripiprazole and ziprasidone. Recommendations based on expert survey results for treatment of bipolar patients in other special situations are outlined. Conclusion : With limitation of expert opinions, authors hope that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make clinical decisions about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in complicated situations.

RNN을 이용한 제2형 당뇨병 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2DM Prediction Model Using RNN)

  • 장진수;이민준;이태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249-255
    • /
    • 2019
  • 제2형 당뇨병은 고혈당이 특징인 대사성 분비 장애로 여러 합병증을 야기하는 질병이며,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매년 많은 의료비를 지출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한 시점에서의 데이터를 학습시켜 예측함으로써 정확도가 높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발생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RNN을 이용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 지역사회 코호트(안산 안성)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데이터들을 모두 학습시켜 당뇨병 발생 예측모델을 만들었다. 예측 모델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의 기계 학습 방법인 LR, k-NN, SVM과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비교한 결과 제안한 예측모델의 accuracy는 0.92, AUC는 0.92로 다른 기계 학습 방법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제2형 당뇨병 발생 예측 모델을 활용하여 발병을 조기 예측함으로써 생활습관 개선 및 혈당조절을 통해 당뇨병 발병을 예방하고 늦출 수 있을 것이다.

L-carnitine에 의한 인간대장암세포주 증식억제 및 산화적손상 기전 규명 (The Anti-Proliferation and Oxidative Damage-Related Mechanism of L-Carnitine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이주연;박정란;장애라;양세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3-308
    • /
    • 2019
  • L-carnitine은 라이신과 메티오닌으로 생합성되며 골격근과 심근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조직에서 발견된다. L-carnitine이 포함된 식품으로는 양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등이 있고 근육발달에 도움을 주며 뼈를 강화하거나 대사작용을 도와주는 기능을 하여 영양 보조제로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L-carnitine은 제 2형 당뇨병, 골다공증, 대사성 신경증후군 등의 다양한 질병의 약물로도 연구 되고 있으며 암에서는 치료 보조제로 개발되어있다. 하지만 대장암에서의 L-carnitine에 대한 효과 및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고 연구된 바가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L-carnitine의 효능을 인간대장암세포주 HCT116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L-carnitine은 세포 내 활성산소종 (ROS)를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켜 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또한, 세포 증식과 죽음에 관련한 단백질 ERK1/2와 p38을 유의적으로 활성화 시킨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때, ERK1/2 억제제(PD98059)를 처치하여 ERK1/2의 활성화가 활성산소종 발생 및 세포사멸에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L-carnitine이 대장암세포주의 증식을 억제 할 수 있고 이는 대장암의 치료에 있어 잠재적인 치료 물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 과정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기전을 조사하여 항암의 치료기전에서 활성산소종이나 ERK1/2, p38 단백질의 활성화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Essential oil mixture on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 an in vitro study

  • Kim, Hanbeen;Jung, Eunsang;Lee, Hyo Gun;Kim, Byeongwoo;Cho, Seongkeun;Lee, Seyoung;Kwon, Inhyuk;Seo, Jakyeo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6호
    • /
    • pp.808-814
    • /
    • 2019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sential oil mixture (EOM) supplementation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hanges in an in vitro. Methods: Thre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used: control (CON, no additive), EOM 0.1 (supplementation of 1 g EOM/kg of substrate), and EOM 0.2 (supplementation of 2 g EOM/kg of substrate). An in vitro ferment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strained rumen fluid for 12 and 24 h incubation periods. At each time poin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IVNDFD), pH, ammonia nitrogen ($NH_3-N$), and volatile fatty acid (VFA) concentrations, and relative microbial diversity were estimated. Results: After 24 h incubation, treatments involving EOM supplementation led to significantly higher IVDMD (treatments and quadratic effect; p = 0.019 and 0.008) and IVNDFD (linear effect; p = 0.068) than did the CON treatment. The EOM 0.2 supplementation group had the highest $NH_3-N$ concentration (treatments; p = 0.032). Both EOM supplementations did not affect total VFA concentration and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VFAs; however, total VFA tended to increase in EOM supplementation groups, after 12 h incubation (linear; p = 0.071). Relative protozoa abundance significantly increased following EOM supplementation (treatments, p<0.001). Selenomonas ruminantium and Ruminococcus albus (treatments; p<0.001 and p = 0.005), abundance was higher in the EOM 0.1 treatment group than in CON. The abundance of Butyrivibrio fibrisolvens, fungi and Ruminococcus flavefaciens (treatments; p<0.001, p<0.001, and p = 0.005) was higher following EOM 0.2 treatment. Conclusion: The addition of newly developed EOM increased IVDMD, IVNDFD, and tended to increase total VFA indicating that it may be used as a feed additive to improve rumen fermentation by modulating rumen microbial communities. Further studies would b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detailed metabolic mechanism underlying the effects of EOM supplementation.

한방 및 식품 융합 '식치(食治)' 콘텐츠 연구(제1보) -오미자와 콩을 이용한 오미갈수(五味渴水)의 건강증진 효과 및 품질개선 실증 연구- (Establishment of Korean Medicine and Food convergence Contents 'Sikchi' for Health Promotion(1) -A Study on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Omigalsu using Omija and Soybean-)

  • 김유진;양혜정;김민정;장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63-171
    • /
    • 2021
  • 한국의 조리서와 한의서, 역사서 등 고문헌에는 건강과 음식, 치료에 관한 다양한 기록들이 있으며, 이러한 기록을 통해 '식치(食治)'의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식치(食治)는 '의료와 식품이 같은 원리로 작용한다' 라는 식약동원(食藥同源)의 뜻을 포함하는 의미로 전통지식으로만 그치지 않고 현대의 식문화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식치(食治)의 원리를 바탕으로 고문헌의 기록된 식품에 대한 과학적 검증을 통해 현대의 건강식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인의 대표적인 대사질환 중 하나인 혈당 조절과 관련이 있는 오미자, 콩, 꿀을 주원료로 하는 전통음료인 '오미갈수(五味渴水)'를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고문헌의 기록을 토대로 전통 오미갈수를 재현하였을 때 꿀에 의해 발생하는 음료의 엉김현상이나 섭취 후 혈당 상승 작용을 보완하기 위해 꿀을 대체할 수 있는 식품 소재를 발굴하였다. 이 소재를 활용하여 새롭게 제조한 오미갈수를 전통 오미갈수와 비교 시험을 통해 새롭게 제조한 오미갈수의 건강증진 및 품질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지식의 하나인 식치의 원리를 활용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 현대사회의 식품바이오, 헬스케어 등 의료 및 식품 분야의 다양한 콘텐츠로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곰팡이 생육 및 곰팡이 독소 생산의 억제에 있어서의 유산균의 역할 (The Roles of Lactic Acid Bacteria for Control of Fungal Growth and Mycotoxins)

  • 김지후;이희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128-1139
    • /
    • 2020
  • 최근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서 식품과 농산물에 Aspergillus, Fusarium 및 Penicillium속에 해당하는 곰팡이에 의한 오염이 빈번하고 이들에 의해 생성되는 aflatoxins, fumonisins, ochratoxins, patulin, trichothecenes, zearalenone등의 곰팡이 독소로 인해서 인간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고 또한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하고 있다. 최근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으로 인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프로피온산 및 소브산과 같은 보존료에 대한 거부감이 증가하고 있어 천연의 소재로부터 이를 대체할 만한 항진균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총설에서는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생물학적 방법으로 유산균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유산균은 저분자 화합물인 유기산, reuterin, 단백질 유래 화합물, 하이드록시 지방산, 페놀 화합물과 같은 다양한 대사산물을 통하여 곰팡이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고 있으며, 또한 유산균의 세포벽 구성성분과의 흡착, 곰팡이 독소의 분해 및 곰팡이 독소의 생산 저해 등을 통하여 곰팡이 독소의 생산을 감소시키고 있는 사실이 제시되고 있다. 유산균은 다양한 종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산하고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 생산을 제어할 수 있는 잠재력 갖추고 있으므로, 유산균은 식품에 있어서 곰팡이의 생육을 조절하는 소재로서 주목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Evaluation of liquid and powdered forms of polyclonal antibody preparation against Streptococcus bovis and Fusobacterium necrophorum in cattle adapted or not adapted to highly fermentable carbohydrate diets

  • Cassiano, Eduardo Cuellar Orlandi;Perna, Flavio Junior;Barros, Tarley Araujo;Marino, Carolina Tobias;Pacheco, Rodrigo Dias Lauritano;Ferreira, Fernanda Altieri;Millen, Danilo Domingues;Martins, Mauricio Furlan;Pugine, Silvana Marina Piccoli;de Melo, Mariza Pires;Beauchemin, Karen Ann;Meyer, Paula Marques;Arrigoni, Mario de Beni;Rodrigues, Paulo Henrique Mazza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호
    • /
    • pp.74-84
    • /
    • 2021
  • Objective: Feed additives that modify rumen fermentation can be used to prevent metabolic disturbances such as acidosis and optimize beef cattle production. The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liquid and powdered forms of polyclonal antibody preparation (PAP) against Streptococcus bovis and Fusobacterium necrophorum on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in ruminally cannulated non-lactating dairy cows that were adapted or unadapted to a high concentrate diet. Methods: A double 3×3 Latin square design was used with three PAP treatments (control, powdered, and liquid PAP) and two adaptation protocols (adapted, unadapted; applied to the square). Adapted animals were transitioned for 2 weeks from an all-forage to an 80% concentrate diet, while unadapted animals were switched abruptly. Results: Interactions between sampling time and adaptation were observed; 12 h after feeding, the adapted group had lower ruminal pH and greater total short chain fatty acid concentrations than the unadapted group, while the opposite was observed after 24 h. Acetate:propionate ratio, molar proportion of butyrate and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were generally greater in adapted than unadapted cattle up to 36 h after feeding. Adaptation promoted 3.5 times the number of Entodinium protozoa but copy numbers of Streptococcus bovis and Fibrobacter succinogens genes in rumen fluid were not affected. However, neither liquid nor powdered forms of PAP altered rumen acidosis variables in adapted or unadapted animals. Conclusion: Adaptation of cattle to highly fermentable carbohydrate diets promoted a more stable ruminal environment, but PAP was not effective in this study in which no animal experienced acute or sub-acute rumen acid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