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cognitive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2초

A Quest of Design Principles of Cognitive Artifacts through Case Analysis in e-Learning: A Learner-Centered Perspective

  • PARK, Seong Ik;LIM, Wan Chul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0권1호
    • /
    • pp.1-23
    • /
    • 2009
  • Learners are often posited in a paradoxical situation where they are not fully involved in decision making processes on how to learn, in designing their tools. Cognitive artifacts in e-learning are supposed to effectively support learner-centered e-lear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cases of cognitive artifacts and to inquire those design principles for facilitating the learner-centered e-learning. Four research questions are suggested: First, it will b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ith respect to design of cognitive artifacts for supporting the learner-centered e-learning. Second, characteristics of four cases to design cognitive artifacts in learner-centered e-learning environment are analyzed. Third, it will be suggested the appropriate design principles of cognitive artifacts to facilitating learner-centered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Four cases of cognitive artifacts design in learner-centered e-learning was identified as follows: Wiki software as cognitive artifacts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Play Around Network (PAN)' as cognitive artifact to monitor learning activities in knowledge community; Knowledge Forum System (KFS) as a cognitive artifact in knowledge building; cognitive artifacts in Courses-as-seeds applied meta-design. Five design principles are concluded as follows: Promoting externalization of cognitive artifacts to private media; Helping learners to initiate their learning processes; Encouraging learners to make connections with other learners' knowledge building and their cognitive artifacts; Promoting monitoring of participants' contributions in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Supporting learners to design their cognitive artifacts.

소외계층 영재학생의 인지특성과 학습요구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Needs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 박민정;박지연;전동렬;이경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1-20
    • /
    • 2016
  •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의 인지적 특성과 학습요구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영재 99명, 소외영재 43명, 일반학생 50명에게 지능, 창의성, 상위인지, 인식론적 신념, 과제 선호도, 개인시간 활용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소외영재는 지능 검사에서 다른 집단보다 점수 향상이 빠르게 나타나 추상화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소외영재는 토랜스 창의성 도형 검사에서 일반영재만큼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언어 검사에서는 일반영재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소외영재는 노력, 학습 능력, 전체 학습계획, 통합적 지식이 학습에서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지만, 일반영재에 비해 학습관리와 책략 같은 상위인지 기술과 합리적인 작업의 가치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이 낮고 학습시간도 적었다. 독창적인 과제는 선호하나 어려운 것을 기피하는 소외영재의 성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접근하는 과제를 활용하거나 과제를 단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언어능력 신장, 학습내용의 실제 생활에의 적용, 상위인지 기술 개발 등이 소외계층 영재를 위한 지도 방안으로 제안된다.

메타버스와 메타피직스의 영화적 순환 (Cinematic Circulation of Meta-verse and Meta-physics)

  • 심광현
    • 트랜스-
    • /
    • 제12권
    • /
    • pp.81-106
    • /
    • 2022
  • 메타버스 시스템이 향후 초연결 사회의 촉매가 될 수 있을지는 인공지능 기술과 마찬가지로 연관 기술의 발전 속도와 사회적 활용 범위의 확장 여부에 달려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런 현실화 과정의 문제를 괄호치고, 기술 발전이 가속화될 경우 이 복합적인 기술-사회의 짝패구조가 영화의 미래와 연관된 인지생태학적 변화와 관련된 몇 가지 철학적-정치적 논점에 한정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흔히 메타버스의 핵심은 '몰입도'에 있다고 보지만 인지생태학적으로 보면 한 장의 그림이나 사진의 몰입도는 '재현의 정확성'보다는 그것이 주는 메시지의 맥락적 연결성에 달려 있다는 점을 환기해 보면 정확한 판단은 아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메타버스의 진정한 잠재력은 새로운 자연적-사회적-기술적 짝패구조의 형성 속에서 활성화될 인간 뇌의 다중지능적 연결 능력(증강-시뮬레이션, 외부-내부의 교차)의 변화라는 인지생태학적인 맥락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런 인지생태학적 잠재력은 이미 오래 전부터 [현실의 모순/갈등(M1)-->허구적 변형을 통한 영화적 해결책(M2)-->관객의 소원-성취 욕망에 의한 선택적 해석(M3)-->현실의 변화(M1']라는 삼중 미메시스의 영화적 순환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실현되어 왔다. 따라서 메타버스 시스템의 진정한 잠재력은 현실적인 분리/문제들과 이상적인 연결/해결 사이의 영화적 순환을 더욱 확장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발전된 메타버스는 피직스-메타피직스의 이상적 순환의 현대적인 기술적 버전으로 비유될 수 있을 것이다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수업 목표 분석 (Analyse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Wise Lif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이은영;신명경;최취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1호
    • /
    • pp.1-1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Wise Lif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t was to extend understanding the 7th and the revised Wise Life 2007 as well. The written objectives of two curriculum of Wise Life were divided into two,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Major activity subjects presented in the 7th and the revised Wise Life 2007 were dominantly the basic inquiry activity types. It was found from this research that the 'factual' knowledge of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understand'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ook a large proportion of the revised Wise Life 2007 objectives. The 'meta-cognitive' knowledge was increased. 'Remember'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decreased and the high level objectives as 'analyze' and 'create',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increased from the 7th to the revised curriculum. The 'factual'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were engaged with 'understand' and the 'procedural' knowledge were engaged with 'apply'. The 'meta- cognitive' were engaged with 'create' is the 'procedural' knowledge in the revised Wise Life 2007. 'Remember' was decreased. 'Create' was increased in the basic inquiry activities. It was analysed in zero percent of 'Observing', 'Investigating and Presenting', and 'Making'.

비약물 중재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on depressive symptoms in th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방양희;조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71-80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시행된 비약물 중재의 우울 증상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PubMed, CINAHL, PsycINFO, Science direct, KISS, RISS, DBPia 등의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1,147편의 문헌을 검색하였고 문헌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21편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문헌의 질평가는 2명의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시행하였다. 비약물 중재의 효과크기는 CMA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비약물 중재의 우울 증상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ES=-0.68)로 나타났다. 하위그룹 분석결과, 인지중재(ES=-1.03)와 복합중재(ES=-0.97)가 운동중재(ES=-0.53)에 비해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비약물 중재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증상 감소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증상 개선을 위한 다양한 비약물 중재프로그램이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간호학과 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선녀;방미선;신해윤;손수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5-23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conduct meta-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were collected based on search terms and converted into a numerical database. Data extraction, quality assessment and analysis includ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mpleted. Results: The review included 27 studies. There were 25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nursing students.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sub-factors: personal, contextual, cognitive-emotional, and goal-related. In the meta-analysis of 27 articles the total effect size (ESr) was .34. The effect sizes of the four sub-factors were .37 for individual factors, .25 for situation factors, .34 for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nd .41 for target factors. The main factors were .53 for career-related efficacy, .43 for self-leadership, and .43 for career decision level. Conclusion: Nursing students with high career-related efficacy and self-leadership a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nursing students must improve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areer effectiveness through education so that they can set career goals.

수학 문제해결에서 메타정의의 기능 (The Function of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도주원;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3-581
    • /
    • 2016
  • 수학 문제해결에서의 메타정의에 대한 연구 관심은 인지-메타인지의 구조에 착안하여 정의적 요소 간에 유사한 구조 설정의 시도로부터 출발하였으나 메타인지에 대한 연구와 비교할 때 아직 연구의 명료성이나 통일성 또는 체계성 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작용하는 일련의 인지적, 정의적 요소의 연쇄 유형 중에 정의적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로써 '메타정의'의 개념을 규정하여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날 수 있는 실제적인 메타정의의 각 경우를 논리적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준거로 초등학생의 실제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메타정의의 각 유형에 해당하는 실제 예를 관찰,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수학문제해결 과정에서 메타정의의 작동 메커니즘, 즉 메타정의의 각 유형별로 구체적 작동 원리와 특히 문제해결 과정에 생산적으로 작동하는 메타적 기능의 특성을 추출하였다. 이는 문제해결에서의 메타정의 분석 방법론의 효율성 제고와 수학 문제해결 교수-학습에서의 메타정의가 함의하는 교육적 시사점 제공이란 면에서 기여한다.

A Meta-study of Extensive English Reading Researches

  • Kim, Jeong-Ryeol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2호
    • /
    • pp.85-106
    • /
    • 2012
  •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extensive reading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classrooms. The effects of extensive reading are shown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 in Krashen (1999) and Spada (1997), particularly researches done in classroom setting. Extensive reading is hard to implement in foreign language classrooms due to the stringent school curricula despite its benefits i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of learners. This study searched 21 papers from research database on extensive reading researches in a classroom setting and synthesized 55 cognitive effects and 11 affective effects from these papers under investigation in a manner of quantifying their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o derive generalizations. Research synthesis in this manner has secured its own status of scientific investigation by providing secondary researchers with replicable methods that produce verifiable findings. The syntheses of researches show that extensive reading is effective in both literacy skills and other language skills such as listening and writing. It also shows positive effects across different age groups, but the effect sizes are different in that elementary and adults gained more positive effects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PDF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 Meta-Analysis

  • Altun, Hamide Kubra;Lee, Jeo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3호
    • /
    • pp.18-32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meta-analysis of the learning outcomes of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ELT). This study examined 12 articles, yielding a total of 20 effect sizes.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program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0.84, implying a large effect size. Additionally, the mean effect sizes of the dependent variables revealed a large effect size for both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moderator variables such as sample scale, technology type, tool type, work type, program type, duration (sessions), the degree of immersion, instructional technique, and augmented reality (AR) type. Among the moderators, the degree of immers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had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in ELT.

메타리터러시 관점에서의 문헌정보학 전공 커리큘럼 진단연구 (A Diagnostic Analysis of LIS Curriculum from the Meta-literacy Perspective)

  • 유사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91-220
    • /
    • 2018
  • 정보 리터러시와 관련된 인지과정 중심 교육모형(Bloom's taxonomy), 사서 직무교육 내용, 디지털 큐레이션 등에 관한 최근 연구들을 바탕으로 메타리터러시 역량을 도출한다. 웹3.0 정보환경의 상황적 요소를 분석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능력과 정보 신기술의 적응 능력을 중요한 역량으로 확장시킨 메타리터러시 개념을 기준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대학 커리큘럼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미래지향적 예비 사서의 전문성 배양 측면에서 강조되어야 할 전공 교과목을 진단하고 커리큘럼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