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siodistal dimensio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Biometry of width between labial transitional line angles in anterior teeth: an observational study

  • Wen, Chao;Ye, Hongqiang;Chen, Hu;Zhou, Yongsheng;Huang, Mingming;Sun, Yuchu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22
  • PURPOSE. The maximum width between the mesial and distal labial transitional line angles, described as "esthetic width" herein,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teeth and smil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biometric research on esthetic width and to explore whether regular distribution exists in the esthetic width of human teeth.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264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were measured using the Geomagic studio software program. The proportions of maxillary to mandibular homonymous teeth and proportions between the adjacent teeth were calculated. Bilateral symmetr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sthetic and mesiodistal widths were both accounted for during the measurement procedures. RESULTS. The mean esthetic widths were 6.773 ± 0.518 mm and 4.329 ± 0.331 mm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central incisors, respectively, 5.451 ± 0.487 mm and 5.008 ± 0.351 mm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lateral incisors, respectively, and 3.340 ± 0.353 mm and 5.958 ± 0.415 mm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canines, respectively. Except for the mandibular canin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sthetic width was found among homonymous teeth from the same jaw. A high linea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esthetic and mesiodistal widths of the same tooth, except for the maxillary canines. Esthetic width proportions among different tooth categories showed some regular patterns,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mesiodistal width. CONCLUSION. Esthetic width is regularly distributed among the teeth in the Chinese population. This could provide an important reference for anterior dental restorations and dimension recovery in esthetic reconstruction of anterior teeth.

상악 유절치 지르코니아 전장관 수복을 위한 3차원 분석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Primary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Anterior Zirconia Crown)

  • 이정민;이효설;남옥형;김미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6-186
    • /
    • 2016
  • 본 연구는 전치부 지르코니아 전장관을 위한 적정 치아 삭제량을 조사하기 위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 지르코니아와 다른 유치 전장관들의 크기와 형태를 분석하였다. 상악 좌측 유중절치, 유측절치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금속관의 내/외면, 레진관의 외면을 스캔하여, 근원심경이 유사한 세 종류의 전장관을 한 군으로 만들어 분석하였다. 외면에서 모든 중절치, 1번 측절치 지르코니아 전장관이 같은 군의 전장관 중 가장 큰 순설경을 나타냈다. 내면에서 지르코니아 전장관은 금속관에 비해 근원심경 0.7-1.0 mm, 치관길이는 1 mm 가량 작았으며, 순설경은 중절치에서는 더 컸으나 측절치에서는 더 작았다. 비교결과, 지르코니아 전장관은 절단면 2.5-3.0mm, 근원심 1.5-2 mm, 순면 0.5-1 mm, 설면결절을 장축에 평행하게 삭제 후 측절치에서만 0.5 mm 설면삭제를 시행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청소년 석고 모형 분석에 의한 하악절치 형태와 치아밀집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NTAL CROWDING AND ITS RELATIONSHIP TO MANDIBULAR INCISOR SHAPE BY MODEL ANALYSIS IN ADOLESCENTS)

  • 서정은;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93-604
    • /
    • 1995
  • 하악 전치의 밀집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부정교합의 특징중의 하나이며 교정치료후의 안정성과 재발 측면에서도 중요 관심의 대상이다. 이를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 그동안 많은 요소가 연구되어 왔으며 치아의 크기도 그 중의 하나이다. 현재 교정치료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치아 크기 측정에서는 순설측 폭경의 의미가 간과되어 왔는데 Peck과 Peck이 이상적인 하악 전치부 배열을 가진 경우 절치의 근원심 폭경은 평균보다 작고 순설측 폭경은 평균보다 크다는 통계학적 수치를 발표하고 MD/FL index가 하악 전치부 밀집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에 있어서 하악 절치의 형태 및 크기와 하악 전치부 밀집간의 상관관계, 그들과 전악궁의 치아 밀집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11세에서 17세에 이르는 154명의 석고 모형을 채득하여 Irregularity index 1 미만인 35명의 정상군과 Irregularity index 1 이상인 119명의 밀집군으로 분류하고 석고모형상에서 연관성 있다고 추정되는 계측항목을 측정한 후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은 밀집군에서 큰 값을 보였으나 중절치에서만 유의성을 보였고, 순설측 폭경과 MD/FL index는 유의차가 없게 나타났다. 2. Irregularity index는 밀집군의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 MD/FL index와 유의성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순설측 폭경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상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 치관 근원심 폭경 총화와는 순상관 관계를, 하악 견치간 폭경과 제 1 소구치간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3. 상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 overbite과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순설측 폭경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하악 절치의 MD/FL index와, 상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측절치의 MD/FL index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정상군과 밀집군의 각 계측항목의 t-검정 결과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 overbite에서만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 PDF

Anatomical Site Classification for Implant Insertion:ASCIi

  • Jeong, Seung-Mi;Chung, Chae-Heon;Engelke, W.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21-327
    • /
    • 2000
  • Statement of Problem. As a standard means of diagnostics, an orthopantomogram(OPT) permits to measure the vertical and mesiodistal dimension of available bone at the desired implant site with the help of suitable radioopaque references. Based on the clinical investigation of the dentition and the edentulous sites, information upon the width of the implant site can be obtained and documented in the dental scheme. Both findings permit together systematic primary planning for endosteal implants. Purpose of Study. Contents of the present article are the representation of a semi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available bone with the aim to simplify the primary phase of a systematic implant planning. Results. Thus the ASCIi- system permits a clear protocol of bone findings for the implant case with all information available during the primary appointment for treatment planning as a basis of further diagnostic and therapeutic measures. Conclusion. With the ASCIi system, important parameters such as alveolar height and sub-crestal alveolar width can be documented systematically, easily and time saving in the dental scheme as a basis for exact treatment planning.

  • PDF

한국인에서 치아 및 악궁의 크기와 총생의 관계 (DENTAL CROWDING AND ITS RELATIONSHIP TO TOOTH SIZE AND ARCH DIMENSION IN KOREAN)

  • 이난영;홍성수;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10-521
    • /
    • 2006
  • 본 연구는 총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총생군 50명(남녀 각 25명)과 정상 교합군 40명(남녀 각 20명)에서 상하악 모형을 제작하여 이를 3D model로 변환하였으며 컴퓨터 상에서 치아의 근원심폭경과 악궁의 길이 변연길이, 견치간 폭경, 구치간 폭경을 계측 및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아크기 분석시 상악에서는 측절치와 제1,2소구치에서 총생군의 치아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P<0.05) 나머지 치아의 크기 및 치아크기합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2. 하악에서는 중절치와 견치 및 제 1,2 소구치의 크기 그리고 치아크기합계에서 군간에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3. 악궁에 대한 평가시 상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와 구치간 폭경은 총생군에서 더 작았고 견치간 폭경은 총생군에서 더 컸으며 (P<0.05), 악궁의 장경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4. 하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는 총생군에서 더 작았으나(P<0.05), 악궁의 장경 및 구치간 폭경, 견치간 폭경에서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5. ALD와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와$({\gamma}=-0.348)$ 구치간 폭경 $({\gamma}=-0.343)$, 소구치크기와$({\gamma}=-0.335)$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에서는 치아크기합계를$({\gamma}=-0.454)$ 비롯한 모든 치아크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석고모형 계측치와 삼차원모형 계측치를 비교한 결과 석고모형에 비해 삼차원모형 계측치가 좀더 크게 계측되었으며 (P<0.05), 오차의 범위는 0.01-0.47mm이었다. 7 검사자내의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석고모형 계측시 보다 삼차원모형 계측치의 재현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총생이 존재할 때 상악에서는 큰 치아와 좁은 악궁이 복합적으로 기여하며 하악에서는 치아 크기가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삼차원모형은 현재 적절하게 사용가능하지만 향후 개선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치아 크키와 치열궁 폭경이 치아밀집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of Dental Crowding to Tooth Size and Arch Width)

  • 황현식;김정태;조진형;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88-496
    • /
    • 2004
  • 본 연구는 치아밀집이 과도한 치아크기에 의해 나타나는지 아니면 좁은 치열궁으로 인해 초래되는지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앵글씨 1급 구치관계를 가지면서 상악 하악 모두 7mm이상의 치아밀집을 나타내는 경우와 정상교합자를 각각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82조(남29, 여53)의 치아밀집 석고모형과 82조(남37, 여45)의 정상교합 석고모형에서 각 치아의 치관 근원심폭경과 협측 및 설측 치열궁 폭경을 측정하고 치아밀집군과 정상교합군 간에 비교한 결과 치관근원심폭경과 치열궁 폭경 모두에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아밀집의 기여요인을 살펴본 본 연구 결과 치아밀집은 치열궁과 치아크기, 모두에 의해 초래됨으로 치열궁 확장 및 치아발치, 모두가 치료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악 전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부정 교합의 치험례 (Malocclusion with Congenital Missing of Lower Incisors)

  • 김경호;최광철;정길용;윤희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81-989
    • /
    • 1998
  • 하악 전치의 위치와 각도, 형태와 근원심 폭경 등은 심미성, 전치부의 적절한 교합, 그리고 치료 후 안정성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악 전치가 선천적으로 결손된 경우 수평피개 및 수직피개의 증가, 인접치의 이동, 공극 및 치아 크기 부조화 등 교정적으로 복잡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하악 전치 결손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하악 전치 결손의 치료계획 수립시 전치의 위치와 각도, 입술 모양, crowding양, 견치와 대구치 관계, 수평 및 수직피개, 전후방적 골격 관계 및 치아크기 비율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전치부 치아 크기 부조화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 diagnostic model set-up을 시행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 본 증례의 두 환자는 모두 하악 전치 2개가 결손되었지만 crowding양, 골격 관계 및 입술 모양, 구치 관계 등이 달랐으며 이에 따른 치료 계획 역시 발치 및 비발치로 상이하였다. 앞으로 두 환자의 치료후 안정 및 유지에 대한 장기간의 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인상채득 후 시간경과에 따른 고무인상재의 체적변화 (AN EVALUATION OF THE TIME-DEPENDENT DIMENSIONAL STABILITY OF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

  • 이홍석;조석규;윤태호;박주미;송광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63-373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 The accuracy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 have been the subject of numerous investigation. Few studies have addressed the effect of changes in time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impression material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 and storage time on dimensional 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75 impressions were made of epoxy resin dies mimicked prepared 3-unit fixed partial denture. The dies had 1 buccolingual, 1 mesiodistal and 1 occlusogingival lines and interpreped dot. Impression materials investigated included two polyether impression materials and three polyvinylsiloxane impression material. 15 specimens were made of each impression material and poured by type IV stone over times (30 minutes, 24 hours, 72 hours) after mixing; the same examiner measured each specimen 3 times at a magnification of 3.5$\times$. All statistical tests were performed with the level of significance set at .05.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 at any measuring point of stone dies of the polyether impression materials and when measurements at 30 minutes, 24 hours, and 72 hours were compared ; the length of measuring point increased significantly as time passed by. However this result is not significant clinically. Analysi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any measuring point when polyvinylsiloxane and polyether impression materials were compar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clinically. Conclusion: Under the conditions of this study, the shrinkage rate of the polyvinylsiloxane and polyether impression material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ime passed by. The polyether impression materials showed higher shrinkage significantly, while the shrinkage rate of all five materials showed a significant time-dependent increase.

Cyclosporin A 혈중농도와 백서 치은증식과의 관계 (The Sr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Cyclosporin A level and Gingival Overgrowth in rats)

  • 정찬길;정현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71-8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the effects to the periodontal tissue in rats after Cyclosporin A (CsA) administra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dosage of CsA or blood CsA level and the seventy of gingival overgrowth in rats. Twenty 6-week-old Sprauge-Dawley Fats were randomized into 4groups. The control group received olive oil only and the test group received daily CsA in olive oil via gastric feeding for 6weeks at a 3,10, and 30mg/kg. Rats were weighed to evaluate the systemic effect of drug and stone models were made from alginate impressions of upper and lover anterior region at 2 week interval. On completion of offal CsA administration, blood were collected and blood CsA levels were quantitated by TDxFLx analyzer. Rats were sacrificed an6 their upper and lower jaws were removed together with the surrounding gingiva and soft tissue for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weight gain of GsA-treated rats was much less than of the control group and central incisors were gradually displaced and separated in the test groups. 2. The extensive fibrovascular proliferation and scattered inflammatoy infiltrates in an edematous stroma were observed in enlarged gingiva of CsA-treated rats. 3. The increase in buccolingual, mesiodistal dimension of the anterior teeth and vertical height of the interdental papilla showed dose-dependent manner in CsA-treated rats. 4.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blood CsA level and the severity of gingival overgrowth in anterior teeth.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everity of gingival enlargement in CsA treated rats is correlated with dosage of CsA administration and blood CsA level.

  • PDF

Relationships between the upper central incisor crown forms and degree of labial inclination, overbite, and overjet in Japanese young adults

  • Kurita, Takeshi;Mizuhashi, Fumi;Sato, Toshihide;Koide, Kaoru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6호
    • /
    • pp.338-343
    • /
    • 2020
  • PURPOS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rown form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and their labial inclination, overbite, and overjet. MATERIALS AND METHODS. Maxillary and mandibular casts of 169 healthy dentitions were subjected to 3D dental scanning, and analyzed using CAD software. The crown forms were divided into tapered, square, and ovoid based on the mesiodistal dimensions at 20% of the crown height to that at 40%. The degree of labial inclination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was defined as the angle between the occlusal plane and the line connecting the incisal edge and tooth cervix. The incisal edges of the right upper and lower central incisor that in contact with lines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were used to determine the overbite and overjet.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labial inclination, overbite, and overjet among the crown forms. RESULTS. The crown form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crown forms with a 20%/40% dimension ratio of 1.00±0.01 were defined as square, >1.01 as tapered, and <0.99 as ovoid. The labial inclination degree was the greatest in tapered and the least in square. Both overbite and overjet in tapered and ovoid were higher than those in square. CONCLUSION. Upper central incisor crown forms were related to their labial inclination, overbite, and overjet. It was suggested that the labial inclination, overbite, and overje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prosthetic treatment or restoring the front teeth crow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