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u Preference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3초

장애인 생활시설 급식관리 및 위생관리 실태조사 (Foodservice Management and Food Sanitation Management in the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 이혜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20-53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the equipment ratio of sanitary facility/equipment, and dietitians' perceptions of (i) the barriers to sanitary management and (ii) the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level in the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7 to October 15, 2006. A total of 91 institutions(response rate 74.6%)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dows ver. 14.0). The average number of meals served per day per an institution was 379. The majority(93.4%) of dietitians made decisions in procurement. The major part of the purchase was made through private contract. The factors affecting menu planning were nutrition, food preference, and cost, in the order of importance. Among the food items, fruits were infrequently served, while protein source foods and green leaf vegetables were almost daily served. The equipment ratio of sanitary facilities/equipment was 45%, which was relatively low. Most dietitians perceived 'limited availability of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the lack of support from financing department' as the major barriers in implementing a desirable sanitary system.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food ingredient' was perceived as the lowest, while that in 'the uniform' showed the high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proper supporting program on securing the facility/equipment and adequately trained employees are needed for successful sanitary management. Also, a more frequent supply of fruits for the disabled is recommended.

1인가구의 고용형태 및 연령별 혼자 식사(혼밥)관련 식행동 비교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of Eating Alone in Single Households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 조필규;오유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08-421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dietary behavio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hen eating alon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pattern and age. Methods: A total of 566 people aged 20~59 years old were collected from the status of workers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pattern (regular, non-regular workers and business owner). The subjects were collected by purposive quota sampling on a Gallup panel from June to November in 2017. The dietary behavior and perception of eating alone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via online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frequency of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gular group than the non-regular group and business group (p<0.01). The place of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gular and non-regular group in the convenience store, and business group in the office (p<0.001). Ramen, the menu when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regular group than the other groups (p<0.01). The preference for eating alone was lower in the older age group (p<0.05). The young aged group (aged 20~30) ate more fast food and felt more convenience than the older aged group aged 40~50 years (p<0.05). Conclusions: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 non-regular job have poorer dietary behavior in eating alone than those who had regular employment. In a situation of an increasing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aged in their 20s and 30s, there is a high likelihood of social problems, such as health and povert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healthy food selection environment to improve the dietary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non-regular jobs for the diverse typ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전남지역 농촌 주부들의 식생활관리 실태 조사 (A study on Food Management for Housewives Living in the Rural Area of Chonnam)

  • 정해옥;김은실;정복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9-326
    • /
    • 1999
  • A survey on the traditional management of dietary life, seasonal diets, and frequency of using traditional fermented foods, was conducted from six hundred forty housewives living in rural areas of Yosu and Yocheon distric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ajority of the subjects was in the range of 50-59 years old (43.1%), elementary schooling in education (38.1%), composition of family with parents and children (57.5%) with 3-4 family members (40.6%), and annual income of 5-8 million Won. 2. Korean style-house (36.7%), modernized kitchen (58.5%), and liquid fuel (69.7%) held the majority of the living environment. 3. Most of the households possessed refrigerator (98.9%), kitchenette range (98.4%) and electric rice pot (97.9%). 4. Access to traditional dishes was mostly prompted through elders or friends (84%). Preparing a meal was regarded to be a troublesome duty (41.5%). Husband's preference was the major factor for the meal preparation (53.7%) and about 30 min was spent for preparing dinner (53.7%). 5. Cooked rice was a main staple (99.5%) while three kinds of Kimchi (55.3%) were served as prime side dishes in the diets. Most Kimchi(94.7%) was prepared at home. To this basic menu, two or three side dishes were added at breakfast (77.2%), lunch (76.1%), and dinner (65.4%). MSG (mono-sodium glutamate) was consumed by 62.2% of the households. 6. Most rural households prepared traditional dishes on the traditional holidays in lunar calendar including New Year's Day (98.9%), First Full Moon of The Year (81.4%), and Autumn Full Moon (96.8%). 7 Traditional fermented foods prepared at home comprised Kimchi (87.2%), soybean paste (75.5%), red pepper soybean paste (73.9%), and soy sauce (70.7%).

  • PDF

식육가공품에 대한 영양사의 인식 및 이용실태조사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Dietitians' Perception and Usage of Processed Meat Products -Kyungnam Area)

  • 이영순;이동선;류은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813-822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dietitians 'perception and usage of processed meat products in institute foodservices. Out of 368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he subjects in school and business foodservices, 341 were chosen for statistical analysis after 27 were excluded for improper responses. According to the results, dietitian perceived the processed meat products food positively in terms of 'convenience'(3.94) and 'taste'(3.30), but negatively in terms of 'package'(275) and'additive'(2.01). In the frequency of usage, they used 'Ham'(2.51)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in order by 'Wanja'(2.17), 'Dongas'(1.99), 'Tangsuyook'(1.82), 'Hamburg Steak'(1.71), 'Dduckgalbi'(1.59), 'Bacon'(1.50), 'Luncheon meat'(1.39), and 'Smoked meat'(1.30). The perception of processed meat products was more different according to institutes than dietitian. For dietitian, the frequency of usag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and career, while for institute, it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management and the cycle of menu. Also dietitian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taste and preference'($90.1\%$) in buying and 'balance of nutrition'($72.0\%$) in cooking processed meat products (Ed- there is no respective comparison here). Finall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erception and usage of processed meat products, the tast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Hamburg steak', 'Tangsuyook', and 'Dongas', the additiv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angsuyook', and convenienc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Tangsuyoo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cessed meat products should be researched, developed, and supplied, with consideration for institution foodseuices.

자주 섭취하는 간식의 종류에 따른 경기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간식섭취실태, 식생활과 생활습관 및 음식 기호도 (The snacking pattern, diet, lifestyle and menu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rea, considering the most frequently eaten snacks)

  • 박혜진;강현주;이은숙;이홍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5호
    • /
    • pp.547-559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간식 섭취 실태를 조사하여 바람직한 간식을 섭취하는 아동에 비해 그렇지 않은 간식을 자주 섭취하는 아동의 식생활 및 생활습관, 학교 급식의 만족도 및 잔반 실태와 음식의 기호도를 비교하고자 경기 북부 소재 초등학교 3개교의 4-6학년 43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경우 가장 자주 섭취하는 간식으로 과자류 (37.3%) > 음료류 (11.7%) > 우유 및 유제품류 (9.0%) > 면류 (8.3%) > 빵류 (7.8%) > 분식류 (7.1%) > 패스트푸드류 (1.6%) 순으로 나타났는데, 가장 자주 섭취하는 간식을 과일, 우유·유제품으로 답한 군을 자연간식군 (114명), 면류, 분식류, 패스트푸드로 답한 경우 식사대용군 (74명), 과자류, 음료류, 빵류로 답한 경우 단맛간식군 (247명)으로 구분하여 군간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자연간식군의 경우 미취업모를 가진 비율, 간식빈도가 주 3회 이하로 낮은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간식을 스스로 구매하는 비율과 하루 간식 구입비가 3,000원 이상인 비율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식의 선호하는 맛으로 단맛을 택한 비율은 단맛간식군에서, 매운맛은 식사대용군에서, 새콤한 맛은 자연간식군에서 가장 많이 선택하여 유의적으로 달랐다. 식사대용군의 경우 아침에 한식을 먹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이 있었으며 생활습관 중에서 30분 이상 운동빈도가 자연간식군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자연간식군은 고기튀김류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낮은 반면 잡곡밥과 생채류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숙채와 채소볶음의 기호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한편 식사대용군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이 학교 급식에서 음식을 남기는 이유로 '배가 고프지 않아서'로 답한 경향은, 적절하지 못한 간식 섭취가 세끼 식사를 방해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음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초등학생 시기에 자연간식을 즐기는 식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이들 집단의 맛 기호도, 잡곡밥과 채소반찬 기호도, 운동습관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 결과는 본 조사대상자의 연령군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 자료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대구지역 고등학생의 학교급식서비스 공급 유형에 따른 석식만족도 조사 (A Study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Dinner by School Meal Service in Daegu)

  • 이은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7-291
    • /
    • 2012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교급식서비스 공급유형에 따른 급식만족도를 비교해보기 위해 대구시내 석식 운영위탁 급식고등학교 133명과 운반위탁 급식고등학교 119명을 대상으로 총 252명(남학생 138명, 여학생 114)에게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을 실시한 결과 BMI는 남학생 68.1%, 여학생 41.2%가 정상인 반면에 남학생은 10.1%, 여학생의 경우 50.0%가 저체중으로 분류되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식 섭취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두 학교 모두에서 맛, 영양, 위생, 기호도의 순이었으며,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서 가족이 가장 많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침결식은 여학생(17.5%)이 남학생(8.0%)보다 많았다. 학교급식(석식) 만족도는 운영위탁 급식 학교의 68.4%, 운반위탁 급식학교는 9.2%가 '만족한다'고 답해 급식형태별 만족도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만족한 경우 이유를 묻는 질문에서는 두 학교 모두에서 "음식의 맛'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나, 운반위탁 급식학교의 경우 '음식의 양'이 36.3%로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메뉴 만족도, 음식의 온도에 대한 만족도, 음식의 양에 대한 만족도에서 운반위탁 급식학교의 불만족도가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급식(석식) 서비스 만족도, 시설 위생 관련 만족도에 대한 조사에서는 모든 항목의 만족도에서 운영위탁 급식학교의 만족도가 높게 조사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교급식(석식)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은 운영위탁 급식학교에서는 음식의 맛 25.6%, 식단의 다양성 21.1%, 위생상태 17.3%, 균형 잡힌 영양과 음식의 양이 각 10.5% 등이었으며, 외부운반 급식학교는 음식의 맛 62.2%, 음식의 양 17.6%, 위생상태 8.4%, 식단의 다양성 8.4%로 응답해 운영 위탁급식학교와 외부운반 위탁급식학교와의 석식 개선사항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위탁급식의 운영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운반위탁급식에 있어서 불만족한 응답이 많았다. 이는 운영형태에 따른 한계라고 판단하기보다는 민간위탁을 통한 학교급식서비스가 잘 운영될 수 있도록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측정지표 등의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PTV환경에서 온톨로지와 k-medoids기법을 이용한 개인화 시스템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for IPTV using Ontology and K-medoids)

  • 윤병대;김종우;조용석;강상길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147-161
    • /
    • 2010
  • 최근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TV에 통신이라는 기술이 접목되면서, TV 시청 형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형태의 TV 시청 변화는 서비스 선택의 폭을 넓혀주지만 프로그램을 선택을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IPTV환경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환경에서 고객의 시청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 사용정보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그에 따라 고객을 k-medoids 방법을 이용해서 클러스터링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고객이 선호하는 콘텐츠를 추천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부분에서 본 제안방법의 우수성을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보여준다.

컨조인트 분석법을 이용한 한국 음식의 HMR 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MR Products of Korean Foods Using Conjoint Analysis)

  • 최원식;서경화;이수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6-16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음식의 HMR(가정 대용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된 현 시점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한국 음식의 HMR 상품 구성요소와 속성별 중요도, 속성수준의 부분가치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가상의 한국 음식의 HMR 상품을 추정해보고자 하였다. 최적의 한국 음식의 HMR 상품을 개발하고자 컨조인트 분석 기법에서 직교계획(Orthogonal Design)을 이용하여 9개의 프로파일을 선정하여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고, 모형의 신뢰성과 교차 타당성(Cross Validity) 검정을 위해 검정표본(Holdout Set) 4개를 함께 생성해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들은 한국음식의 HMR 상품을 선택할 때 조리정도, 메뉴 가격, 구입 장소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들은 한국음식의 HMR 상품을 구입해서 충분한 가열 후 식사를 하며, 그 메뉴의 가격은 10,000원 이상으로 인터넷 홈쇼핑에서 판매되는 HMR 상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식을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조리해서 먹을 수 있는 HMR 상품을 다양하게 개발을 한다면 보다 많은 신규 고객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노년소비자의 가치와 라이프스타일이 외식업체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Potential Effects of Restaurant Selection Preferences by Elderly Consumers' Values and Lifestyle)

  • 이영주;황영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20-237
    • /
    • 2014
  •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며 외식경험이 있는 55세 이상의 노년소비자의 개인가치와 라이프스타일이 외식업체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고령화 사회를 목전에 두고 있는 시점에서 외식기업의 경영활동과 그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그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논문을 바탕으로 관련 변수를 추출하고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소비자가 라이프스타일 활동지향형 요인 즉, 최신의 경향과 유행을 따르며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것을 즐겨하는 편이며, 때로는 열정적인 즐거움을 경험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적가치를 지향하는 노년소비자는 라이프스타일에 있어서 비교적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칙지향형은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으면서 조용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주변사람들로부터 평판이 좋은 곳을 주로 선택하며 활동지향형은 부대시설이나 노인 특가 할인된 메뉴와 서비스가 친절하며 가격이 저렴하다면 다소 멀어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년소비자의 개인가치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외식업체 선택속성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다 전국적인 범위로 외식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노년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보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노년외식소비자가 지향하는 가치와 외식업체 선택속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외식 기업의 활성화와 노년소비자 시장의 마켓팅 전략 수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패스트푸드점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 신애숙;노승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7-293
    • /
    • 2000
  • 부산지역 대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점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는 남학생 56.2%, 여학생이 43.8%이었고, 20-24세가 66.8%를 차지하였고, 자기집에 거주하는 학생이 73.6%이었으며. 평균용돈은 16-20만원이 31.8%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2. 대상자 중 패스트푸드점을 이용하는 대학생이 83.3%로 남학생이 77.6%, 여학생이 90.3%, 19세이하가 88.1%를 차지하였으며, 자기집에 거주하는 학생이 87.7%, 월평균용돈의 액수에 상관없이 높은 비율의 학생이 이용하고 있었다. 3. 패스트푸드점을 이용하는 시간대는 아무 때나가 44.7%로 가장 많았으며, 저녁시간, 점심시간 순으로 남학생은 아무 때나, 저녁시간대가 많았고, 여학생은 모든 시간대에 비슷한 비율로 높았다. 또한 자기집에 거주하는 학생이 아무 때나, 저녁시간대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4. 1회 이용시 평균비용은 삼천원대가 가장 많았는데 남학생은 삼천원이상 비용대의 비율이 높았고 여학생은 삼천원 비용대에서 두드러지게 그 비율이 높았다. 또 연령이 높을수록 비용이 많이 들었고, 자취와 하숙생이 삼천원 이상의 비용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평균용돈이 많을수록 삼천원 이상의 비용대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5. 패스트푸드점 이용시 메뉴선택은 기호에 따라 선택하는 비율이 64.5%로 가장 높았고,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기호에 따라 선택한다는 비율이 80.1%로 높았다. 6. 대학생들이 이용하는 패스트푸드점은 맥도널드이었으며 특히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맥도널드, 롯데리아 등을 많이 이용하였고, 나이가 많을수록 다른 패스트푸드점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로 볼때 대학생들의 패스트푸드점 이용은 점점 증가하고 있고, 소비하는 비용도 많아져 가고 있어 젊은이들의 식습관에 문제가 되리라 사료된다. 그러므로 패스트푸드의 영양성을 고려한 메뉴개발 등의 노력이 필요하며 미래의 주역이 될 대학생들의 식습관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