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u Preference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3초

경남지역 남자의 식습관 및 식품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Food Preference of Men in Kyung Nam Area)

  • 정효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9-202
    • /
    • 1999
  •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rch to May in 1998 to compare the food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391 men in Kyung Nam area who were between twenties and sixtie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 1. The 30's were highest(173.8cm) and the 60's were lowest(168.3cm) in their average stature. The 30's were heaviest(68.2Kg) and the 20's were lightest(62.3Kg) in their average weight(P<0.001). Average BMI was highest in the 50's and lowest in the 20's. 2. Average food habit score of the subjects(4.08) was as low as belonging to the poor group and lowest was 20's. 3. The rate of not eating was highest in the breakfast and the subjects ate breakfast more as they were older(P<0.001). The serious problem of food habit was irregular eating time. The subjects ate in the more irregular time as they were younger. 4. 88.9% of the subjects preferred cooked rice and cereals as their main food, kimchi as their side dish and fruit as their eating between meals. 5. We found great differences in the kinds and number of drinkings subjects preferred as their ages(P<0.001). 20's preferred cider and cola. 30's, 40's and 50's preferred coffee and 60's preferred ginseng tea and citron tea. The rate of smoking was higher in 30's and 40's then in 20's and 50's. 6. 72.9% of the 20's and 16.7% of the 60's ate instant food more than 2-3 times a week. They ate Ramen most often because of its convenience. They ate out more as they were younger and preferred Korean food as their eating out menu. 7. The degree of preference in a sweet taste was highest in 20's and lowest in 40's (P<0.01) and the degree in the preference of a sour taste became lower as they were older(P<0.001). Only in the preference of a salty taste,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of the BMI level. They showed high degree in the preference of a salty taste as the order of the over-weight group, normal group, under-weight group and fat group. They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BMI and the degree of preference of a salty taste in 20's and 40's and between the food habit score and the level of BMI in 60's (P<0.05).

  • PDF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Kimchi Menus for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 김성혜;김미정;김현주;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148-1156
    • /
    • 2013
  • 초등학생의 김치섭취량 증가를 목적으로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먼저 부산광역시 소재 H 초등학교 학생의 김치 섭취 실태조사 및 초등학교 영양(교)사를(n=87) 대상으로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에 등록된 김치 메뉴의 학교 급식 활용도를 조사하였으며, 문헌 및 실험조리에 근거한 초등학교급식용 김치 메뉴 7가지를 개발하였다. 각각의 메뉴를 학교 급식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기호도 및 잔반량 조사를 통하여 메뉴를 평가하였다. 또한 선정된 메뉴의 표준레시피에 대한 영양(교)사의 급식 활용 의사를 알아보았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학년(2학년)과 고학년(5학년)의 급식 시 김치 섭취량은 각각 7.7 g 및 6.9 g으로 한국인을 위한 식사구성안에서 제시한 분량(40 g)의 19.3% 및 17.3%에 불과하였다. NEIS에 등록된 29종의 김치 메뉴에 대하여 설문 대상 학교의 75% 이상에서 연 7회 이상 활용한 메뉴는 단 하나도 없었으며, 김치찌개가 유일하게 절반 정도의 학교에서 제공되었다. 닭살김치튀김, 김치스테이크를 포함한 10가지 메뉴는 전체의 75%가 급식에 전혀 이용하지 않았으며, 밥, 죽, 볶음, 전, 튀김, 구이류는 전체 3/4의 학교에서 김치 메뉴로 활용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메뉴의 김치 사용량이 10~20 g(1인분)이면서 메뉴 재료의 김치 비율이 30%를 넘는 7가지 메뉴를 개발하였다. 1차 기호도 및 잔반량 조사 결과 김치치즈크로켓과 김치소스두부덮밥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다음은 김치완자, 김치닭감자찜, 김치베이컨주먹밥, 김치채소우동볶음, 김치감자샐러드 및 김치계란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50%의 메뉴에 대하여 저학년 및 고학년(n=100) 대상 2차 기호도 및 잔반량 조사 결과, 김치완자가 4.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김치닭감자찜 및 김치치즈크로켓도 4점 이상의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김치소스두부덮밥은 1차 조사와 달리 종합점수 3.8점 및 17.1%의 잔반을 보였다. 개발된 8종의 메뉴에 대한 표준레시피를 초등학교 영양(교)사가 평가한 결과 김치치즈크로켓이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았고 김치감자샐러드가 가장 낮았다.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개발은 초등학생의 김치 섭취량 향상 및 김치 기호도의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일반특성에 따른 외식 행동 및 선호 메뉴 조사 (A Survey of Dining-out Behaviors and Menu Preferenc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Area)

  • 김미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25-535
    • /
    • 2008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dining-out behaviors and menu preferenc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65.2% ate out rarely for breakfast and 73.1% ate out frequently for lunch, whereas 20.9% occasionally ate out for lunch. The frequency of dining out for breakfast was influenced by age, gender, and major but the frequency of dining out for lunc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P < 0.01). 79.2% of females dined out frequently, but 62.3% of males reported doing so(P < 0.001). 65.2% ate out frequently for dinner and 31.6% did so occasionally. 34.2% dined out frequently for snacks, and 53.5% did so occasionally. 2. Factors to consider in dining out were as follows: taste > preference > price > persuasion > nutrition. The motivations for dining out were as follows: convenience > favorite food > difficult to prepare lunch box > difficult to carry lunch box > habit. This factor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ge(P < 0.05) and residence type(P < 0.001). Problems with dining out were listed as follows: unbalanced nutrition > price > sanitation > variety of menu > taste. This factor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ge(P < 0.05), alcoholic beverage use(P < 0.01) and smoking(P < 0.01). 3. Foods selected for meals when dining out were as follows: Korean style > Western > Japanese > noodles > Chinese. The expense(in won) of dining out for lunch was as follows: 3,000${\sim}$5,000 > 2,000${\sim}$3,000 > over 5,000 > under 2000. Problems to be corrected in Korean-style food were as follows: variety of menu > price > using personal dish. 4. Korean foods preferred in each cooking style when dining out were as follows: beef rib > kimchi-jjigae > bulgogi > doenjang-jjigae > bibimbab. Chinese foods selected were as follows: tangsuyuk > jajang myeon > jjambbong > gganpunggi > bokeumbab. Preferred Western foods were as follows: spaghetti > steak > pork cutlet > pizza > ribs > chicken. Preferred Japanese foods in meals when dining out were as follows: sushi > hoe > udong > pork cutlet > soba. Preferred noodle foods selected when dining out were as follows: ddukboki > ramyeon > mandu > guksu > sundae > gimbab >. Preferred baked foods for dining out were as follows: cake > pizza > loaf bread > baguette > sandwich > hamburger > doughnut > cream bread.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레스토랑의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Conjoint Analysis of Restaurant Attributes on Customer Intentions to Choose Restaurant)

  • 조미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4-26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레스토랑 선택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고, 각 세분 시장별 레스토랑 선택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 및 선호하는 레스토랑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09년 8월 23일부터 9월 4일까지였으며, 조사 대상은 서울, 경인 지역의 20~30대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2.0으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응답자의 레스토랑 선택 속성은 맛(43.46%), 가격(27.62%), 레스토랑유형(18.49%), 분위기(10.44%) 순으로 나타났다. 세분집단 1은 가격(45.96%), 레스토랑 유형(40.00%), 맛(11.93%), 분위기(2.11%), 세분집단 2는 맛(50.93%), 가격(33.37%), 레스토랑 유형(10.75%), 분위기(4.95%), 세분집단 3은 맛(56.24%), 레스토랑 유형(22.60%), 가격(14.06%), 분위기(7.10%) 순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레스토랑은 전체 응답자의 경우 '메뉴가 다양하고 음식이 맛있음', '10,000~20,000원', '조용하고 차분하다', '패밀리 레스토랑'으로 나타났다. 세분집단 1은 '메뉴가 단순하고 음식이 맛없음', '20,000원 이상', '조용하고 차분하다', '고급 레스토랑'을 선택하였고 세분집단 2는 '메뉴가 다양하고 음식이 맛있음', '10,000원 이하', '동적이고 활기차다', '고급 레스토랑'으로 나타났으며 세분집단 3은 '메뉴가 다양하고 음식이 맛있음', '10,000~20,000원', '조용하고 차분하다', '패밀리 레스토랑'을 선택하였다.

  • PDF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과대학 진로교과목 수강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KNOW): Focused on the Engineering Students in College Career Courses)

  • 강혜영;박가열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16-238
    • /
    • 2015
  • 본 연구는 국가차원에서 개발된 온라인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인식과 평가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KNOW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공대 특성화 대학인 K대학교의 진로교과목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KNOW 사이트 전반에 대한 평가(인지도, 이용자반응도: 애호도, 진로준비 유용성), KNOW 메뉴별 평가(선호도, 만족도, 도움정도, 정보품질)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수강생들에게 <정보탐색 개별과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정보탐색 개별과제>는 학생들이 실제로 관심 갖고 있는 직업정보를 KNOW에서 검색해볼 수 있도록 구성한 인쇄자료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연구 자료 활용에 동의한 진로교과목 수강생 266명의 과제물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NOW에 대한 인지도는 7.5%로 나타났다. 둘째, KNOW에 대한 반응 중 애호도는 평균 73.5점으로 나타났고, 진로준비 유용성은 평균 70.6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정보 검색 메뉴 중, 사용 전 선호도가 가장 높은 메뉴는 '나의 특성에 맞는 직업 찾기'(141명, 53.0%)였다. 넷째, 사용 후 불만족이 가장 큰 메뉴는 '조건별 검색'(104명, 40.6%)으로 나타났고, 가장 도움이 되는 검색 메뉴는 '키워드로 직종 찾기'(87명, 33.1%)로 나타났다. 다섯째, '키워드로 직종 찾기' 하위메뉴에 대한 정보품질 분석결과, '임금/직업만족도/전망' 메뉴가 평균 71.7로 가장 높았고, 반면'하는 일'메뉴는 평균 67.9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평가 요소별 정보품질 분석 결과, '이해성'이 평균 73.4로 가장 높았고, 반면'완전성'은 평균 63.7로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볼 때, KNOW가 공대 학생의 정보탐색에 유용성이 있지만, 보다 나은 시스템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인지도 향상,'조건별 검색'메뉴 개선, '키워드로 직종 찾기' 메뉴에서 '하는 일 '개선 및'완전성' 보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학교아침급식 운영 속성 및 수준의 중요도 분석 (Assessing Relative Importance of Operational Factors for School Breakfast Program using Conjoint Analysis)

  • 이필순;이민아;양일선;차성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1-632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s to compare the importance of operational factors to determine types of school breakfast program, and second is to do the preference analysis of operation-related people depending on the attributes and levels of the operation of school breakfast program.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134 school dietitians, 114 school foodservice officials at the educational board, 68 staff members of foodservice contractors and 493 parents.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12.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joint analysis. The conjoint design was applied to evaluate the hypothetical foodservice typ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attributes and levels of the school breakfast operati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was as followsprice (36.30%), menu (29.60%), foodservice staff (22.54%), serving type (11.55%) to school dietitians, price (34.99%), menu (28.15%), foodservice staff (23.52%), serving type (13.35%) to school foodservice officials at the educational board, menu (30.55%), price (30.24%), foodservice staff (28.75%), serving type (10.47%) to staff members of foodservice contractors and price (36.34%), menu (29.73%), foodservice staff (21.01%), serving type (12.92%) to parents. The results of the conjoin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foodservice officials at the educational board preferred the school breakfast operation program with 3 traditional menus and 2 convenience menus per 5 day, $1{\sim}3$ foodservice staff, with a price range of $1501{\sim}2000won$, and tray serving. Staff members of foodservice contractors preferred the school breakfast operation program with 3 traditional menus and 2 convenience menus per 5 day, $1{\sim}3$ foodservice staff, with a price range of $2501{\sim}3000won$, and tray serving. Parents preferred the school breakfast operation with 5 traditional menus per 5 day, $6{\sim}7$ foodservice staff, with a price range of $2501{\sim}3000won$, and tray serving. About a half of school dietitians considered that elementary schools were appropriate for the suggested school breakfast operation program. But, 68.2% of school foodservice officials at the educational board, 69.1% of staff members of foodservice contractors, and 38.1% of parents considered high schools to be the suitable model. Therefore, it indicated the need to recognize the different opinions among breakfast operation-related people and take these factors into consideration in developing the school breakfast program.

도시지역 성인의 농촌치유관광 음식 특성 선호도 조사 (Survey on Food Characteristic Preferences for Rural Healing Tourism for Adults in Urban Areas)

  • 박영희;김영;손호기;황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55-777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ood needs for dining out in the context of rural healing tourism by surveying food preference characteristics. A total of 600 adults in an urban area completed an online questionnaire on food characteristics for rural healing tourism. Regarding the purpose of rural healing tourism, 61.2% of respondents answered 'relaxation' while 6.3% answered 'promotion of health'. Exactly 66.3% of respondents selected Korean foods (rice) as the preferable food type for dining out in the context of rural healing tourism. Respondents considered 'regionality' and 'ingredient' as more important among food quality characteristics, whereas 'professionality' was less important. Females perceived 'nutrition' and 'cooking' as more important than males. Among food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ity, regionality, and traditionality, respondents most preferred 'using regional specialty food'. Preference for 'using traditional food'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subject's age. Respondents rated 'balanced nutrition' most highly among food characteristics of health and nutrition. 'Seasonal food' was the most preferred food characteristic among cooking and ingredients. Females showed higher interest in nutrition, cooking, and ingredients and higher preferences related to food characteristics of nutrition, cooking, and ingredients than males. In conclusion, Korean foods (rice) or Korean full course menu items using local specialty foods or seasonal foods with balanced nutrition are needed for dining out in the context of rural healing tourism.

울산지역 학령기 아동의 영양소 섭취 및 기호도 조사 (Nutritional Status and Food Preference of School Children in Ulsan)

  • 김혜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45-355
    • /
    • 199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nutrition education and meal planning by evaluating the nutritional status, food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chool lunch program and without school lunch program(lunch box).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66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from 10 to 12(136 male, 130 female) in Ulsan the area. The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average body weight was $38.4{\pm}6.9kg$ for boys and $36.8{\pm}7.4kg$ for girls and the average heights was $141.3{\pm}5.6cm$ for boys and $141.2{\pm}5.7cm$ for girls. These value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Korean reference. 56.0% of the subjects skip breakfast 1 to 2 times a week, 58.2% of the subjects had prejudice for special food, such as bean, anchovy, and pork. The food habit scores of the subjects was divided into poor(11.7%), fair(63.5%), and good(24.8%). The average score of girl's was significantly(p<150) higher than that of the boy's. Compare to 1/3 of RDA for children, the average intake of nutrients provided lower amounts of all nutrients. Therefore Calcium and vitamin A intakes were especially lower than the other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milk and green vegetables must be emphsized to them through nutrition education. Children preferred ssalbab to jabkogbab and liked beef-based soup, and baechu kimch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 habit scores with gender, parent's education, and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utrition education and menu planning program should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are served by the school lunch program.

  • PDF

전남 여수시 일부 가정의 외식상태 및 분식 기호도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Eating Out and Flour Preference of Some Houses in the Yosu, Chonnam Area)

  • 정복미;정해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43
    • /
    • 2003
  • 본 연구는 전남 여수시에 거주하는 가정의 외식상태 및 분식류의 기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남 여수에 거주하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가족의 외식빈도 및 종류, 분식류 섭취빈도 및 종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가정의 월수입은 100만원∼200만원 이하가 50.1%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구성은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비율이 75.6%로 가장 높았고, 가족 수는 3∼4명이 57%로 가장 높고 주거형태는 아파트가 67.1%, 주택의 소유형태는 자가가 69.9%로 가장 높았다. 가족의 외식횟수는 1개월에 1회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외식횟수가 증가하였고, 외식은 주로 한식이었다. 분식류는 가족이 일주일에 2∼3회가 가장 많았으며, 분식류의 종류는 가격면에서 부담이 없는 라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결과로 볼 때 여수지역 가정의 외식종류는 주로 한식으로 빈도는 낮았으며, 분식에 대한 기호도는 예부터 남도지역의 먹거리가 풍부하였기 때문에 면류에 접할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호주 대학생들의 한식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연구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Korean Food in Australia)

  • 민계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92-10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브리즈번 지역 현지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식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여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 방법은 빈도 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10년 5월 3일부터 6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식에 대한 인식은 한국 음식은 맛이 좋고, 맵고, 건강에 좋고, 이국적인 재료를 사용하고, 메뉴가 다양하고, 곡류 및 채소 위주인 음식으로 인식을 하고 있었다. 한식에 대한 인식 차이는 한국 음식은 건강에 좋다, 한국 음식은 발효식품이 많다, 한국 음식은 곡류 및 채소 위주이다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맛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가장 좋아하는 맛으로는 단맛, 가장 싫어하는 맛으로는 싱거운 맛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선호하는 메뉴로는 불고기, 비빔밥, 김치찌개, 김밥 순으로 나타났다. 기대효과로는 한식과 관련된 정부 부서 및 교육 기관과 현지에서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경영자에게 한식의 세계화와 영업 전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