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oring Activity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 동료 멘토링 활동이 과학 탐구 능력,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Peer Mentoring Activity on Science Process Skills,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이승희;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311-32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er mentoring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an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for peer mentoring activity in science class. The mentoring team was organized by mento-mentee team according to the scores of science process skill and achievement.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ixth grade of both an experimental group (28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27 students) located in I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more significant effect for improv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than the control group (p<.05). As the result of analysis by groups, both of mento and mentee showed significant effect for improv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Second, the peer mentoring activity showed more significant effect for improvement of achievement (p<.05). As the result of analysis by groups, mentee showed significant effect for improvement achievement. But mento group didn't show significant effect. Third, the peer mentoring activity showed the effect for positive changes of scientific attitude. If matching the mentoring object effectively and conducting the classes applying peer mentoring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s expected to draw student' improvement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 changes of scientific attitude.

텍스트성을 활용한 다문화 멘토링 활동에서의 수업비평 탐색 (Exploring class criticism in multicultural mentoring activities using textuality)

  • 오세경;황해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563-5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인 멘토들의 전문성 신장과 비평적인 성찰을 유도하기 위해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멘토-멘티의 다문화 멘토링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활동 내용 및 현상을 활동 텍스트로 보고, 일곱 가지의 텍스트성을 적용하여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응결성은 멘토와 멘티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한 관계적인 측면을 뜻하고, 응집성은 수업활동 과정에서 파생되는 의미들이 결속되어 멘토와 멘티 모두에게 수업활동에 대한 하나의 주제나 정체성을 이루어 내는 것을 말한다. 의도성은 멘토가 멘토링 수업활동 전에 수업에 대한 의도나 목표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용인성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생산한 텍스트를 멘티에 의해 받아들여질 때 수업활동 텍스트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정보성의 경우 수업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생산한 텍스트를 멘티가 예측가능할 때에는 정보성이 낮으며, 예측가능 정도가 낮을 경우에는 정보적인 가치가 높다는 관점이다. 상황성은 수업활동 과정에서 물리적인 텍스트 상황과 멘티의 상황에 따라 수업활동에 대한 상황성은 달라질 수 있고, 상호텍스트성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의 경우 멘토가 수업활동 텍스트를 새롭게 창조하여 생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멘토의 학습경험, 동료 친구의 자문, 교육 등을 통해 수업활동 텍스트를 생산하는 것과 관련된다.

DEVS 형식론을 이용한 멘토링 기본 프로세스 모델 제안: 학부수업 멘토링 활동을 중심으로 (A Proposal of Mentoring Basic Process Model based on DEVS Formalism : Focusing on Mentoring Activities in Undergraduate Class)

  • 한영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024-2035
    • /
    • 2016
  • Modern industry requires people with the ability to create and improve their knowledge. Most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used mentoring activities which can train those people. Then each of the institutions has different directions because they work in their own fields. For that reason, many people which want to make new mentoring program have no choice but to go through many trials and errors.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gn method of basic process model for mentoring based on DEVS in order that people plan a new mentoring business or make a new mentoring group easily. Our proposed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as a guide to establish procedures for mentoring systems.

의료기관 신입직원 멘토링프로그램 사례연구: A병원을 중심으로 (Case Study of New Employee Mentoring Program at Hospital A)

  • 한지영;최종일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31
    • /
    • 2024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ases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mentoring program that provides psychological support to new employees and helps them adapt to work, thereby applying it to actual work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follow-up research. Methodology: We explor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rocess of A Hospital mentoring program by applying the mentoring program model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the ADDIE model, and confirmed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 through analysis of activity logs and in-depth interviews. Findings: The main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s a result of activity log and in-depth interview analysis,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mentoring program was helpful in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organizational adaptation, and preventing job turnover, and recogniz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Participants mentioned supplementing the operating system. Practical Implication: The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of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mentoring programs for new employees can serve as reference material for practical program design.

  • PDF

또래도우미 활동이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Mentoring Activit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Views on Nature of Science)

  • 송본욱;문성배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612-621
    • /
    • 2014
  • 본 연구는 또래도우미 활동수업이 멘티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과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집단은 중학교 1학년 40명이며 또래도우미는 성적이 상위 20% 이상의 학생 및 멘티는 성적이 하위 15% 이하 학생으로 구성하였다. 또래도우미 활동수업은 8주간 23차시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교사의 본시 수업내용 전개가 끝난 후 15~30분 동안 실시하였다. 또래도우미 활동은 멘티가 수업내용을 정리하면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또래도우미에게 질문하고 도움을 포함하고 있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도우미 활동수업이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 멘티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반면에 또래도우미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둘째, 또래도우미 활동수업에 참가한 학생들은 과학은 어렵고 외우는 것이 많은 힘든 과목에서 실험을 많이 하는 재미있는 과목이라는 긍정적 인식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또래도우미 활동 수업에 참가하면서 또래도우미와 멘토가 친해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또래도우미와 멘티 모두 또래도우미 활동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1). 넷째, 멘티의 적극적인 태도 및 또래도우미와 멘티의 친밀도가 높을수록 멘티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또래도우미 활동수업 시 또래도우미와 멘티의 친밀도를 고려하여 모둠을 구성하면 멘티의 학업성취도 향상 및 과학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문화학생을 위한 멘토링 활동 효과 : 논리모델을 중심으로 (Mentoring activity Effects for Multicultural Students : Using Logic Model)

  • 이미정;김진희;박미숙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435-44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논리모델을 통해 다문화학생 멘토링 사업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4년 다문화 멘토링 사업에 참여한 I 대학교 멘토 40명에게 논리모델의 투입, 활동, 산출, 성과 등 네 단계에 따라 구성된 혼합형 질문지로 조사하여 내용분석 및 분류분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투입단계에서 멘토링 프로그램 홍보, 선발과정, 매칭 방법, 사전교육, 활동비 등에 대해 대부분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활동단계를 보면 멘토와 멘티의 첫 만남은 교사와 함께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멘토링 활동은 80%가 학습지도로 진행되었으며, 인성지도와 체험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출단계에서는, 대부분의 멘토가 멘토링 활동 시간, 기간, 장소가 적당하다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성과단계는 멘토와 멘티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멘토링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효과 검증이 가능하고, 향후 진행하게 될 사업을 위한 개선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FD와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여대생 사이버 멘토링 시스템 구축 사례 연구 (QFD and Conjoint Analysis for Cybe-mentoring Syste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 손소영;장인상;이지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21
    • /
    • 2005
  • Providing female students with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ir social activity became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f the college education in Korea. Thereupon, for the purpose of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support for the female students, many universities have adopted the cyber mentoring system. However, customers' requirements for such cyber mentoring systems are not reflected at the initial stage, resulting in some inefficient performanc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sirable cyber mentoring system reflecting female students' requirements by using QFD and conjoint analysis. We expect that the proposed system will help to cultivate high quality female resources in a more effective way.

기술.가정과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에서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Mentoring on Self-Efficacy in the 'Invention Technique and Practical Experience' Unit of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 이지현;이용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5-85
    • /
    • 2012
  • 이 연구는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에서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의 5차시에 대한 학습을 실험 집단에게는 동료 멘토링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 집단에는 개별 수업을 적용하였다.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효능감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날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효능감에 대한 검사 결과는 사전 검사에서 두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동료 멘토링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통계적으로도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 집단 내 사전, 사후검사 결과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나 자아효능감이 향상된 정도가 비교 집단에 비해 실험 집단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활동시작 능력기대, 활동지속 능력기대, 활동수행 능력기대, 경험극복 능력기대의 모든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동료 멘토링 수업을 적용한 실험 집단이 개별 수업을 적용한 비교 집단보다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동료 멘토링 수업이 개별 수업보다 자아효능감에 더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교수 학습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즉,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의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동료멘토링 프로그램이 골관절염 여성노인의 건강보존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eer Mentoring Program on the Health Conservation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 남지란;성기월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7-239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er mentoring program on physical activity, knee joint function, self-care agency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health conservation elements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Methods: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It is a pretest-and-post 1, post 2 test design of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elderly women aged over 65 who were diagnosed with osteoarthritis. A total of 60 patients (experimental group 30, control group 30) who registered with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City G and in Region 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9th to September 4th,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x^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ment ANOV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 knee joint function, self-care agency and social support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er mentoring program is effective in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knee joint function, self-care agency and social support of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취약계층 당뇨병노인을 위한 건강멘토링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Health Mentoring Program in Community-dwelling Vulnerable Elderly Individuals with Diabetes)

  • 성기월;강혜승;남지란;박미경;박지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82-194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a health mentoring program on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physical activity, self care behavior and social support changes among community-dwelling vulnerable elderly individuals with diabete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70 community-dwelling vulnerable elderly individuals with diabetes. They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n=30) or comparative (n=30) or control group (n=28).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health mentoring program,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health education program,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program. Data analyses involved a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 generalized linear model, and the Bonferroni correction, using SPSS 23.0.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 care behavior.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or social support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health mentoring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community-dwelling vulnerable elderly individuals with diabetes. This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icient strategy for diabetes self-management within this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