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counseling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6초

Classification of Adolescent Suicide Based on Student Suicide Reports

  • Kwon, Hoin;Hong, Hyun Ju;Kweon, Yong-Sil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1권4호
    • /
    • pp.169-176
    • /
    • 2020
  • Exploring the risk factors of adolescent suicide is important for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lustering of adolescent suicides based on six risk factors: mental disorder, broken family, depression, anxiety, previous suicide attempts, and deviant behaviors. Using 173 student suicide reports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evalu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suicide and variables related to mental disorders; dysfunctional family life; depression and anxiety; previous suicide attempts; deviant behaviors such as drinking and smoking; and school life characteristics, including attendance and discipline, problems within the past year, and incidents prior to suicide. In addition, reports of warning signs just before suicid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two-stage cluster analysis classified the students into three clusters: the silent type (cluster 1; 48.55%), in which no risk factors were observed; environmental-risk type (cluster 2: 24.28%), which featured a high frequency of broken households, deviant behaviors such as smoking/drinking and running away from home; and depressive type (cluster 3: 27.17%), which featured a high frequency of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e attempts. Identifying the sub-types of adolescent suicide may help to inform tailored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in school.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ports Psychological Counseling

  • Min-Woo Jeon;Seong-Hoon 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91-103
    • /
    • 2024
  •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심리상담의 인식을 탐색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설문조사에서 운동선수 307명, 심층 면담에서 심리상담을 받아본 선수 4명, 받지 않은 선수 4명 등 총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운동선수들이 심리훈련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관리하고 있는지, 평소 고민 상담의 필요성과 전문가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도움을 받는 스포츠 심리상담의 이용 의향 및 필요성, 경험 여부, 진행하기 전 고려 사항 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운동선수들의 69.1%가 심리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심리훈련을 진행하는 선수는 33.2%에 불과하였다. 또한, 67.8%가 전문가에게 심리훈련에 대한 교육을 받고 싶다고 답변한 반면, 관련 정보를 탐색한 경험이 있는 선수는 19.9%에 불과하였다. 비용을 지불하고 스포츠 심리상담이라는 서비스를 받을 의향을 묻는 질문에서는 55.7%가 의향이 있다고 답변하였으며, 받고 싶은 이유와 받기 싫은 이유, 상담 진행 시 고려하거나 선호하는 내용에 대한 결과를 나열하였다. 심층 면담에서는 상담을 받아본 참여자와 받지 않은 참여자로 분류하여, 스포츠 심리상담을 받은 동기와 받지 않은 이유, 심리상담 시 주변 인식, 고려 사항, 원하는 심리상담사 유형과 프로그램 등의 내용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스포츠 심리상담이 수요자에게 질 좋은 서비스로 제공되는 기초 자료로 사용되기를 바라는 관점에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Study on Development of Remote Mental Health Care Program with VR for Seafarers

  • Lim, Sangseop;Tae, Hyo-Si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95-200
    • /
    • 2021
  • 선원은 해운물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선원직은 상당기간동안 선박에 승선해야하며 고립되어 근무를 하기 때문에 정신질환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특히,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세계 곳곳의 항만 폐쇄로 선원교대가 지연되고 있어 선원들에게 정신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선원들의 정신적인 문제는 인명 및 선박의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선원들의 정신건강관리가 중요하다. 본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선원들의 정신건강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정신건강관리 프로그램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식별하였다. 또한 식별된 문제점에 대하여 VR기술 기반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선원들이 적기에 정신질환에 대한 상담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우며 민감한 개인정보 노출을 방지하여 선원들의 정신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이를 통하여 안전한 선원근무 환경을 구축하여 원활한 물류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심리학을 적용한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Techniques Applying Analytical Psychology)

  • 박원진;김보기
    • 산업진흥연구
    • /
    • 제4권1호
    • /
    • pp.67-78
    • /
    • 2019
  • 본 연구는 융의 분석심리학을 연구하여 거기에서 도출된 상담이론을 토대로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융은 분석심리학을 기반으로 상담과정을 4단계로 나누고 있다. 1단계는 고백(confession)인데, 분석치료의 원형은 고백이다. 치료과정의 첫 단계는 비밀을 공유하고 억제된 정서를 드러내는 것이다. 2단계는 해명(elucidation)단계인데, 해명은 전이에 의해 유도된 내용을 조명하면서 명료화하는 과정이다. 3단계는 교육(education)단계이다. 해명은 내담자들을 지적으로 만들지만 여전히 무능력한 아이의 상태로 남겨둔다. 이 단계에서 치료는 통찰을 넘어 책임성 있는 의뢰인으로 훈련시키는 것이다. 4단계는 변혁(transformation)이다. 내담자들과의 변혁단계에서는 내담자들뿐만 아니라, 치료사도 '분석 속'에 있다. 융의 상담기법은 꿈의 분석, 상징의 사용, 단어연상검사, 증상분석, 사례사, MBTI 등 여섯 가지를 사용한다. 결론적으로 분석심리상담은 첫째, 인간의 정신, 특히 무의식 세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접근과 이해를 가능하게 했다. 둘째, 분석심리상담은 무의식과 원형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모든 인간이 공통적 심상 구조를 지닌 인류 공동체임을 인식하게 해주었다. 셋째, 분석심리상담은 인생의 의미와 목적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해주었다. 따라서 융은 환자에 대해 병적인 문제를 지닌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전체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전인적인 인간으로 볼 것을 강조하였다.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정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activity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김상우;장혜영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6-5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ffects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at is,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see if adolescents can improve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way from the negative emotions they are currently feeling through physical activities such as hand-help and consolation activities and check if self-esteem has mediating effects in this process. Design: Surve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surveyor, with a total of 9,041. Results: First, it shows that the higher frequency of 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leads to higher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self-esteem leads to higher subjective well-being felt by adolescents. Third, the level of youth physical activity itself contributes to subjective well-being while also affecting self-esteem, and the self-esteem also affects the subjective well-being that adolescents perceive. Conclusion: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to enhance subjective well-being for students with poor school life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as well as continuous attention such as organization and counseling of programs in schools to enhance self-esteem.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by encouraging and guiding teenagers with low satisfaction with life and low self-esteem to physical activities such as volunteer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that suit their aptitude, and the adolescents will get away from the negative emotions they are currently feeling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life.

일 지역사회 학생의 정신건강상태, 정신건강지식,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인식조사 (The Perception of Mental Health Status, Mental Health Literac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nd Mental Health Business of among Local Students)

  • 오미정;김민자;장경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27-43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사회 학생의 정신건강상태, 정신건강지식,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조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하는 중학교, 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8년 10월 1일부터 2018년 10월 2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4.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정신건강상태는 '심각한 스트레스'가 31.4%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들의 정신건강지식 점수는 40.99점(범위 15-75)으로 다소 낮았다. 정신건강복지센터 인지여부에서 '들어 본적이 없다'가 45.9%로 가장 많았고, 정신건강사업과 관련하여 정신건강 상담전화에 대해서도 '들어본 적 없다'가 68.3%로 가장 많았고, 복수응답으로 정신건강 혹은 정신질환에 대한 정보를 접하는 경로는 '인터넷'이 58.0%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정신건강 혹은 정신질환 관리를 위한 정부 예산 증가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75.3%로 많았다. 따라서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전문 인력을 통하여 학생들 수준에 맞는 맞춤형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일 지역사회 일반직 공무원의 정신건강지식, 정신건강상태,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인식조사 (The Perception of Mental Health Literacy, Mental Health Status,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nd Mental Health Business and of among Local Public Officials)

  • 김민자;장경오;이승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639-650
    • /
    • 2020
  • 본 연구는 일 지역사회 일반직 공무원의 정신건강지식, 정신건강상태,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조사대상은 G시 일반직 공무원 76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2019년 10월 1일부터 2019년 10월 2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IBM SPSS 24.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 대상자의 정신건강상태는 '심각한 스트레스' 28.1%로 가장 많았고, 정신건강지식의 평균 점수는 40.21점으로 보통보다 낮았으며, 정신건강상태의 평균 점수는 1.66점으로 매우 낮아 정신건강상태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인지 여부에서 44.6%가 '들어본 적이 없다'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정신건강사업의 경우 정신 건강 상담의 전화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가 57.0%로 가장 많았으며, 정신건강 혹은 정신질환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로 'TV'가 65.2%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정신건강 및 정신질환 관리를 위한 정부예산 증가는 85.0%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일반직 공무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신건강 증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지속적으로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정신장애인의 프로그램 욕구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부산지역 정신요양원을 중심으로- (Factors Effected on Program Needs of the Elderly People with Mental Illness -Focused on the Nursing Home in Busan-)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98-207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정신장애인에 대한 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기능수준을 파악하여 두 요소가 어떻게 그들의 정신보건서비스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여 노인정신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한 적합한 정신보건서비스를 계획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분석결과, 노인정신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주거유형, 질환기간, 기관이용결정자는 프로그램 욕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통적으로 건강증진프로그램과 퇴원지원프로그램 욕구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노인정신장애인의 기능수준은 양호하였으며, 기능수준에 따라서는 집단프로그램, 상담프로그램, 자원연결프로그램 순으로 욕구를 보였다.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al of Curriculum for Training Professional Librarians Specializing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59-282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구조의 변화 및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의 출현에 대한 대응기제로서 정신보건사서라는 전문 인력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를 통해 독서치료의 특징, 정신보건사서의 역할, 자격요건과 양성제도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계속 교육의 필요성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일련의 단계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정신보건사서 양성을 위하여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에 독서치료 영역에 해당하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향후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서 주제전문화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 그리고 우리나라 현실에서 정신보건사서의 양성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으로 문헌정보학과 대학원에 '정신보건사서' 과정을 설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제전문사서의 자질 개발과 확충을 위한 지침으로서,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확립과 우리나라 도서관 현장과 학계의 당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Interstitial deletion of 5q33.3q35.1 in a boy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 Lee, Jin Hwan;Kim, Hyo Jeong;Yoon, Jung Min;Cheon, Eun Jung;Lim, Jae Woo;Ko, Kyong Og;Lee, Gyung M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sup1호
    • /
    • pp.19-24
    • /
    • 2016
  • Constitutional interstitial deletions of the long arm of chromosome 5 (5q) are quite rare, and the corresponding phenotype is not yet clearly delineated. Severe mental retardation has been described in most patients who present 5q deletions. Specifically, the interstitial deletion of chromosome 5q33.3q35.1, an extremely rare chromosomal aberration, is characterized by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delay, and facial dysmorphism. Although the severity of mental retardation varies across cases, it is the most common feature described in patients who present the 5q33.3q35.1 deletion. Here, we report a case of a de novo deletion of 5q33.3q35.1, 46,XY,del(5)(q33.3q35.1) in an 11-year-old boy with mental retardat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in Korea to be reported. He was diagnosed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delay, facial dysmorphisms, dental anomalies, and epilepsy. Chromosomal microarray analysis using the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array method revealed a 16-Mb-long deletion of 5q33. 3q35.1(156,409,412-172,584,708)x1. Understanding this deletion may help draw a rough phenotypic map of 5q and correlate the phenotypes with specific chromosomal regions. The 5q33.3q35.1 deletion is a rare condition; however, accurate diagnosis of the associated mental retardation is important to ensure proper genetic counseling and to guide patients as part of long-term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