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ningococcal infect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43초

Meningococcal Disease and Quadrivalent MenACWY-CRM Vaccine (Menveo®)

  • Tsai, Theodore F.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3호
    • /
    • pp.89-110
    • /
    • 2012
  • Meningococcal Disease, manifesting as meningitis and septicemia, is a life-threatening bacterial infection that results in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particularly in childhood. Its epidemic potential and limited opportunities for clinical intervention due to its rapid course present unique public health and clinical challenges. Incidence is highest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a secondary peak of risk in adolescents. Approximately 10% of cases are fatal and survivors can be left with serious and permanent sequelae including amputations, hearing loss and cognitive impairment. Transmission is only from human-to-human, by infected respiratory tract secretions or saliva and therefore crowding poses a tremendously elevated risk for disease development. Military recruits and university students are at high risk due to the high carriage rate in adolescents, their behavior patterns and close contact. Menveo$^{(R)}$ (Novartis Vaccines and Diagnostics), a novel quadrivalent meningococcal conjugate vaccine directed against meningococcal serogroups A, C, W-135 and Y, has been shown to be immunogenic and well tolerated in all age groups and was recently licensed for use in Korea. Recent cases and deaths among military recruits drew public attention to their elevated risk and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ommended vaccination of all new military recruits. Many Korean students seek to attend school, university, or language institutes in countries where routine meningococcal vaccination is required -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such requirements to ensure that students are vaccinated prior to arrival in the destination country.

  • PDF

C7 결핍증과 연관된 재발성 수막구균 혈증 1례 (A Case of Deficiency of the Seventh Component of Complement with Recurrence of Meningococcal Meningitis and Septicemia)

  • 이종승;유정민;유수정;고태성;유한욱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2호
    • /
    • pp.212-215
    • /
    • 2004
  • 보체계는 우리 몸에서 감염에 대한 초기 방어를 담당하는데 그중 후기 보체 성분의 결핍시 수막구균의 감염에 쉽게 노출된다. 특히 재발 감염된 수막구균 혈증 환자에서 보체계의 검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저자들은 재발성 수막구균 혈증으로 치료받은 환자에서 C7 결핍증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Neonatal Sepsis and Meningitis Caused by Neisseria meningitidis Serogroup B: a Case Report

  • Kim, Yoo Na;Choi, Yong-Sung;Cha, Sung Ho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3호
    • /
    • pp.165-169
    • /
    • 2018
  • 수막구균 감염은 신생아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이지만 매우 드물고, 단체 생활하는 연장아나 청소년에서 더 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증례에서 소개된 생후 16일 신생아는 수막구균 B 혈청군 패혈증과 수막염이 진단되었지만 조기 항생제 치료를 통해 합병증 없이 건강하게 퇴원하였다. 이 증례 보고의 목적은 신생아에서 수막구균 감염의 발생률과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노출된 가족들과 의료진에 대한 조사와 예방 요법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한국에서는 많은 신생아가 출생 후 산후조리원 시설에서 지내내므로 감염 발생과 전파에 단체 생활이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질병의 조기 발견, 격리, 그리고 경험적 치료가 치명적인 질병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선천성 보체 7번 결핍을 가진 한국인 한 가족 (A Korean familial case of hereditary complement 7 deficiency)

  • 김문규;이경열;이준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721-724
    • /
    • 2009
  • 수막구균(Meningococcus) 질환은 보체계의 이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보체 7번은 5개의 말단 보체 단백질(terminal complement protein) 중 하나로 이것이 결핍되면 보체의 세포를 용해하는 작용을 잃게 되어 반복적인 감염, 특히 수막구균 감염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한다. 2003년 9월 고열, 하지 동통, 두통과 점상 출혈로 외래에 내원한 11세 된 여자 환자가 입원 후 급격히 혼수 상태로 빠졌으나 즉각적인 치료로 결국 완전히 회복되었다. 환자의 최종 진단은 수막구균성 패혈증과 관절염이었다. 환자의 오빠도 비슷한 세균성 뇌수막염 가족력이 있어 저자들은 보체계 검사와 유전자 돌연변이(gene mutation)에 대해 분석하였고, 환자와 환자의 오빠는 보체 7번 유전자의 exon 4에 G394C에 돌연변이가 있는 선천성 보체 7번 결핍 환자였고, 아빠는 보인자로 밝혀졌다. 저자들은 예방적으로 4가 수막구균 백신(tetravalent polysaccharide meningococcal vaccine, $Menomune^{(R)}$ A/C/Y/W-135, Aventis Pasteur, Canada)을 3년마다 접종하기로 하였고 2004년 10월에 처음으로 접종하였다. 그러나 2006년 9월 오빠는 급성 세균성 뇌수막염(meningoencephalitis)으로 사망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2년마다 예방적 접종을 하기로 하였고, 환자는 2008년 9월에 3번째로 접종하였으며 16세 된 환자는 현재까지 건강한 상태이다. 저자들은 수막구균 감염과 보체 7번 유전자 네번째 intron의 3' 말단 splice acceptor 위치에 G to T 돌연변이(g.IVS4-1G> T)가 있는 선천성 보체 7번 결핍을 가진 한국인 한 가족을 보고하는 바이다.

A군 연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과 동반된 침습성 수막구균감염증 1례 (Case of Combined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nd Acute Invasive Meningococcal Disease)

  • 전호상;한원호;박동균;차성호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1호
    • /
    • pp.126-130
    • /
    • 2004
  • 본 저자들은 A군 연쇄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신염과 동반된 수막구균감염증(수막구균 뇌수막염, 수막구균혈증)에 걸린 7세 남아를 경험하였는데 A군 연쇄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으로 인해서 C3가 감소하여 수막구균감염증에 감염이 되었는지, 역으로 가능성은 떨어지지만 수막구균감염증의 결과로 C3가 감소하였고 사구체신염이 생긴 것인지 전후 관계가 확실하지 않은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보체 인자 9 결핍을 동반한 수막구균성 수막염 1례 (A Case of Meningococcal Meningitis with Complement 9 Deficiency)

  • 최선미;이경일;이형신;홍자현;이미희;이병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호
    • /
    • pp.101-103
    • /
    • 2005
  • 저자들은 12세 여아로 수막구균 수막염에 이환 후 시행한 보체 검사에서 C9 결핍을 확인한 1례를 경험하였다. 수막구균 수막염에 이환된 환아에 대한 보체 검사는 보체 결핍을 갖는 환자와 가족 내 위험이 있는 사람을 찾아내어, 향후 예방접종 등의 예방과 감염 관리에 필요하다.

수막구균 뇌수막염과 보체 결핍이 동반된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1례 (A Case of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Associated with Complement Deficiency and Meningococcal Meningitis)

  • 권상미;박관규;이경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0권1호
    • /
    • pp.45-51
    • /
    • 2006
  • 저자들은 C3의 감소와 육안적 혈뇨를 보인 환아에서 현미경적 혈뇨가 지속되면서 8주 후 시행한 검사에서도 C3의 감소가 지속되어 MPGN을 의심하고 신생검 예정이었다. 추적 관찰 중 수막구균 뇌수막염이 동반되었고, C3와 C5의 지속적인 감소와 C7과 C9의 일시적인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신생검에서 1형 MPGN으로 확인되었다. 본 증례의 아쉬운 점은 nephritic factor의 존재나 factor H의 결핍을 입증하여야 하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시행되지 않아 확인은 하지 못하였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nephritic factor나 다양한 보체계(complement profile)에 대한 검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후기 보체 결핍에 의하여 수막구균 뇌수막의 발생 증례 보고는 2004년 이후 여러 차례 있었지만, MPGN 환자에서 수막구균의 감염은 국내에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증례를 통해 저보체혈증이 지속되는 일부의 MPGN 환자에서는 수막구균 감염 위험성이 존재하며, nephritic factor 검사와 함께 후기 보체 결핍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수막구균성 뇌수막염에 이환된 모든 환자에 대해서 보체 검사를 시행하고 이런 환자에서 주기적인 소변 검사를 통하여 이상이 있을시 MPGN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신생검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전염병관리 관련법령의 변화 추이분석 및 향후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The amendment tendency analysis of the Korea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nd a recommendation for the next amendment)

  • 황창용;오희철;이덕형;박기동;이종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3호
    • /
    • pp.540-563
    • /
    • 1998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make a recommendation for the next amendment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kind of notifyable disease. Korean, Japanese, German, U.S, English and French acts on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were reviewed, compared with and analized in regards of numbers and kinds of notifyable infectious diseases and their tendency of amendments. An criteria was designed to assess the level of validity of diseases to be designated in the act. Four items, the fatality (greater than 10% or not), the possibility to make a big epidemic, the availability of efficient vaccination and the usefulness of isolation, are used in the assessment. This index is applied to the diseases in Korean and other countries'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Korean Infectious Disease Preventon Act has a unique way of classifying the notifyable infectious disease, that is,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class. But the author cannot find the basis of classification. No other countries reviewed have the similar classification. 2. The ten diseases, cholera, plague, yellow fever, diphtheria, typhoid fever, poliomyelitis, rabies, tetanus, malaria, and meningococcal meningitis are designated as the notifyable disease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Japan, Germany, United States, England and france. 3. Thirty seven diseases including small pox, Lassa fever, anthrax, influenza, German measles, Legionellosis, infection with E. coli O157:H7, Q-fever, brucellosis, Lyme disease are designated as legal disease at least one of the above mentioned countries. 4. The Korea has been coped with the change of the infectious disease occurrence for last fifty years in amendment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5. Japan has a special infectious surveillance system composed of 3,880 clinics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6. Germany has classified infectious diseases in five categories which are based on seriousness of disease. Any confirmed death, cases and suspected cases in class I should be reported within 24 hours. But only confirmed death and cases in class II, but not suspected cases, are reportable in Germarny. 7. Plague, bacillary dysentery, pertussis, mumps, Japanese encephaltis and Korean hemorrhagic fevers are diseases with high credits validity index among Korean legal disease. 8. German measles, anthrax, E. coli O157 : H7 infection, Lassa fever, Q-fever, brucellosis are high in validity index among those which are not designated in Korea but designated in other countries. In conclusion, the Korea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has well been coped with the changes of infectious disease occurrence for last fifty years, but the classification basis and the validity of diseases to be designated as legal diseases is worth reevaluating.

  • PDF

국내 신생아와 소아 세균성 수막염의 원인균주(2000~2005) (The Causative Organisms of Neonatal and Pediatric Bacterial Meningitis in Korea(2000~2005))

  • 전윤숙;이수영;목혜린;이정현;김종현;허재균;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2호
    • /
    • pp.130-136
    • /
    • 2006
  • 목 적 : 최근 국내에서 신생아와 소아 세균성 수막염의 발생빈도, 원인균주의 변화, 임상양상, 치료방법, 합병증을 파악하고 예후에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6년간 가톨릭대학교 6개 대학병원에 세균성 수막염으로 신생아실 혹은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5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 57명 중 신생아는 22명, 1개월 이상 15세까지 소아는 35명이었고 남녀 성비는 1.7 : 1이었다. 연평균 입원 환아수는 $9.5{\pm}4.28$명이었다. 신생아군에서 GBS가 16례(72.7%)로 가장 많았고, 소아군에서는 폐구균 9례(25.7%), Hib와 수막구균이 각각 8례(22.8%)순이었다. 항생제 감수성결과가 확인된 43례에서 penicillin 혹은 ampicillin에 대한 내성률은 폐구균 87.5%, Hib 85.7%, 수막구균 40%, GBS 33.3%, E.coli가 25%이었다. 2차 병원수준에서 입원 24시간이내에 확인 가능한 제한된 정보를 이용하여 예후 예측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몸무게 3백분위수 이하, 중앙값이상의 증가된 CRP 값, 뇌척수액 검사에서 당 감소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위험인자이었다(P<0.05). 결 론 : 신생아에서 GBS에 의한 수막염이 과거 국내자료에 비해 크게 증가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Hib와 폐구균 백신을 선별접종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폐구균과 Hib는 소아 세균성 수막염의 주요한 원인균주임을 확인하였고, 높은 CRP값, 낮은 뇌척수액 당 수치, 3백분위수 이하의 저체중은 위험 예후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 PDF

단일기관에서의 소아 세균성 수막염 원인균 분포 (1996~2005) (The Causative Organisms of Pediatric Bacterial Meningitis: A Single Center Experience from 1996 to 2005)

  • 이택진;전진경;김동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2호
    • /
    • pp.124-129
    • /
    • 2006
  • 목 적 :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단일기관에서 발생한 세균성 수막염의 주요 원인균의 연령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세균성 수막염이나 신생아 수막염으로 진단받은 환아들 중 뇌척수액 배양검사 및 라텍스응집반응검사에서 원인균이 확인된 증례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원인균이 확인된 46례 중 신생아 수막염은 미숙아 4례를 포함하여 27례였고 신생아기 이후의 세균성 수막염은 19례였다. 신생아 수막염 환아 중 원인균이 혈액배양검사에서도 동정된 경우는 모두 15례(55.6%)였다. 신생아 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B군 연쇄상 구균이었다(44.4%). 또한 B군 연쇄상 구균에 의한 수막염의 75.0%가 지발형 감염이었다. 신생아기 이후의 세균성 수막염 환아들의 84.2%가 5세 미만에서 발생하여, 이들의 연령 중앙값은 23개월이었다. 신생아기 이후의 세균성 수막염의 원인균으로는 폐구균 8례(42.1%), 인플루엔자균 8례, 수막구균 3례 등이 있었으며, 이 중 인플루엔자균는 2001년 이후 최근 5년간 검출되지 않았다. 결 론 : 신생아 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B군 연쇄상 구균이고 신생아기 이후에는 폐구균과 인플루엔자균이 세균성 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다. 이 중 단백결합 백신의 도입으로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세균성 수막염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